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기본간호 실습교육 효과에 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Effect of Web-based Nursing Education contents o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5, 2017년, pp.97 - 105  

엄미란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서연희 (신경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기본간호 실습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M시에 소재하는 대학의 간호학과 2학년 64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13년 9월부터 10월까지 시행되었다. 연구결과는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를 적용한 실험군의 학습동기(t=5.44, p<.001), 실습만족도(t=6.98, p<.001),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p<.001)이 대조군 보다 높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자기주도학습은 두군 간의 차이가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하여 기본간호 실습교육의 효과가 확인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들의 역량강화를 위해 기본간호 실습교육과정에 웹기반 콘텐츠 간호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web-contents nursing education program for fundamental nursing. The study is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64 nursing students in M C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to October in 2013. The resul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최근 임상에서 현장 실무능력을 갖춘 간호인력 양성 요구도가 증가함에 따라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장 필수적인 기본간호 실습교육과 웹기반 콘텐츠를 융합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실습교육 관련 학습능력 증진에 목표를 두고 실시되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 적용 후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관련 요소인 학습동기, 자기주도학습, 실습만족도, 핵심기본간호술 학습 능력의 변화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향후 간호대학생들의 실습 교육 전반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기본간호 실습교육을 적용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를 기본간호 실습 교육에 융합함으로써 그에 대한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개 간호대학의 기본간호학 실습 교과목의 교육과정 내에서 이루어져 본 과목을 수강하는 모든 간호대학생들에게 동일한 간호교육을 제공해야 하는 형평성의 문제를 고려하여 실험 종료 후 대조군에게도 실험군에게 제공되었던 사전교육과 표준화된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로 활용된 Mosby Nursing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을 제공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부 지역 간호대학생으로 연구를 실시하였으므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제한점이 있다.
  • 본 연구는 최근 임상에서 현장 실무능력을 갖춘 간호인력 양성 요구도가 증가함에 따라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장 필수적인 기본간호 실습교육과 웹기반 콘텐츠를 융합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실습교육 관련 학습능력 증진에 목표를 두고 실시되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 적용 후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능력 관련 요소인 학습동기, 자기주도학습, 실습만족도, 핵심기본간호술 학습 능력의 변화 정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여 향후 간호대학생들의 실습 교육 전반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표준화된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가 기본 간호 실습교육에 있어서 학습동기, 자기주도학습능력, 실습만족도,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의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J도에 소재한 4년제 간호학과 2학년 학생 중 기본간호학을 수강한 64명으로 자료수집은 2013년 9월부터 10월까지 6주간 진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간호술기와 실무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국 중환자 전문간호사, 응급 전문 간호사회, 수술 간호사회 등 전문가 집단의 검수를 거친 표준화된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를 기본간호 실습교육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가설 설정

  • 1) 표준화된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기본간호 실습교육을 적용한 실험군은 전통적 학습방법을 실시한 대조군 보다 학습동기 점수가 높을 것이다.
  • 2) 표준화된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기본간호 실습교육을 적용한 실험군은 전통적 학습방법을 실시한 대조군 보다 자기주도학습 점수가 높을 것이다.
  • 3) 표준화된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기본간호 실습교육을 적용한 실험군은 전통적 학습방법을 실시한 대조군 보다 실습만족도 점수가 높을 것이다.
  • 4) 표준화된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를 활용한 기본간호 실습교육을 적용한 실험군은 전통적 학습방법을 실시한 대조군 보다 핵심기본간호술 수행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osby Nursing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표준화된 웹기반 간호교육 콘텐츠로 활용된 Mosby Nursing 프로그램은 520개의 기본간호술에 대해 미국 중환자간호사회 등에서 표준화한 프로토콜을 바탕으로 개발된 간호교육 프로그램으로 국내에서는 동영상 및 한글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18]. 본 연구에서는 각 대학에서 교육하는 기본간호술의 항목은 다소 차이가 있었지만 80% 이상의 대학에서 교육하는 실습항목(투약, 감염관리, 산소화 등)과 기본간호 실습 필요도가 가장 높은 항목(투약, 감염관리, 산소화, 배뇨 등) 등을[3] 고려하고, 실습지침서 내용을 분석하여 기관내 흡인, 비강캐뉼라를 이용한 산소화 요법, 피내주사, 피하주사 4개 학습영역을 선정하였다.
기본간호 실습교육 향상을 위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기본간호실습교육의 문제점이 여전히 대두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2000년 이후 기본간호 실습교육 향상을 위해 전통적 학습방법, 표준화 환자이용, 시뮬레이션 연계수업, 문제해결학습, 기본간호임상입문실습까지 시대적 요구에 따라 다양한 실습방법을 시도하고 있다[5,6].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임상실무에서 요구하는 실습교육의 불충분[7], 임상에서 간호교육과 기본간호 실습교육의 불일치, 각 대학마다 실습 방법과 내용 차이[5] 등으로 기본간호실습교육의 문제점이 여전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 기본간호 실습교육을 보완하기 위해 교수자들은 표준화된 기본간호 실습교육 내용 확립을 위한 새로운 실습교육 매체를 모색하거나 새로운 학문과 융합의 필요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간호교육에서 웹기반 콘텐츠를 융합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간호교육에서 웹기반 콘텐츠를 융합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간호대학생들의 실습교육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습동기를 강화시키는 것이다[10]. 웹기반 콘텐츠를 융합한 실습교육은 교수자의 일방적 강의가 아닌 다양한 자료들의 활용과 교수자와 학습자가 간의 상호작용을 극대화시켜[11] 간호대학생들의 학습동기에 자기주도성을 갖도록 하는 효율적인 방법이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 S. Oh, M. K. Lee, "An Internship Experience to Convergence Program for Undergraduated Nursing Students",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173-185, 2015. 

  2. M. Y. Jho, "Effects of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Education on Self-efficacy, Clinical Competence and Practice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21, No. 3, pp. 292-301, 2014. 

  3. K. H. Kim, S. O. Chang, H. S. Kang, K. S. Kim, K. J. Im, H. S. Kim, J. H. Park, M. R. Eom, M. S. Youn, O. C. Lee, J. S. Won, "Content and Educational Needs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Vol. 18, No. 4, pp. 506-519, 2011. 

  4. J. H. Park, "The Effects of Clinical Convergence Self-directedness Practice Learning Program on Self-directedness and Competency in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4, pp. 51-58, 2016. 

  5. Y. S. Byeon,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 of practicum of fundamentals of nursing in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1, pp. 169-176, 2005. 

  6. J. I. Kim, N. Y. Lim, K. S. Kim, "Development of standard of educational equipment for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in BSN program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Vol. 10, pp. 415-426, 2003. 

  7. M. S. Yoo, "A study for the improvement of a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cours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Vol. 7, pp. 60-70, 2000. 

  8. P. J. Oh, I. O. Kim, S. R. Shin,, H. K. Jung, "The Effect of Web-based Multimedia Contents for a Course of Physical Examination and Health Assessment", Journal of Korea Academy of Nursing, Vol. 35, No. 5, pp. 810-816, 2005. 

  9. I. S. Lee, e-learning: New paradigm of cyber space. Seoul: Muneumsa, 2002. 

  10. O. D. Slevin, M. C. Lavery, "Self-directed learning and student supervision", Nurse Education Today, Vol. 11, No. 5, pp. 368-377, 1991. 

  11. E. J. Kim, S. Y. Hwang, "Development of Web-based Learning Program on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Focused on Clinical Scenarios", Journal of Korea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Vol. 22, No. 1, pp. 70-79, 2010. 

  12. T. L. Levett-Jones, "Self-directed learning: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Vol. 25, No. 5, pp. 363-368, 2005. 

  13. R. A. Kuiper, D. J, Pesut, "Promoting cognitive and metacognitive reflective reasoning skills in nursing practice: self-regulated learning theo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45, No. 4, pp. 381-391, 2004. 

  14. N. M. Yang, S. Y. Moon, "Relationship of self-leadership, stress and satisfaction in clinical practi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7, No. 2, pp. 216-225, 2011. 

  15. E. J. Shin, "A study related to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practice and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um",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5, No. 3, pp. 380-386, 2008. 

  16. Y. H. Kim, "Autonomy, teaching effectivenes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for fundamentals nursing clinical practice in stud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Vol. 13, No. 1, pp. 6-14. 2006. 

  17. M. Tait, D. Tait, F. Thornton, M. Edwards,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ritical care e-learning scenario", Nurse Education Today, Vol. 28, No. 8, pp. 970-980, 2008. 

  18. http://www.nursingskills.kr/. 

  19. Keller,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 C.M. Reigeluth(Ed.) Publishing, 1994. 

  20. H. J. Jang,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Courseware for Injection. Ewha Womans University, Ph.D. thesis, 1996. 

  21. L. Guglielmino, Development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 University of Georgia Ph.D thesis, 1977. 

  22. K. O. Yoo, Self-directedness and demographic and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of adult learners. Seoul National University, Ph.D. thesis, 1997. 

  23. M. S. Yoo, L. Y. Yoo, Y. O. Park, Y. J. Son, "Comparison of student's clinical competency in different instructional methods for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e", Journal of Korea Academy of Nursing, Vol. 32, No. 3, pp. 327-335, 2002. 

  24. E. H. Park, S. Y. Hwang, "Effects of a Web-based Learning Contents in Operating Room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Vol. 11, No. 9, pp. 384-394, 2011. 

  25. Y. H. Kim, "Effects of Utilizing Animation Prior to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ness in Student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Vol. 17, No. 2, pp. 240-248, 2010. 

  26. M. R. Nam, "Effectiveness of Web-Based Learning in Basic Nursing Practice Education-focusing on Asepsis technique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Vol. 12, No. 3, pp. 290-297, 2005. 

  27. S. S. Lee, M. K. Kwon, "Effects of Self-directed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using Smartphone Videos on Self-efficacy, Practice Satisfaction, and Skill Competency",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2, No. 3, pp. 255-263, 2016. 

  28. E. H. Park, H. R. Park, H. A. Kim, "Approaches to Convergence Curriculum for Healthcare-Affiliated Students with Clinical Competence Assessment Program", J.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3, pp. 79-86, 2015. 

  29. B. H. Cho, M. H. Ko, S. Y. Kim, "Effectiveness of web-based learning on competence, knowledge, and confidence in Foley-catheter management in basic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Vol. 11, No. 3, pp. 248-255, 2004. 

  30. M. Ryan, K. Carlton, N. S. Ali, "Evaluation of Traditional classroom Teaching methods versus Course deliverly via the World wide web",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38, No. 6, pp. 272-277,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