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VID-19 특별재난지역의 일개 간호대학생을 위한 웹기반 원격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Using Web-based Distance Program in Home Health Education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in COVID-19 Special Disaster Area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11, 2020년, pp.461 - 473  

하영선 (경일대학교 간호학과) ,  손명지 (경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특별재난지역의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웹기반 원격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방문간호 지식, 지각된 동기,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K시 소재 일개 간호대학생 49명에게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의 유사 실험연구를 수행하였으며, 개발한 웹기반 원격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을 2주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20년 6월 1일부터 6월 12일까지이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C+ 19.0을 이용하여 Fisher' exact test, Wilcoxon rank sum test, ANCOVA 분석을 하였다. 효과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방문간호 지식, 지각된 동기, 학습 몰입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웹기반 원격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학습 몰입 중재를 통해 지각된 동기를 유발하여 방문간호 지식을 높이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using web-based distance program in home health education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in COVID-19 special disaster area. The study was carried out accord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tudy subjects were 49 nursing college students f...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 19 특별재난지역 일개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웹기반 원격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중재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 또한, 교수 학습자 간의 이메일을 통한 과제 관련 개별 피드백을 진행하여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동기를 고취시키고, 학습 자신감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팀별 Zoom 회의 시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웹기반 온라인 교수설계로 인한 한계점을 팀워크를 통해 보완하고자 노력하였다.
  • 전체 회기에 걸쳐 연구자들은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를 활용해 웹기반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 발생하는 웹사이트 접속 차질 등 이벤트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여 학습자들의 학습 몰입에 차질이 없도록 대비하였다. 또한, 교수 학습자 간의 이메일을 통한 과제 관련 개별 피드백을 진행하여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 동기를 고취시키고, 학습 자신감을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팀별 Zoom 회의 시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웹기반 온라인 교수설계로 인한 한계점을 팀워크를 통해 보완하고자 노력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한 웹기반 원격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사전·사후 설계를 적용한 유사 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경상북도 K시의 일 간호대학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웹기반 원격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특징은 코로나 19 특별재난 상황에서 웹기반 원격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임상실습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방문간호 수행 능력을 웹기반 원격 교육을 통해 증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본 연구는 코로나 19 특별재난지역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웹기반 원격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후 이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는 코로나 19 특별재난지역의 일 대학 간호대학생들에게 웹기반 원격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자료수집은 2020년 6월 2주간 실시되었으며, K시 일대학 간호대학생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특별재난지역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웹기반 원격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경상북도 K시의 일 간호대학 4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웹기반 원격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프로그램의 특징은 코로나 19 특별재난 상황에서 웹기반 원격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임상실습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방문간호 수행 능력을 웹기반 원격 교육을 통해 증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설 설정

  • 1) 간호대학생을 위한 웹기반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방문간호 지식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 2) 간호대학생을 위한 웹기반 원격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지각된 동기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 3) 간호대학생을 위한 웹기반 원격 방문간호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보다 학습 몰입 점수가 높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S. M. Kim. (2020). Analysis of Press Articles in Korean Media on Online Education related to COVID-19.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1(6), 1091-1100. 

  2. C. W. Bae. (2003). Development of Virtual Education System and Future of University Education. Journal of of Educational Research, 11, 1-26. 

  3. S. Du, Z. Liu, S. Liu, H. Yin, G. Xu, H. Zhang & A. Wang. (2013). Web-based Distance Learning for Nurse Education: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60(2), 167-177. DOI : 10.1111/inr.12015 

  4. H. Y. Shim & H. D. Song. (2007). The Effects of Learning-Oriented Goal Contexts on Intrinsic Motivation and Achievement in a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13(3), 35-51. 

  5. S. K. Kim & K. Y. Son. (2006). A study on the Effects of Trainee Engagement on a Web-based Training in Corporate Cettings. Koreanische Zeitschrift fuer Wirtschaftswissenschaften, 24(1), 61-87. 

  6. N. Y. Kim & K. S. Jang. (2005). Effects of Web-based Program for Evidence-Based Nursing Education on Knowledge and Learning Motivation in Nurses.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12(1), 9-19. 

  7. M. D. Dixson. (2015). Measuring Student Engagement in the Online Course: The online Student Engagement Scale (OSE). Online Learning (Newburyport, Mass.), 19(4), 143. DOI : 10.24059/olj.v19i4.561 

  8. J. E. Chun. (2019).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ajor Choice Motivation and Perceived Autonomy, Learning Flow of University Freshman Based o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10(3), 1225-1239. DOI : 10.22143/HSS21.10.3.89 

  9. J. H. Park & Y. S. Lee. (2018).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y and Pres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n Web-based e-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oation. 18(3), 2018.3, 215-227 DOI : 10.5392/JKCA.2018.18.03.215 

  10. J. J. Byun & H. Y. Kim. (2019).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s in Visiting Nursing in South Kore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1), 71-80. 

  11. S. O. Lee. (2020). Effects of Postpartum Care Program on the Knowledge and Confidence regarding Postpartum Women and Newborn Care on Visiting Nurses. Journal of Health and Beauty, 14(1), 141-151. 

  12. H. C. Baek. (201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eriatric Visiting Nurses'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eriatric Visiting Nurses' Educational Program, 25(3), 240-248. DOI : 10.22705/JKASHCN.2018.25.3.240 

  13. J. E. Kim & S. S. Kim, (2020).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uicide Prevention Nursing Competency Programs for Visiting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50(1), 14-25. DOI : 10.4040/jkan.2020.50.1.14 

  14. H. C. Baek. (2013). Implementing Home Visiting Simulation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7(1), 40-49. 

  15. H. J. Jang & J. S. Park. (2016). Effectiveness of Simulation Problem-Based Learning for Community Visit Nursing according to Myers Briggs Type Indicator(MBTI) Personality Typ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4), 2577-587. 

  16. J. H. Lee. Y. R. Lee, J. E. Lee, H. C. Baek, H. S. Kim. (2017). Evaluation and Application Effect of a Home Nasogastric Tube Feeding Simulation Module for Nursing Students: An Application of the NLN Jeffries Simulation Theor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8(3), 324-333. 

  17.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and Lang, A.-G.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18. J. H. Ryu, M. J. Kim, S. Y. Kim, H. W. Kim, C. H. Son, Y. M. Lee, G. Lim (2013). Instructional Method and Technology, Seoul : Hakjisa. 

  19. J. B. Choi. (2018). Flipped Learning Instructional Design and Instructional Strategy, Seoul : BM Seongandang 

  20. Elsevier Korea (2020). Mosby's nursing skills Korea. Retrieved August 21, 2020 from http://www.nursingskills.kr/ 

  21. Community Health Nursing Compilation Committee (2019). The latest Community Health Nursing, Paju: Sumunsa.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Promotion. (2019). 2020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 Guide: Visiting Health Management Manual.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Promotion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Promotion. (2019). Community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ject Visiting Health Management: Health Management Manual for the Vulnerable-Intensive Management Group-. Seou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Promotion. 

  24. J. Parsons & L. Taylor. (2011). Improving Student Engagement. Current Issues in Education, 14(1), 3-32. 

  25. M. M. Handelsman, W. L. Briggs, N. Sullivan & A. Towler. (2005). A Measure of College Student Course Engag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8(3), 184-192. 

  26. J. W. You. (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Factor, Psychological Mediators and Motivational Factor for Enhancing Learners' Engagement. Doctoral Dissertation. The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7. S. Y. Kim. (2018). Factors Related to Sleep Duration in Korean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9(1), 153-165. DOI : 10.7465/jkdi.2018.29.1.153 

  28. S. K. Cha & E. M. Lee. (2014). Comparison of Stress,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Students of Other Majo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4), 650-658. DOI : 10.5977/jkasne.2014.20.4.650 

  29. J. S. Park & J. H. Lee. (2018).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skill, depression, and clinical practice stres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10), 254-262. DOI : 10.5762/KAIS.2018.19.10.254 

  30. Y. O. Kim, Y. S. Bae, S. M. KIm, J. J. Yang. (2010). The Effects of Web-Contents Learning for Adult-Care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6(1), 5-13. 

  31. M. R. Nam. (2005). Effectiveness of Web-Based Learning in Basic Nursing Practice Education - focusing on Asepsis technique practic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2(3), 290-297. 

  32. H. S. Nam, K. A. So, S. H. Kim, Y. S. Song, S. H. Kwon & E. H. Oh. (2014). The effects of online nursing education contents on self efficacy,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nursing skills. Journal of the Korean Data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5(6), 1353-1360. DOI : 10.7465/jkdi.2014.25.6.1353 

  33. M. J. Chae & S. H. Choi. (2016). Effectiveness of Student Learning with a Simulation Program focusing on Cardiac Arrest in Knowledge, Self-confidence, Critical Thinking,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8(4), 447-458. DOI : 10.7475/kjan.2016.28.4.447 

  34. B. H. Cho, M. H. Ko & S. Y. Kim. (2004). Effectiveness of Web Based Learning on Competence, Knowledge, and Confidence in Foley-Catheter Management in Basic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1(3), 248-255 

  35. J. Y. Bang & J. S. Kim. (2018). Effects of a Mobile Web-based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onvergence Education for Nurs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3), 307-317. DOI : 10.15207/JKCS.2018.9.3.307 

  36. M. R. Eom & Y. H. Seo. (2017). A Convergence Study about the Effect of Web-based Nursing Education contents on Fundamental Nursing Practic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5), 97-105. DOI : 10.15207/JKCS.2017.8.5.097 

  37. J. Y. Cho, U. S. An & H. S. Jang. (2009). The Effects of Web-based Education and Individuals Characteristics to Participants Commitment and Educational Performan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view, 28(4), 1-2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