$\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의 광 포획 개선을 위한 Ag Nano-Dots 및 질화막 적용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Ag Nano-Dots and Silicon Nitride Film for Improving the Light Trapping in Mono-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원문보기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semiconductor & display technology, v.18 no.4, 2019년, pp.12 - 17  

최정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부) ,  노시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부) ,  서화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전기.전자.통신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g nano-dots structure and silicon nitride film were applied to the textured wafer surface to improve the light trapping effect of mono-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Ag nano-dots structure was formed by performing a heat treatment for 30 minutes at 650℃ after the depos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의 광 포획 효과 개선을 위하여 Ag nano-dots 구조와 반사방지막으로써 사용되는 질화막에 의한 반사율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모닉 효과에 의한 단결정 실리콘 태양전지의 광 포획 능력을 개선하기 위하여, 텍스쳐링(Texturing)된 태양전지 웨이퍼(Wafer) 전면에 은(Ag) 박막 (Thin film)을 이용하여 나노(Nano)크기의 구조물을 적용하였으며, 적용된 Ag nano-dots 구조와 태양전지에서 반사방지막(Antireflection coating)으로 사용되는 질화막(Silicon nitride film, SiNx)에 의한 반사율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Ag nano-dots 구조의 개선을 위하여 불산(Hydrofluoric acid, HF) 처리를 진행하였으며, 불산 처리 시간에 따른 반사율 변화를 비교분석 하였다.

가설 설정

  • Schematic diagram of sample. (a) SiNx deposition after Ag nano-dots structure formation, (b) SiNx deposition before Ag nano-dots structure forma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플라즈모닉 효과란 무엇인가? 최근 구리(Copper, Cu), 알루미늄(Aluminum, Al), 은(Silver, Ag) 등과 같은 금속 나노 입자(Nanoparticle)들과 빛의 상호작용으로 발현되는 플라즈모닉 효과(Plasmonic effect)에 대한 관심이 높아 지고 있다[3-8]. 플라즈모닉 효과란, 빛이 구(Sphere)형태의 금속 나노 입자로 입사할 경우 흡수(Trapping) 및 산란(Scattering)되는 현상을 말한다[3-8]. 즉, Fig.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제조에 있어 중요한 이슈는 무엇인가?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제조에 있어서 중요한 이슈들은 효율 개선과 생산 비용 절감이다. 태양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에 의하여 태양전지 내부에는 전자-정공쌍(Electron-Hole pair, EHP)이 생성된다[1,2].
Ag nano-dots 구조와 반사방지막으로써 사용되는 질화막에 의한 반사율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먼저 Ag nano-dots 구조 형성후 질화막 두께에 따른 반사율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질화막 증착 전에 Ag nano-dots 구조 형성으로 모든 질화막 두께 조건에서 반 사율이 오히려 0.5~1% 정도 증가하였고, 반사율 개선 정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번째로 질화막 증착 후 Ag nano-dots 구조를 형성시 질화막 두께에 따른 반사율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질화막의 두께가 55 nm에서 70 nm로 증가할 때까지는 Ag nano-dots 구조 형성으로 반사율이 더 낮은 값을 보였지만, 질화막의 두께가 70 nm 이상이 되면서 오히려 Ag nano-dots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오직 질화막만 증착된 시료들보다 더 높은 반사율을 보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30~75초 동안 불산 처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90 nm 질화막 위에 Ag nano-dots 구조를 형성한후 60초 동안 불산 처리한 시료의 반사율이 질화막만 증착한 시료들보다 0.19% 개선된 반사율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eong-Ho Choi, Si-Cheol Roh, Dong-Yeol Yu, Zhenhua Li, Yeong-Cheol Kim and Hwa-Il Seo, "A Study on HF Chemical Passivation for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Application", J. KSDT, 10(1), pp. 51-55, (2011). 

  2. Jeong-Hwan Kim, Si-Cheol Roh, Jeong-Ho Choi, Jong-Dae Jung, and Hwa-Il Seo, "A Study on Silicon Nitride Films by high frequency PECVD for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J. KSDT, 11(2), pp. 7-11, (2012). 

  3. Jeong-Ho Choi, Si-Cheol Roh, and Hwa-Il Seo,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Ag Nano-Dots Structure to Improve the Light Trapping Effect of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 J. KSDT, 18(3), pp. 19-24, (2019). 

  4. Vivian E. Ferry, Luke A. Sweatlock, Domenico Pacifici and Harry A. Atwaterr, "Plasmonic Nanostructure Design for Efficient Light Coupling into Solar Cells", Nano Lett., vol. 8. pp. 4391-4397, (2008). 

  5. Ragip A. Pala, Justin White, Edward Barnard, John Liu, Mark L. Brongersma, "Design of Plasmonic Thin-Film Solar Cells with Broadband Absorption Enhancements", Adv. Mater., vol. 21, pp. 3504-3509, (2009). 

  6. Jaeho Choi, Bhaskar Parida, Jung Tack Lee, amd Keunjoo Kim, "Nanopatterned silicon emitters of a solar cell fabricated by anodic aluminum oxide masks", Nano Lett., vol. 11, pp. 6318-6322, (2011). 

  7. S. Pillaia, K. R. Catchpole, T. Trupke, and M. A. Green, "Surface plasmon enhanced silicon solar cells", J. Applied Physics, 101(9), 093105, (2007). 

  8. Wanjung Kim, Jong Hyeok Park, "Enhance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in Organic Photovoltaic Devices with Plasmonic Effect", Polym. Sci. Technol., 26(1), pp. 16-24,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