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양한 접착제로 제조한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의 특성(I) - 단열성능 및 물리적 성질 -
Characteristics of Low Density Fiberboards for Insulation Material with Different Adhesives (I) -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nd Physical Properties - 원문보기

목재공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3, 2017년, pp.360 - 367  

장재혁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이민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강은창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  이상민 (국립산림과학원 임산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단열성능 및 물리적 성질이 우수한 친환경 목섬유 단열재의 제조 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멜라민 요소 폼알데하이드(MUF), 페놀 폼알데하이드(PF), emulsified MDI (eMDI) 및 라텍스계 수지 등 서로 다른 접착제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MUF, PF, eMDI 수지 접착제로부터는 경질(硬質) 저밀도섬유판이, 라텍스계 수지 접착제로부터는 연질(軟質)의 저밀도섬유판이 각각 제조되었다. 모든 저밀도섬유판은 일반 중밀도섬유판에 비해 현저히 낮은 열전도율을 나타냈으며, 압출 발포 폴리스티렌과 유사한 단열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본 연구에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 중 eMDI를 사용한 것은 흡수 두께/길이 팽창률 및 휨 강도 등 물리적 성질이 가장 우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of low density fiberboards (LDFs) manufactured with different adhesive types such as melamine urea formaldehyde (MUF), phenol formalehyde (PF), emulsified MDI (eMDI) and latexes resins. As results, hard LDFs were successfully manufactured b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MUF, PF, eMDI 및 라텍스계 수지 접착제들의 특징에 주목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단열성 및 현장 시공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단열재의 개발을 목적으로 목섬유로부터 경량 저밀도섬유판을 제조하고, 이들의 단열성능 및 물리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열재는 원료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단열재는 열의 흐름, 즉 열의 이동이 높은 곳에서 낮은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의 총칭으로써 어떤 물체로 대류가 일어나지 않는 공기층을 형성하여야 하며 단열성, 불연성, 흡음성 등의 성질이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단열재는 그 원료에 따라서 크게 천연재료와 합성재료를 사용한 것으로 구분되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열재의 약 65%는 합성재료를 사용한 것, 즉 (압출)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등이 차지하고 있다(Park et al., 2012).
단열재의 요구조건은? 단열재는 열의 흐름, 즉 열의 이동이 높은 곳에서 낮은 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물질의 총칭으로써 어떤 물체로 대류가 일어나지 않는 공기층을 형성하여야 하며 단열성, 불연성, 흡음성 등의 성질이 기본적으로 요구된다. 단열재는 그 원료에 따라서 크게 천연재료와 합성재료를 사용한 것으로 구분되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열재의 약 65%는 합성재료를 사용한 것, 즉 (압출)발포 폴리스티렌, 발포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등이 차지하고 있다(Park et al.
녹색 건축 기술 개발의 확립에서 천연재료사용이 중요해지는 이유는? , 2010). 그러나 기존에 개발되어 현재 사용되고 있는 천연재료를 사용한 단열재들이 최근의 제로에너지건물 및 패시브하우스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원료의 투입량 및 최종 제품의 두께 증가가 야기될 수 있으며, 이는 곧 실제 주거공간의 축소와 경제성 및 현장 작업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천연재료를 사용하여 경제적이면서도 경량의 비교적 얇은 단열재를 제조하기 위한 방안 모색은 향후 녹색 건축 기술 개발의 확립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dams, A.D. 1980. EMDI binder for particleboard and waferboard. Proceedings of the 14th international particleboard symposium. Washington State University, Pullman, WA, USA. pp. 195-205. 

  2. Ahn, D.-H. 2015.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thermal storage, humidity and heat bridge control performance of wood fiber insulation. Master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Ajou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3. Al-Homoud, M.S. 2005.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nd practical applications of common building thermal insulation materials. Building and Environment 40: 353-366. 

  4. Hwang, J.-T., Pi, D.-W., Kang, S.-G. 2013. Properties of particleboard using byproduct of plywood manufacture- Evaluation on the elements of surface layer and pre-treatment of particles. Journal of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1(1): 33-41. 

  5. Kang, E.-C., Park, B.-D., Park, H. 2005. Effective uses of isocyanate adhesive using waste oil. Gyeounju, Republic of Korea. 2005 Proc. of the Korean Society of Wood Science and Technology Annual Meeting. pp. 421-424. 

  6. Kang, Y.-J., Lee, J.-H., Lee, H.-Y., Kim, S.-M. 2017. Heating and cooling energy demand evaluating of standard houses according to layer component of masonry, concrete and wood frame using PHPP.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5(1): 1-11. 

  7. Kawasaki, T., Zhang, M., Kawai, S. 1998. Manufacture and propeerties of ultra-low-density fiberboard. Journal of Wood Science 44: 354-360. 

  8. Kim, S.-H., Yu, S.-G., Seo, J.-K., Kim, S.-M. 2013. Thermal performance of wooden building envelope by thermal conductivity of structural members.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41(6): 515-527. 

  9. Korea Standard KS F 3200, Fiberboards, 2016. Korea Standards Association, Seoul, Republic of Korea. 

  10. Lee, J.-H., Kim, J.-H., Kim, S.-M., Kim, J.-T. 2013. Characteristics of particleboards using tannin resin as novel environment-friendly adhesion system. Indoor and Built Environment 22(1): 61-67. 

  11. Lee, S.-M., Kang, E.-C., Lee, M., Park, S.-B. 2016. Phenolic resin adhesives for wood. Report No. 691.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Republic of Korea (ISBN: 979-11-6019-071-7). 

  12. Lee, S.-M., Park, S.-B., Park, J.-Y. 2012. Characteristics of urea resin modified by melamine or phenol. Daegu, Republic of Korea. 2012 Proc. of the Korean Society of Wood Science and Technology Annual Meeting. pp. 220-221. 

  13. Lee, W.-K., Chun, J.-H. 2012. Trend of nonsolvent adhesive.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13(4): 193-196. 

  14. Papadopoulos, A.N., Hill, C. A. S., Traboulay, E., Hague, J. R. B. 2002. Isocyanate resins for particleboard: PMDI vs EMDI. Holz als Roh- und Werkstoff 60: 81-83. 

  15. Park, J.-M., Kim, D.-H., Suh, D.-J. 2012. Recent research trends for green building thermal insulation materials. Clean Technology 18(1): 14-21. 

  16. Park, S.-K., Won, J.-P., Park, C.-G., Kim, J.-O. 2008. Prediction of corrosion threshold reached at steel reinforcement embedded in latex modified concrete with mix proportion fact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0(6): 49-60. 

  17. Pizzi, A. 2014. Synthetic adhesives for wood panels. Reviews of Adhesion and Adhesives 1: 85-126 (DOI: 10.7569/RAA.2013.097317). 

  18. Sonderegger, W., Niemz, P. 2009. Thermal conductivity and water vapour transmission properties of wood-based materials. European Journal of Wood and Wood Products 67: 313-321. 

  19. Sonderegger, W., Niemz, P. 2012. Thermal and moisture flux in soft fibreboards. European Journal of Wood and Wood Products 70: 25-35. 

  20. Troppova, E., Svehlik, M., Tippner, J., Wimmer, R. 2015. Influence of temperature and moisture content on the thermal conductivity of wood-based fibreboards. Materials and Structures 48: 4077-4083. 

  21. USDA Forest Service. 1968. Thermal insulation from wood for buildings: Effect of moisture and its control. Research Paper.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Forest Service, WI, USA. 

  22. Uysal, B., Kurt, S., Ozcan, C. 2009. Thermal conductivity of laminated veneer lumbers bonded with various adhesives and impregnated with various chemicals. BioResources 4(2): 756-770. 

  23. Yun, K.-K., Hong, C.-W., Lee, J.-H., Choi, S.-L. 2002. Strength development and permeability of latex-modified concrete with rapid-setting cement.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14(3): 299-306. 

  24. Zhou, X.-Y., Zheng, F., Li, H.-G., Lu, C.-L. 2010. An environmental-friendly thermal insulation material from cotton stalk fibers. Energy and Buildings 42: 1070-10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