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수수의 종자와 새싹채소의 기능성분 분석
Analysis of Functional Compounds on the Seeds of Sorghum (Sorghum bicolor Moench) and Their Sprouts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5 no.2, 2017년, pp.499 - 511  

전현식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농학.한약자원학부) ,  전승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종자실용화연구소) ,  조영손 (경남과학기술대학교 농학.한약자원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유기농 수수의 곡물과 새싹채소의 주요 기능성 성분인 항산화성분항산화 활성, 일반성분을 알아봄으로써, 수수의 유기농 농산물로써의 다양한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수수의 유광 새싹채소는 종자에 비해 조단백질 함량이 2.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기성분에서도 새싹채소에서 1.6~9.87배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성분 중 총 polyphenol 함량은 유광 새싹채소에서 평균 $4,135mg\;GAE\;g^{-1}$으로 높았으나, flavonoid 함량은 종자에서 평균 $3.86mg\;GAE\;g^{-1}$으로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종자에서 평균 $15.78mg\;TE\;g^{-1}$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유광 새싹채소와 무광 새싹채소에서는 평균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는 종자에서 평균 $15.79mg\;TE\;g^{-1}$으로 새싹채소에 비해 11배 이상의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특히, '동안메'는 황금찰, 남풍찰 및 소담찰에 비해 종자와 새싹채소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나타내었다.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은 품종과는 유의성이 없었으나, 광처리와는 매우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 따라서 유기농 항산화 식품 및 천연 항산화제 공급원의 이용시 종자('동안메')를 이용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수수 새싹채소의 영양학적인 유기농 식품으로써의 이용에 대한 추가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antioxidant compounds, antioxidative activity and chemical properties in organically cultivated sorghum seed and their sprout, and to examine as a basic data for various application methods as an organic farming product of sorghum. The crude protein and mineral cont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유기농 수수의 곡물과 새싹채소의 주요 기능성 성분인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 활성, 일반성분을 알아봄으로써, 수수의 유기농 농산물로서 다양한 활용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얻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수에는 어떤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가? , 1995; Wiedenfeld and Matocha, 2010). 또한 수수는 식이섬유, phenolic compounds 등의 유효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phenolic compounds는 플라보노이드, 탄닌, 페놀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대부분 플라보노이드로 알려져 있다(Chae and Hong, 2006; Kim et al., 2006).
라디칼 소거작용는 인체에 어떤 역할을 하는가? 천연물의 항산화활성은 활성 라디칼에 전자를 공여하고 식품 중의 지방질 산화를 억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인체 내에서는 활성 라디칼에 의한 노화를 억제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라디칼 소거작용은 인체의 질병과 노화를 방지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Kim et al., 2001).
일반 채소 대비 새싹채소의 장점은 무엇인가? 새싹채소는 일반 채소보다 크기는 작지만 발아에 의한 다양한 생리작용에 의하여 5~10배의 영양소를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Khalil et al., 2007), 아미노산, 탄수화물, 미네랄, 비타민 및 폴리페놀 등 건강 기능성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이 높아 건강기능성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다(Badshah et al., 1991; Cevallos-Casals and Cisneros-Zevallos, 2010; Choi et al.,1996; Feng, 1997; Lee et al., 2012). 또한 농약 없이 재배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청정채소이며, 세포벽이 얇아 함유된 영양소 배출이 용이하여 인체 흡수가 빠른 장점이 있다(El-Adawy,2002; Khalil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4:17, 32:21, 22, 32. 

  2. Awika, J. M., L. W. Rooney, and R. D. Waniska. 2005. Anthocyanins from black sorghum and their antioxidant properties. Food Chem. 90: 293-301. 

  3. Badshah, A., A. Zed, and A. Sattar. 1991. Effect of soaking, germination and autoclaving on selected nutrients of rapeseed. Pak. J. Sci. Ind. Res. 34: 446-448. 

  4. Bennett, W. F., B. B. Tucker, and A. B. Maunder. 1990. Modern grain sorghum production. Iowa state Univ. Press, Ames. 

  5. Cevallos-Casals, B. A. and L. Cisneros-Zevallos. 2010. Impact of germination on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ntioxidant activity of 13 edible species. Food Chem. 199: 1485-1490. 

  6. Chae, K. Y. and J. S. Hong.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with different amounts of waxy sorghum flour. Kor. J. Food Cook. Sci. 22: 363-369. 

  7. Chi, H. Y., J. S. Roh, J. T. Kim, S. J. Lee, M. J. Kim, S. J. Hahn, and I. M. Chung. 2005. Light quality on nutritional composition and isoflavones content in soybean sprouts. Kor. J. Crop Sci. 50: 415-418. 

  8. Choi, B. H., B. H. Hong, K. H. Kang, J. K. Kim, and S. H. Kim. 1996. Sinje seed learning. Hyangmunsa, Seoul. (in Korean) 

  9. Dewanto. V., W. Xianzhong, and R. H. Liu.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10. Droge, W. 2001. Free radicals in the physiological control of cell function. Physiol. Rev. 82: 47-95. 

  11. Dykes, L. and L. W. Rooney. 2006. Sorghum and, millet phenols and antioxidants. J. cereal Sci. 44: 236-251. 

  12. El-Adawy, T. A. 2002.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nutritional factors of chickpeas (Cicer arietinum L.) undergoing different cooking methods and germination. Plant Food Human Nut. 57: 83-97. 

  13. Feng, P. 1997. A summary of background information and food borne illness associated with the consumption of sprouts. Center for Food Safety and Applied Nutrition.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Washington. D.C. 

  14. Grimmer, H. R., V. Parbhoo, and R. M. McGrath. 1992. Antimutagenicity of polyphenol-rich fraction from Sorghum bicolor grain. J. Sci. Food Agric. 59: 251-256. 

  15. Hahn, D. H., L. W. Rooney and C. F. Earp. 1984. Tannin and phenols of sorghum. Cereal Foods World. 29: 776-779. 

  16. Halliwell, B., R. Aeschbach, J. Loliger, and O. I. Aruoma. 1995. The characterization of antioxidants. Food Chem. Toxicol. 33: 601-607. 

  17. Khalil, A. W., A. Zed, F. Mahmmod, S. Tariq, A. B. Khattak, and H. Shah. 2007. Comparison of sprout qquality characteristics of desi and kabuli type chickpea culitivars (Cicer arietinum L.). LWT 40: 937-945. 

  18. Khosla, R., N. Persaud, N. L. Powell, and, D. E. Brann. 1995. Water use sorghum on amarginal soil in eastern virginina. P: 433. In 1995 Agronomy abstracts. ASA Madison. WI. 

  19. Kil, H. Y., E. S. Seong, B. K. Ghimire, I. M. Chung, S. S. Kwon, E. J. Goh, K. Heo, M. J. Kim, J. D. Lim, D. Lee, and C. Y. Yu. 2009.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crude sorghum extract. Food Chem. 155: 1234-1239. 

  20. Kim, K. O., H. S. Kim, and H. S. Ryu. 2006. Effe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su-su) water extracts on mouse immune cell activation. J. Kor. Diet Assoc. 12: 82-88. 

  21. Kim, J. E., S. I. Joo, J. H. Seo, and S. P. Lee. 2009. Antioxidant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tratary buckwheat extract obtained by the treatment of different solvents and enzy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89-995. 

  22. Kim, J. E., Y. S. Cho, and S. K. Sung. 2001. The antioxidant abi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plant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33: 626-632. 

  23. Ko, J. Y., S. B. Song, J. S. Lee, J. R. Kang, M. C. Seo, B. G. Oh, D. Y. Kwak, M. H. Nam, H. S. Jeong, and K. S. Woo. 2011. Changes in chemical component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germination. J. Kor. Soci. Food Sci. Nutr. 40(8): 1128-1135. 

  24. Kuo, T. M., J. F. VanMiddlesworth, and W. J. Wolf. 1988. Content of raffinose and oligosaccharides and sucrose in various plants. J. Agri. Food Chem. 36: 32-36. 

  25. Lee, E. H. and C. J. Kim. 2008. Nutritional changes of buckwheat during germination. K. J. Food Cul. 23: 121-129. 

  26. Lee, J. J., Y. M. Lee, H. D. Shin, Y. S. Jeong, and M. Y. Lee. 2007. Effects of vegetable sprout power mixture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high fat diet. J. Kor. Soci. Food Sci. Nutr. 36: 965-974. 

  27. Lee, M. J., S. Y. Lim, J. K. Kim, and M. M. Oh. 2012. Heat shock treatments induce the accumulation of phytochemicals in Kale sprouts. K. J. Hort. Sci. Tech. 30: 209-518. 

  28. Lee, S. M. and J. Lee. 2006. Tocopherol and tocotrienol contents of vegetable oils, margarines, butters, and peanut butters consumed in Korean diet. Food Sci. Bio. 15: 183-188. 

  29. Middleton, E., and C. Kandaswami. 1994. Potential health-promoting properties of citrus flavonoidds. Food Tech. 48: 115-119. 

  30. Nieva, M. M., A. R. Sampietro, and M. A. Vattuone.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 71: 109-114. 

  31. Park, K. J., J. H. Lim, J. H. Kim, J. W. Jeong, J. H. Jo, and S. W. Jeong. 2007. Reduction of microbial load on radish (Raphanus sativus L.) seeds by aqueous chlorine dioxide and hot water treatments. K. J. Food Preser. 14: 487-491. 

  32. Rice-Evans, C. A., N. J. Miller, and G. Paganga.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 Plant Sci. 2: 152-159. 

  33. Soriano, J. M., H. M. Rico, J. C. Manes, and J, Manes. 2000. Assessment of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wash treatments of lettuce served in university restaurants. Int J. Food Microbiol. 58: 123-128. 

  34. Wiedenfeld, B. and J. Matocha. 2010. Planting date, row configuration and plant population effect on growth and yield of dryland sorghum in subtropical South taxas. Archi. Agro. Soil Sci. 56(1): 39-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