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둑을 재활용한 한국형 무경운 유기 농업 IV. 분할관수와 유기물처리에 의한 시설 고추 유기재배 토양 미생물상과 토양 효소의 변화
Korean-Style No-tillage Organic Agriculture on Recycled Ridge IV. Changes in Soil Microorganisms and Enzymes by Split Irrigation and Organic Matter Application in Organic Farming of Red Pepper in Plastic Film Greenhouse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5 no.2, 2017년, pp.311 - 328  

양승구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연구소) ,  신길호 (전라남도농업기술원 친환경농업연구소) ,  송용수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화학과 친환경농업연구) ,  김길용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화학과 친환경농업연구) ,  정우진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화학과 친환경농업연구)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두둑과 고랑을 재활용한 한국형 무경운 농업에서 유기물 투입과 관수 효과를 구명하고자 무경운 토양에서 시험을 수행하였다. 1. 토양 미생물상 1회 전량관수 조건에서 대두박 투입 처리구의 토양 세균과 곰팡이 수는 대두박 무 투입구에 비하여 많았다. 그리고 유기질비료 투입량이 표준시비량 66%까지 증가되면 세균과 곰팡이 수는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에서는 세균과 곰팡이 수가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곰팡이/세균 비율은 관수 방법과 관계없이 대두박 투입 처리에서 0.6과 1.1로, 무투입 처리의 0.2와 0.5보다 2배 이상 높았다. 1회 전량 관수 조건에서 유기질 비료 시비량이 증가되면 대두박을 투입한 처리는 방선균 수는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대두박 무투입에서는 증가되었다. 2회 분할 관수는 1회 전량관수에 비하여 대두박 무 투입 조건에서 세균과 곰팡이 수가 증가되었으나, 대두박 투입조건에서는 방선균 수가 증가되었다. 2. 토양 효소 유기질 비료의 시비량이 증가되면 토양 내 Chitinase 활성은 대두박 투입 토양에서 감소되고, 대두박 무 투입에서는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대두박을 투입에 관계없이 2회 분할 관수는 1회 전량관수에 비하여 Chitinase 활성이 증가되었다. 1회 전량관수 조건에서 대두박 투입 처리구의 ${\beta}$-Glucosidase 활성은 무투입에 비하여 높았으며, 유기질 비료 투입량이 증가되면 표준시비량의 66%까지는 ${\beta}$-Glucosidase 활성이 증가되었으나, 표준시비량에서는 감소되었다. 대두박 무투입 조건에서 2회 분할관수 토양 내 ${\beta}$-Glucosidase 활성은 1회 전량관수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었다. 1회 전량관수 조건에서 대두박을 투입한 처리의 N-acetyl-${\beta}$-D-glucosaminidase의 활성은 무투입구에 비하여 높았다. 대두박 투입 처리에서 유기질 비료 투입량이 표준시비량의 66%까지 증가되면 N-acetyl-${\beta}$-D-glucosaminidase의 활성은 증가되었으나, 표준시비량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대두박 무투입 조건에서 2회 분할관수는 1회 전량관수에 비하여 N-acetyl-${\beta}$-D-glucosaminidase의 활성은 증가되었다. 대두박 무투입 조건에서 유기질 비료 시비량이 표준량의 66% 수준에서는 토양 내 산성인산가수분해효소(Acid phosphatase)의 활성 높았다. 대두박 투입 조건에서는 유기질 비료 시비량이 증가되면 산성인산가수분해효소(Acid phosphatase)의 활성은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3. 토양 AMF 대두박 무투입 조건에서 유기질 비료의 투입량이 표준시비량의 66%까지 증가되면 토양의 내생균근균의(AMF) 포자수는 증가되었으나, 유기질 비료 투입량이 표준시비량에서는 근균의 포자수는 감소되었다. 그러나 대두박 투입에서 근균의 포자수는 유기질 비료 투입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내생 근균의 고추 뿌리에 정착률은 대두박 투입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2회 분할 관수도 같은 경향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oil microorganisms and soil enzymes by split irrigation and organic matter application under no-tillage green house conditions. Soil bacteria and fungi abundances were higher in soybean cake fertilizer than in the soil without the soybean ca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두둑을 재활용한 한국형 무경운 농업’에 있어서 관수방법과 유기 물 시용방법이 토양 미생물과 내생균근균, 토양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형 무경운 농업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방안의 하나로 앞그루 작물을 재배할 때 만들어진 기존의 두둑 과 고랑을 재활용하는 한국형 무경운 농업은 토양 물리성의 개선, 노동력과 생산비의 절감, 온실가스의 감소, 토양 생물상의 증가 등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Yang et al., 2011; 2012; Lee et al.
무경운 농업이 나오게 된 배경은 무엇인가? 우리나라 농업은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는데, 한반도에서는 구석기 시대의 주먹도끼 (Hnad axe) 등 다양한 석기들이 출토되고 있으며, 신석기시대의 유적으로 알려진 서울 근교의 한강변 미사리에는 백제시대의 하층과 상층의 밭 경작 유구가 발굴되었는데, 하층은 4~5세기경으로 부분기경(部分起耕)이 실시되었으며, 상층은 6세기경으로 밭 전체를 갈이하는 상경화(常耕化)가 실시된 것으로 보고되고있는 등(Korean historical association Report, 1999) 경운은 우리 문화형성과 발전에 크게 기여하여 왔다(Yang and Jung, 2016). 그러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경운은 대형농기계의 하중에 의한 토양 다짐의 결과로 토양 물리성 악화, 토양 생물상의 감소와 뿌리 성장의 제한, 에너지 과다 소모 등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Kim et al., 1997; Yang et al.
우리나라 농업의 유구한 역사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농업은 유구한 역사를 지니고 있는데, 한반도에서는 구석기 시대의 주먹도끼 (Hnad axe) 등 다양한 석기들이 출토되고 있으며, 신석기시대의 유적으로 알려진 서울 근교의 한강변 미사리에는 백제시대의 하층과 상층의 밭 경작 유구가 발굴되었는데, 하층은 4~5세기경으로 부분기경(部分起耕)이 실시되었으며, 상층은 6세기경으로 밭 전체를 갈이하는 상경화(常耕化)가 실시된 것으로 보고되고있는 등(Korean historical association Report, 1999) 경운은 우리 문화형성과 발전에 크게 기여하여 왔다(Yang and Jung, 2016). 그러나 많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과도한 경운은 대형농기계의 하중에 의한 토양 다짐의 결과로 토양 물리성 악화, 토양 생물상의 감소와 뿌리 성장의 제한, 에너지 과다 소모 등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미사리 삼국시기 밭 유구의 농업", 김기흥 국역사학회(Korean historical association) 보고서, 제146집 pp. 1-26. 

  2. Anderson J. M. 1991.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decomposition processes in grassland and coniferous forests. Ecol. Appl. 1: 326-437. 

  3. Bardgett, R. D. and E. McAlister. 1999. The measurement of soil fungal: bacterial biomass ratios as an indicator of ecosystem selfregulation in temperate meadow grasslands. Biol. Fert. Soils. 29: 282-290. 

  4. Boerner, Ralph E. J., Kelly, L. M. Decker, Elaine kennedy sutherland. 2000. Prescribed burning effects on soil enzyme activity in a southern ohio hardwood forest: a landscape-scale analysis. Soil Biol. Biochem. 32: 899-908. 

  5. Boyle, S. A., R. R. Yarwood, P. J. Bottomley, and D. D. Myrold. 2008. Bacterial and fungal contributions to soil nitrogen cycling under douglas fir and red alder at two sites in oregon. Soil Biol. Biochem. 40: 443-451. 

  6. Chang, E. H., R. S. Chung, and Y. H. Tsai. 2007. Effect of different application rates of organic fertilizer on soil enzyme activity and microbial population. Soil Sci. Plant Nutr. 53: 132-140. 

  7. Clegg, C. D. 2006. Impact of cattle grazing and inorganic fertiliser additions to managed grasslands on the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 of soils. Appl. Soil Ecol. 31: 73-82. 

  8. Daniels, B. A. and H. D. Skipper. 1982. Methods for the recovery and quantitative estimation of propagules from soil. In: NC Schenck. Methods and principles of mycorrhizal research. St. Paul, Minn., USA: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pp. 29-35. 

  9. Lee, E. H., B. Y. Lee, Y. B. Lee, Y. S. Kwon, and J. W. Lee. 1998. Nitrate content and activities of nitrate reductase and glutamine synthease as affected by ionic strength, nitrate concentration, ratio of nitrate to ammonium in nutrient solution for culture of leaf lettuce and water dropwort. J. Kor. Soc. Hort. Sci. 39: 161-165. 

  10. Eivazi, F. and M. A. Tabatabai. 1988. Glucosidases and agalactosidases in soils. Soil Biol. Biochem. 20: 601-606. 

  11. Garcia-Gil J. C., Plaza C., Soler-Rovira P., and A. Polo. 2000. Long-term effects on municipal solid waste compost application on soil enzyme activities and microbial biomass. Soil Biol. Biochem. 32: 1907-1913. 

  12. Hu, C. and Z. Cao. 2007. Size and activity of the soil microbial biomass and soil enzyme activity in long-term field experiments. World J. Agri. Sci. 3: 63-70. 

  13. Kim, K. S., Y. B. Lee, S. J. Hwang, B. R. Jeong, and C. G. An. 2013. Irrigation method of nutrient solution affect growth and yield of paprika 'eyron' grown in rockwool and phenolic foam slabs. Kor. J. Hort. Sci. Technol. 31(2): 179-185. 

  14. Kim, P. J., D. K. Lee, and D. Y. Chung. 1997. Effects of soil bulk density on 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nd solute elution patterns. J. Korea Soc. Soil Sci. Fert. 30: 234-241. 

  15. Kim. Y. H., J. H. Lim, C. H. An, B. K. Jung, and S. D. Kim. 2012. Soil microbial community analysis using soil enzyme activities in red pepper field treated microbial agents. J. Appl. Biol. Chem. 55(1): 47-53 

  16. Kirschbaum, M. U. F. 1995.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soil organic matter decomposition, and the effect of global warming on soil organic C storage. Soil Biol. Biochem 31: 205-211. 

  17. Lee, Y. H. and S. K. Ha. 2011. Impacts of chemical properties on microbial population from upland soils in gyeongnam province. Kor. J. Soil Sci. Fert. 44(2): 242-247. 

  18. Lee, Y. H., M. K. Kim, and Y. S. Ok.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microbial characteristics and glomalin concentrations in paddy soils of gyeongnam province. Kor. J. Soil Sci. Fert. 45(5): 792-797. 

  19. Nobili, D. M., M. Contin, and P. C. Brookes. 2006. Microbial biomass dynamics in recently air-dry for up to 103 years. Soil Biol. Biochem. 38: 2871-2881. 

  20. Park, K. C., Y. S. Kim, O. H. Kwon, T. R. Kwon, and S. G. Park. 2008. Effects of organic amendments on soil microbial community in red pepper field. Korean J. Soil Sci. Fert. 41(2): 118-125. 

  21. Sarapatka, B., L. Dudova, and M. Krskova. 2004. Effect of pH and phosphate supply on acid phosphatase activity in cereal roots. Biologia, Bratislava, 59: 127-131. 

  22. Skujins, J. 1976. Extracellular enzymes in soil. CRC Crit. Rev. Microbiol. 4: 383-421. 

  23. Sohn, B. K., S. Y. Jin, H. L. Kim, J. S. Cho, and D. J. Lee, 2008. Improvement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MF) propagule at the preplanting field for ginseng cultivation. Kor. J. Soil Sci. Fert. 41(3): 170-176. 

  24. Tabatabai, M. A. 1982. Soil enzymes, pp. 903-947. In: Page, A. L., R. H. Miler, and D. R. Keeney. (eds.). Methods of soil analysis, Part 2. 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Amer. Soc. Agron. Madison, WI(USA). 

  25. Tadesse, T., M. A. Nichols, and K. J. Fisher. 1999. Nutrient conductivity effects on sweet pepper plants grown using a nutrient film technique. 2. lossom-end rot and fruit mineral status. New Zealand J. Crop Hort. Sci. 27: 239-247. 

  26. Trotta, A., G. C. Verese, E. Gnavi, A. Fusconi, S. Sampo, and G. Gerta. 1996. Interaction between the soilborne root pathogen Phytophthora nicotianae var. parasitica and the arbuscular mycorrhizal fungus Glomos mosseae in tomato plants. Plant Soil. 185: 199-209. 

  27. Wasaki, J., T. Yamamura, T. Shinano and M. Osaki. 2003. Secreted acid phosphatase is expressed in cluster roots of lupin in response to phosphorus deficiency. Plant Soil. 248: 129-136. 

  28. Wright, S. F. and A. Upadhyaya. 1996. Extraction of an abuneant and unusual protein from soil and comparison with hyhal protein from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Soil Sci. 161: 575-585. 

  29. Wright, S. F., J. L. Starr, and I. C. Paltineanu. 1999. Changes in aggregate stability and concentration of glomalin during tillage management transition. Soil Sci. Soc. Am. J. 63: 1825-1829. 

  30. Yang, S. K., D. I. Kim, H. K. Kim, J. K. Yang, Y. S. Han, and W. J. Jung. 2017. No-tillage agriculture of korean-style on recycled ridge. IV. Changes in ppepper yield and distribution of animalcule with split irrigation and organic matter at plastic film greenhouse soil in organic cultivation of no-tillage systems. Korean J. Soil Sci. Fert. 25(2): 329-344 

  31. Yang, S. K., G. H. Shin, H. K. Kim, H. W. Kim, K. J. Choi, and W. J. Jung. 2015a. Changes of chemical properties and correlation under no-tillage silt loam soil with ridge cultivation of plastics film greenhouse condition. Korean J. Soil Sci. Fert. 48(3): 170-179. 

  32. Yang, S. K., G. H. Shin, H. K. Kim, H. W. Kim, K. J. Choi, and W. J. Jung. 2015b. Effects of no-yillage and split irrigation on the growth of pepper organically cultivated under plastic film greenhouse condition. Korean J. Organic Agri. 23(4): 781-796. 

  33. Yang, S. K., G. H. Shin, S. K. Kim, D. I. Kim, and W. J. Jung. 2017. No-tillage agriculture of korean-style on recycled ridge III. Changes in pepper growth and biodiversity at plastic film greenhouse soil in organic cultivation of no-tillage systems. Korean J. Soil Sci. Fert. 25(1): 71-84. 

  34. Yang, S. K,. Y. W. Seo, B. H. Kim, B. K. Sohn, C. D. Wee, J. H. Lee, W. J. Jung, and R. D. Park. 2011. Characteristics of spore density and colonization pattern of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on the no-tillage soil under greenhouse condition. Kor. J. Org. Agri. 19(3): 343-355. 

  35. Yang, S. K., Y. W. Seo, J. H. Son, J. D. Park, K. J. Choi, and W. J. Jung. 2012. Properties of pepper growth and yield, cost down with no-tillage organic cultivation in vinyl greenhouse. Korean J. Org. Agri. 20(3): 411-422. 

  36. Yang, S. K., Y. W. Seo, S. K. Kim, B. H. Kim, H. K. Kim, H. W. Kim, K. J. Choi, Y. S. Han, and W. J. Jung. 2014.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especially, three phases, bulk density, porosity and correlations under no-tillage silt loam soil with ridge cultivation of rain proof plastic house. Korean J. Soil Sci. Fert. 47(4): 225-234. 

  37. Yedidia, I., N. Benhamou, Y. Kapulnik, and I. Chet. 2000. Induction and accumulation of PR proteins activity during early stages of root colonization by the Mycoparasite Trichoderma harzianum strain T-203. Plant Physiol. Biochem. 38: 863-8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