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홍수예보를 위한 공간규모분할기법을 이용한 레이더 강우예측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radar-based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ing using spatial-scale decomposition method for urban flood management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0 no.5, 2017년, pp.335 - 346  

윤성심 (한국외국어대학교 차세대도시농림융합기상사업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공간규모분할 기법(SCDM)을 적용하여 레이더 예측강우를 산정하고, 도시홍수예보 관점에서 기상청 현업 레이더 예측강우(MAPLEKONOS)와 함께 수문학적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간규모분할 기법은 강우를 층운형과 대류성 강우로 분리하여 각각의 이동속도를 고려하여 개별예측 및 재합성하는 것이다. 수도권 영역의 세 호우 사례를 대상으로 기상청 MAPLE 및 KONOS와의 예측강우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한 예측기법은 기법의 단순함에 비해 양호한 예측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강남유역을 대상으로 각 예측강우의 수심모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MAPLE 및 SCDM에 비하여 KONOS가 첨두수심을 보다 정확하게 모의하였으나, 호우의 시간적 패턴 구현의 정확도가 높지 않았다. SCDM의 경우 정량적인 오차는 다소 크게 나타났지만, 전체적으로 관측수심과 유사한 모의 양상을 보였다. 추후 부족한 정량적 정확도를 보정 기법 및 수치예보자료와의 결합을 통해 개선한다면 SCDM의 예측강우가 홍수예보를 위한 입력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generated the radar-based forecasted rainfall using spatial-scale decomposition method (SCDM) and evaluated the hydrological applicability with forecasted rainfall by KMA (MAPLE, KONOS) in terms of urban flood forecasting. SCDM is to separate the small-scale field (convective cell) and 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초기장에 매우 의존하는 이류모델의 영향으로 정량적 정확도의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도시홍수예보 측면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보정기법을 통한 초기장의 정량적 정확도를 개선하여 초기장에 대한 의존성이 높은 SCDM 기법의 정확도를 개선하고, 타 예측기법과의 앙상블 조합을 통해 최적 예측 강우정보를 생산하고자 한다. 또한, 예측 선행시간이 길어질수록 예측력이 약해지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중장기 예측정확도가 높은 기상수치 예보모델결과와 결합하여 예측지속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 본 연구에서는 공간규모분할 기법을 적용하여 레이더 예측강우를 산정하고, 도시홍수예보를 위한 관점에서 기상청 현업 레이더 예측강우와 함께 수문학적 활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홍수예보 활용 관점에서 레이더 예측 강우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강우를 층운형과 대류성 강우로 분리하여 각각의 이동속도를 고려하여 개별 예측을 수행한 후 재합성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기법은 세 호우사례를 대상으로 기상청에서 현업제공하고 있는 레이더 기반 예측강우인 MAPLE과 KONOS과 비교하였다.
  • 본 절에서는 도시홍수예보 측면에서 각 예측강우의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대상은 집중호우로 인한 도시침수 피해 위험이 높은 지역인 강남유역(논현, 역삼, 서초3, 4, 5 배수분구)을 선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우예측이란? x, y축에 수직인 z축을취했 을 때, z = z(x, y, t)는 시간을 고정시키면 1개의 곡면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곡면을 강우강도면이라고 한다. 강우예측이란 이 강우강도면의 변화 예측이라 할 수 있으며, 이류모델에서는 다음 Eq. (2)와 같은 형태를 갖는 강우강도변화의 지배방정식을 사용한다. 여기서 u, v는 강우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이류벡터이며, w는 발달쇠약항을 의미한다.
SCDM의 경우, 초기장의 영향이 예측에 크게 기여하는 이유는? 92로 가장 높았다. 이는 SCDM의 경우 층운형 강우장의 예측 시 단순외삽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초기장의 영향이 예측에 크게 기여하기 때문으로 지상관측강우와 상관성이 높은 레이더 관측강우의 영향이 반영되었다. 따라서 SCDM의REPD는 -17.
큰 규모의 호우로부터 예측이 어려운 작은 규모의 호우를 분리하여 예측을 수행하는 연구가 수행된 이유는? 작은 규모의 대류성 셀(2~20 km)은 짧은 수명을 갖고 있으며, 층상운과같이 큰 규모(20~200km) 호우보다 예측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작은 규모 셀의 짧은 예측성은 호우 내부에서 발생하는 강우의 성장 소멸과정과 이류속도의 차이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Horne et al., 2006). 반면에 전체적인 호우는 호우의 이동이 단시간동안 일정하게 지속되기 때문에 예측성이 높다. 따라서, 큰 규모의 호우로부터 예측이 어려운 작은 규모의 호우를 분리하여 예측을 수행하는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Wolfs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ellon, A., and Zawadzki, I. (1994). "Forecasting of hourly accumulations of precipitation by optimal extrapolation of radar maps." Journal of Hydrology, Vol. 157, pp. 211-233. 

  2. Choi, J. H., Kim, Y. H., and Oh, S. N. (2005). "A verification of VSRF model in five-river basins."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41, No. 3, pp. 347-357. 

  3. Choi, S. M., Yoon, S. S., Lee, B. J., and Choi, Y. J. (2015). "Evaluation of high-resolution QPE data for urban runoff analysi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Vol. 48, No. 9, pp. 719-728. 

  4. Chornoboy, E. S., Matlin, A. M., and Morgan, J. P. (1994). "Automated storm tracking for terminal air traffic control." The Lincoln Laboratory Journal, Vol. 7, pp. 427-447. 

  5. Germann, U., and Zawadzki, I. (2002). "Scale-dependence of the predictability of precipitation of precipitation from continental radar images. Part I: description of the methodology." Monthly Weather Review, Vol. 130, pp. 2859-2873. 

  6. Horne, M. P., Vivoni, E. R., Entekhabi, D., Hoffman, R. N., and Grassotti, C. (2006). "Evaluating the effects of image filtering in short-term radar rainfall forecasting for hydrological applications." Meteorological Application, Vol. 13, pp. 289-303. 

  7. Kim G. S., and Kim, J. P. (2008). "Development of a 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model using weather radar dat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Vol. 41, No. 10, pp. 1023-1034. 

  8. Nakakita, E., Ikebuchi, S., Nakamura, T., Kanmuri, M., Okuda, M., Yamaji, A., and Takasao T. (1996). "Short-term rainfall prediction method using a volume scanning radar and GPV data from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ol. 101, No. D21, pp. 26181-26197. 

  9. Reyniers, M. (2008). Quantitative Precipitation Forecasts based on radar observations: principles, algorithms and operational systems, Royal Meteorological Institute of Belgium. 

  10. Seed, A. W. (2003). "A dynamic and spatial scaling approach to advection forecasting."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ol. 42, pp. 381-388. 

  11. Shiiba, M., Takasao, T., and Nakakita, E. (1984). "Investigation of short-term rainfall prediction method by a translation model." Proceeding 28th Japanese Conference on Hydraulics, JSCE, pp. 423-428 (in Japanese). 

  12. Sugimoto, S., Nakakita E., and Ikebuchi, S. (2001). "A stochastic approach to short-term rainfall prediction using a physically based conceptual rainfall model." Journal of Hydrology, Vol. 242, pp. 137-155, 2001. 

  13. Takada, N., Tanaka, Y., Ikebuchi, S., and Nakakita, E. (2013). "Study on improvement of precipitation nowcast by extraction of convective cell based on horizontal scale." Proceedings of the Japanese conference on hydraulics, JSCE, Vol. 69, No.4, pp. 349-354. 

  14. Wolfson, M. M., Forman, B. E., Hallowell, R. G., and Moore, M.P. (1999). "The growth and decay storm tracker." Preprints, 79th AMS Annual Conference, Dallas, TX, AMS. 

  15. Yoon, S. S., and Bae, D. H. (2010). "The applicability assesment of the short-term rainfall forecasting using translation model."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 Association, Vol. 43, No. 8, pp.695-707.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