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속 과제의 학습 경로 분석: 넓이와 부피를 중심으로
How do Korean Elementary Textbooks Pace Students' Learning to Learning Trajectories? : Focus on Area and Volume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7 no.2, 2017년, pp.207 - 225  

고은성 (전주교육대학교) ,  이은정 (전주교육대학교) ,  황지현 (아이오와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생의 학습기회를 형성하는 데 있어 교과서는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를 고려하면 교과서 분석은 학생들에게 어떠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지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교과서를 학습 경로(learning trajectory)에 제시된 넓이와 부피 개념의 이해의 발달 단계에 비추어 분석하였다. 1~6학년의 수학교과서 속의 넓이와 부피에 관한 과제들을 그 과제를 해결하는데 요구되는 사고와 행동을 기초로 학습 경로에 제안 된 발달 단계를 이용하여 코딩하였다. 그 결과, 수학교과서 속의 과제와 학습 경로 간의 상당한 불일치를 발견하였다. 우선, 교과서는 학습 경로에 제안 된 나이보다 상당히 늦게 해당 학습 기회를 제공하였다. 또한, 넓이의 경우 5학년, 부피의 경우 6학년에 학습 기회가 집중되어 있었으며, 이런 집중된 학습 기회도 개념의 발달보다는 넓이 또는 부피의 공식을 적용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과서 개발뿐만 아니라 수학수업에서 학생의 학습 기회를 확장시키는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a significant role of textbooks in shaping students' opportunities to learn, textbook analysis is essential to reveal these opportunities to learn the concept of area and volume. This research aims to show how the Korean textbooks pace students' learning of area and volume across grades by scru...

Keyword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설학습경로의 특징은? 예를 들면, 학생의 이전 단계의 학습 결과에 따라 특정 발달 단계를 건너뛰도록 과제를 구성할 수도 있고, 학생의 어려움을 보고 이전의 발달 단계나 건너 뛴 단계의 과제를 다시 제시할 수 있다. 이런 가설학습경로는 학습을 교수보다 우선순위에 둘 뿐만 아니라, 동시에 학습과 관련된 학습 목표, 이용 가능한 과제들, 학생의 사전 지식과 경험 등이 포함된 교수학적 의사결정을 강조한다.
측정이 학생들의 일상생활에 중요한 부분인 이유는? 측정은 학생들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길이, 넓이, 부피, 그리고 각도의 개념은 학생들의 생활 속 경험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수학을 배우는 데 있어 기하를 비롯한 여러 분야와 연결되어 있다. 수와 도형, 두 개념의 연결고리로서, 넓이와 부피에 대한 이해는 다른 대수적 개념, 즉 곱셈이나 분수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서로 중요한 기반이 되며, 측정과 관련된 실생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수학교실에서 학생들이 넓이와 부피를 학습하는데 어떤 한계점이 있는가? 이와 동시에, 많은 선행연구들이 넓이와 부피를 학습하는데 있어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관찰하고 이를 극복하도록 도울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예를 들면, 변의 길이를 더하여 넓이를 구하거나 면의 개수를 세어 부피를 구하는 학생들이 넓이와 부피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형성하는데 기여 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노력하였다(Clements, Battista, & Sarama, 2001). 그러나 수학교실에서 학생들은 여전히 정답을 얻기 위한 공식의 적용을 반복할 뿐, 개념의 이해를 발달시키거나 정답으로 구한 값의 의미를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충분히 갖지 못하는 제한적인 학습 기회의 상황에 놓여 있다(Clements & Battista, 199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혜정 (2013). 부피 비교 맥락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4,5학년 학생들의 추론 능력에 관한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박승주 (2007).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이 사용하는 어림 측정 전략에 관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박은률, 백석윤(2010). 평면도형의 넓이 학습에서 나타나는 인식론적 장애. 수학교육학연구, 20(3), 305-322. 

  4. 방정숙, 김상화, 박금란(2006). 초등교사의 수학과 교수법적 내용 지식 정립을 위한 교수학습 자료개발. 2005학년도 교과공동연구결과 보고서. KRF-2005-030-B00045, 1943-2029. 

  5. 안선영, 방정숙(2006). 평면도형 넓이에 대한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과 수업 실제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16(1), 25-41. 

  6. 오영열(2010). 초등학교에서의 넓이 측정 지도에 관한 고찰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 21(1), 233-245. 

  7. 이은호 (2006).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측정감각과 측정능력에 대한 실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이종욱(2010). 직사각형 덮기 과제를 해결하면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어림 측정 전략. 수학교육, 49(3), 374-386. 

  9. 지혜은(2010). 넓이 비교활동에서 나타나는 초등학교 2, 3, 4학년 학생들의 추론 능력 실태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하수현, 방정숙, 주미경 (2010). 초등수학교육 연구동향-최근 5년간 게재된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49(1), 67-83. 

  11. Alkharusi, H. (2012). Generalizability theory: An analysis of variance approach to measurement problems in educational assessment. Journal of Studies in Education, 2(1), 184-196. doi:10.5296/jse.v2i1.1227 

  12. Ball, D. L., & Cohen, D. K. (1996). Reform by the book: What Is-or might be-the role of curriculum materials in teacher learning and instructional reform? Educational Research, 25(9), 6-8,14. 

  13. Battista, M. T. (2003). Understanding students' thinking about area and volume measurement. In D. Clements & G. Bright (Eds.), Learning and teaching measurement (pp. 122-142). Reston, VA: NCTM. 

  14. Chris, H. (2015). New curricula and missed opportunities: Crowded curricula, connections, and "big ideas". International Journal for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15. Clements, D. H. (2007). Curriculum research: Toward a framework for "research-based curricula".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8(1), 35-70. 

  16. Clements, D. H., & Battista, M. T. (1992). Geometry and spatial reasoning. In D. A.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A project of the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pp.420-464). NewYork, NY: Macmillan. 

  17. Clements, D. H., Battista, M. T., & Sarama, J. (2001). Logo and geometr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Monograph, 10, 1-17. 

  18. Clements, D. H., & Sarama, J. (2004). Learning trajectories in mathematics education.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6(2), 81-89. doi:10.1207/s15327833mtl0602_1 

  19. Clements, D. H., & Sarama, J. (2007). Early childhood matheamtics learning. In F. K. Lester (Ed.), Second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461-555). 

  20. Charlotte, NC:Information Age Publishing. Creswell, J. W. (2013).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3rded.). Thousand Oaks, CA: SAGE. 

  21. Freeman, D. J., & Porter, A. C. (1989). Do textbooks dictate the content of mathematics i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6(3), 403-421. 

  22. Hong, D. S., Choi, K., Hwang, J., Runnalls, C., Payne, A., & Meiners, A. (2016). How well aligned are common core textbooks to learning trajectory in geometry? Paper presented at the 38th annual meeting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Tucson, AZ. 

  23. Martone, A., & Sireci, S. G. (2009). Evaluating alignment between curriculum, assessment, and instruction.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79(4), 1332-1361. doi:10.3102/0034654309341375 

  24. Polikoff, M. S. (2015). How well aligned are textbooks to the Common Core Standards in mathematic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52(6), 1185-1211. doi:10.3102/0002831215584435 

  25. Reynolds, A., & Wheatley, G. H.(1996). Elementary student's construction and coordination of unit in a area sett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7, 564-581. 

  26. Sarama, J., & Clements, D. H. (2009).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Learning trajectories for young children. NewYork, NY: Routledge. 

  27. Simon, M. A. (1995). Reconstructing mathematics pedagogy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6(2), 114-145. 

  28. Simon, M. A., & Tzur, R. (2004). Explicating the role of mathematical tasks in conceptual learning: An elaboration of the hypothetical learning trajectory.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6(2), 91-104. doi:10.1207/s15327833mtl0602_2 

  29. Thompson, D. R., Senk, S. L., & Johnson, G. J. (2012). Opportunities to learn reasoning and proof in high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3(3), 253-29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