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글 글꼴 추천시스템을 위한 크라우드 방식의 감성 속성 적용 및 분석
Application and Analysis of Emotional Attributes using Crowdsourced Method for Hangul Font Recommendation System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20 no.4, 2017년, pp.704 - 712  

김현영 (Dept. of IT Engineeri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임순범 (Dept. of IT Engineeri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researches on content sensibility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are under way. Emotional research on fonts is also underway in various fields. There is a requirement to use the content expressions in the same way as the content, and to use the font emotion and the textual sensibi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글꼴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콘텐츠의 정보 및 부가가치를 높여줄 수 있는 감성적인 글꼴을 선택하려면, 여전히 서체사가 일방적으로 정한 글꼴이름이나 글꼴 제작사명에만 의지하여 취사선택을 하여야 함으로 목적하는 감성의 글꼴선택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문 글꼴의 감성 기반 분류체계와 데이터 프로세싱용 감성 서술 국제표준을 분석하여 이를 한글 글꼴에 응용할 수 있는 감성기반 분류체계의 대표속성을 제안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글추천시스템을 구현하였다.
  • 이들 표준안에서는 데이터 처리 시 주석이나 정의, 서술 등 일반적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감정 분류 체계를 정리하였으나, 아쉽게도 기존의 모든 연구를 통합하여 일관된 단일 감정 분류체계라기 보다는 사용가능한 여러 분류체계를 나열하였고, 각 분류체계를 기반 하여 여러 감정요소를 저장 및 표시하는 방식에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글글꼴의 감정 분류체계를 정의하기 위해서 기존 분류체계 연구 및 표준에서 제안한 여러 방식 중에서 가장 한글글꼴의 감성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기본 안을 선택하고, 이를 실물 글꼴과 사용자들을 통해 검증하는 논의가 필요하다.
  • 위 연구에서는 EmotionML에서 지원하는 12개의 감성 분류체계 중 Mehrabian의 모델[18]인 PAD (Pleasure, Arousal, Dominance) 분류체계가 적합하며, 또한 글꼴전문가들이 한글 글꼴 감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PAD 기본 모델에 추가되기를 희망하는 감성단어 75개를 추출하였다. 75개의 단어를 다시 PAD 모델에서 정의되어진 “긍정적-부정적”, “활동적-수동적”, “부드러운-강한” 어의구별척도(Semantic Differential Scale) 형식의 3개 감성 축으로 정렬하였고, 이 들 중 정렬되지 않는 감성인 “조직적 – 자유로운”을 발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추천시스템에 대한 사용성 평가는 어떠한 방법으로 진행되었나? 첫 번째는 ‘추천 성공율’에 대한 평가이다. ①익숙하고 의도된 글꼴을 미리 생각하고 감성속성을 지정하여 결과순위를 점검한다. ②목적한 글꼴이 없는 상태에서 감성속성을 지정하여 결과로 나타난 글꼴의 순위를 점검한다. 1위이면 10점, 2위면 7점, 3위는 5점, 4위 이하는 3점 이하로 지정하였다.
목적하는 감성의 글꼴선택이 불가능한 이유는? 그러나 글꼴전문가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콘텐츠의 정보 및 부가가치를 높여줄 수 있는 감성적인 글꼴을 선택하려면, 여전히 서체사가 일방적으로 정한 글꼴이름이나 글꼴 제작사명에만 의지하여 취사선택을 하여야 함으로 목적하는 감성의 글꼴선택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문 글꼴의 감성 기반 분류체계와 데이터 프로세싱용 감성 서술 국제표준을 분석하여 이를 한글 글꼴에 응용할 수 있는 감성기반 분류체계의 대표속성을 제안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글추천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글꼴은 어떠한 특성을 갖는가? 정보의 효과적 전달을 위해 정보전달방식이나 재현방식을 디자인하는 것은 인간의 역사와 더불어 존재해 온 개념이다. 이 중 문자정보의 표현수단인 글꼴은 단순히 메시지의 내용만 전달하는 소극적인 형식일 뿐만 아니라 메시지의 내용을 적극적으로 구성하고 그 시대의 정신과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반영하는 문화적인 특성을 갖는 것이라 할 수 있다[1]. 특히 다양한 미디어 기반 콘텐츠 사용이 활성화되면서 의미 있는 문자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글꼴의 활용이 다양화되고 있으며, 글꼴 및 타이포그래피는 우리 언어 정보의 핵심 요소로 데이터 인포그라픽 및 감성표현, 감성 전달을 위한 주요한 수단으로 인정되고 있다[2,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H.J Kang, Fonts Reflect the Times, http://soyowon.org/jboard/?pdetail&codeessay&id19&page22, (accessed Jan., 20, 2017). 

  2. S.W. Hong, "Analysis of the Emergence and Evolution of Business Model for Online Font Market: A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Society Of Korea I llusart, Vol. 14, No. 3, pp. 213-220, 2011. 

  3. J.S. Yoo, M.M. Maeng, and H.G. Chae, "The Study of How Visual Aesthetics in SNS Affects Users' Emotion and Usability," Proceedings of Human-Computer Interaction Korea, pp. 444-447, 2013. 

  4. Korea National Hangul Museum, Survey and Prospect of Font Industry in 2015, Korea National Hangul Museum Research Report, 2015. 

  5. J.P. Hong, Techniques of Report Writing by Consultants with Powerpoint, HanbitMedia, Seoul, 2016. 

  6. A.J. Kastl and I.L. Child, "Emotional Meaning of Four Typographical Variabl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52, No. 6, pp. 440- 446, 1968. 

  7. E. Brown, Font Moods: Emotions Elicited By Different Types Of Fonts, https://www.designmantic.com/blog/infographics/font-moods/, (accessed Feb., 20, 2017). 

  8. B. Koch, "Emotion in Typographic Design: an Empirical Examination," Visible Language Vol. 46, Issue 3, pp. 206-227, 2012. 

  9. D.H. Chang and E.J. Hong, "Research of On-Line Typography Based on Internet User-Sensibility," Proceeding of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Studies, Human-Computer Interaction, pp. 76-82. 2001. 

  10. E.M. Son, A Study on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Font Image for Expressing Emotion in Digital Media, Master's Thesis of Yonsei University, 2007. 

  11. M.H. Moon and D.R. Chang, "The Research on Typeface Impression Depending on Change Of Design Factors,"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and Art, Vol. 16, No. 4, pp. 191-202, 2015. 

  12. W3C, Emotion Markup Language 1.0, W3C Recommendation 22, 2014. 

  13. W3C, Vocabularies for EmotionML, W3C Working Group Note 1, 2014. 

  14. Dafont, http://www.dafont.com/, (accessed Jan., 20, 2017). 

  15. Myfont, http://www.myfonts.com/, (accessed Jan., 20, 2017). 

  16. P. O'Donovan, J. Libeks, A. Agarwala, and A. Hertzmann, "Exploratory Font Selection Using Crowdsourced Attributes," ACM Transactions on Graphics-Proceedings of ACM SIGGRAPH 2014, Vol. 33. Issue 4, pp. 1-9, 2014. 

  17. H.Y. Kim, S.B. Lim, and M.Y. Kim, "Basis Study for Emotional Hangul Font Classification," Proceeding of the Spring conference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9, No. 1, pp. 965, 2016. 

  18. A. Mehrabian, Pleasure-Arousal-Dominance: A General Framework for Describing and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Temperament, Current Psychology, Vol. 14, Issue 4, pp. 261- 292, 1996. 

  19. Korea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Association e-Publishing PG, Hangul Font Production Guides for Font Registration System-Part 2. Design Based Classification, TTAK KO-10.0906-Part2, 2016. 

  20. H.Y. Kim, S.B. Lim, "Standardization Study of Font Shape Classification for Hangul Font Registration System,"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20, No. 3, pp. 571-580, 20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