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 산성화(Ocean Acidification)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이해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Ocean Acidific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6 no.5, 2017년, pp.661 - 674  

김성규 (진주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s to investigate how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 ocean acidification. As a result of gender, female teachers were more aware of ocean acidification than male teachers, but male teachers had a higher average rate of correct answers, with a lower standard 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남녀 성별에 따른 해양 산성화에 대한 이해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정의, 주범인 기체, 화학반응식, 오염 배출원, 피해 및 증상, 실험의 예에 대한 이해 정도는 여학생이 높았고, 극복 노력과 해양 산성화를 나타내는 그림에 대한 이해 정도는 남학생이 높았다.
  • 따라서 남녀 성별에 대한 해양 산성화의 이해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남녀 모두 비슷하거나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정답률이 높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문을 통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이 갖고 있는 해양 산성화에 대하여 설문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이에 대해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Choi and Park(1995) 등이 환경교육은 유치원부터 실시해야 한다는 언급과 같이 조기교육의 필요성에 따라 해양 산성화 관련된 이산화탄소 배출은 초등학교 6-1과학 교과서 ‘과학이야기’에서 지구 온난화와 이산화탄소에 대한 정의, 원인, 영향과 피해 그리고 대책 등이 간단하게 소개되어 있다(MOE, 2015a, 2015b). 이산화탄소 관련 지구 온난화의 원인 물질인 이산화탄소가 우리생활에 어려움과 피해를 주는 물질임을 이해시키고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줄이기 위한 계획을 세워 봄으로써 학생들로 하여금 환경보존 의식함양을 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이에 대해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양 산성화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와 남녀 성별 그리고 인문, 자연 계열별 지식이해 정도가 어떠한지? 둘째, 최근 세계적으로 환경위기라 생각하는 오존층파괴, 지구온난화 및 온실효과, 산성비, 해양 산성화 등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위기 순서와 이유? 셋째, 해양 산성화에 대한 내용 경험 유, 무 와 교육형태 그리고 어떤 자료가 필요한지? 넷째, 해양 산성화에 대한 본인의 견해가 무엇인지? 등이다.
  • 1. 해양 산성화에 대한 이해

    해양 산성화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 산성화란? kr). 또한 해양은 대기 중의 CO2를 흡수하여 지구 온난화가 급속히 진행되는 것을 완화하는 역할을 해왔으나 대기 중 계속적인 CO2 농도 증가에 의해 해양으로 유입되는 CO2가 증가되어 해수의 pH가 감소하는 해양 산성화(Ocean Acidification)가 이미 진행되고 있다(Kim, 2015; Land et al., 2015)(Fig.
해양 산성화의 직접적인 원인물질은 무엇인가? 해양 산성화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CO2)가 해양으로 유입되면 탄산(H2CO3)을 형성하고, 이것은 다시 탄산염(CO32-)이나 중탄산염(HCO3-)을 만들게 된다(Lee, 2011a; Kim, 2015). CO2는 해양 산성화의 직접적인 원인 물질로 가장 많이 배출되어 해양 산성화의 주범으로 잘 알려진 기체로 공장굴뚝에서 배출되어 바다에 용해되어 바다 생태계에 크나큰 영향을 끼친다. CO2가 바닷물에 용해되어 해양 산성화 과정을 나타내었다(Wright and Colling, 1995; Weston, 2000; Zeebe and Wolf-Gladrow, 2001; Elderfield, 2002; Takahashi, 2004; The Royal Society, 2005; Riding, 2006; Bozlee et al.
해양 산성화가 석회화 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작용 기전은 무엇인가? 따라서 해수의 pH 감소로 중탄산염(HCO3-)을 형성하는 쪽으로 평형이 이동하게 되면 물속의 탄산염 농도가 떨어지게 되며 탄산칼슘(CaCO3)의 용해율이 증가되고 패각 형성에 필요한 충분한 탄산염을 공급받지 못하게 된다(Lee, 2011a). 따라서 성게, 굴 등 탄산칼슘을 이용하는 석회화 생물들의 산 염기 조절 특성, 대사, 성장, 재생산 등 생태생리학적 기능에 영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연구 보고되고 있다(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Barbara, C., Kimberly, A. T., Noelani, P., Kate, A., 2011, Ocean acidification, Science Scope, 34(6), 23-30. 

  2. Barry, J. P., Lovera, C., Buck, K. R., Peltzer, E. T., Taylor, J. R., Walz, P., Whaling, P. J., Brewer, P. G., 2014, Use of a Free Ocean $CO_2$ Enrichment (FOCE) system to evaluate the effe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the foraging behavior of a deep-sea urchin,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8(16), 9890-9897. 

  3. Bozlee, B. J., Janebo, M., Jahn, G., 2008, A Simplified model to predict the effect of increasing atmospheric $CO_2$ on carbonate chemistry in the ocean,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85(2), 213-217. 

  4. Byrne, R., 2014, Measuring ocean acidification: New technology for a new era of ocean chemistry,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8(10), 5352-5360. 

  5. Calera Corporation, 2017, Calera's process for $CO_2$ reduction, Retrieved from http://www.calera.com/beneficial-reuse-of-co2/process.html 

  6. Campbell, A. L., Mangan, M., Ellis, R. P., Lewis, C., 2014, Ocean acidification increases copper toxicity to the early life history stages of the polychaete arenicola marina in artificial seawater,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8(16), 9745-9753. 

  7. Cheong, C., Lee, D. Y., 2009, Proceeding papers of the 2009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cation. 

  8. Choi, J. D., 2014, The effect of the productivity and optimal production scale of oyster aquaculture industry caused by ocean acidification, Productivity Review, 28(4), 233-253. 

  9. Choi, K., Park, J. Y., 1995,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ttended a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certificate of the second-major regarding environmental education, J. Korea Assoc. Sci. Edu., 15(3), 316-324. 

  10. Choi, S. H., Lee, E. A., 2003,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conceptions of environmental issues, Jour.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4(3), 135-140. 

  11. Elderfield, H., 2002, Carbonate mysteries, Science, 296, 1618-1621. 

  12. Feely, R. A., Sabine, C. L., Lee, K., Berelson, V., Kleypas, J., Fabry, V. J., Millero, F., 2004, Impact of anthropogenic $CO_2$ on the $CaCO_3$ system in the ocean, Science, 305(16), 362-366. 

  13. Goo, S., Kang, S., 2007, Ozone and ultraviolet rays, Chemical Education, 34(2), 101-107. 

  14. Goo, S., Kang, S., 2008, Global warming: Cause and process, Chemical Education, 35(1), 19-30. 

  15. Guldberg, O. H., Guldberg, H. H., 2008,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and ocean acidification on the great barrier reef and its tourist industry, Garnaut Climate Change Review, 1-33. 

  16. Han, S., Cho, K., Jung, J. W., 2010, A Study on perception and knowledge of 'renewable energ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23(2), 82-96. 

  17. Hyun, B., 2015, Effects of the rising $CO_2$ and temperature on marine phytoplankton physiology, Ph. D dissertatio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8. Kang, H., 2013, Effect of Awareness on the change of polluting emission,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kuznets curve hypothesis-,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22(3), 437-457. 

  19. Kang, S., Goo, S., 2007, Cause and damage of acid rain, Chemical Education, 34(3), 82-94. 

  20. Kang, S. J., 2001, A Study on the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Master Thes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angwon-do, Korea. 

  21. Kim, G. S., 1989, Waste water status and measures of Japan,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11(17), 17-22. 

  22. Kim, J. M., 2010, Responses of natural phytoplankton assemblage to two emerging environmental threats (ocean acidification and warming) using controlled experiments, Ph. D. Dissertation,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Pohang, Korea. 

  23. Kim, J. S., 2015, January 20, The change of our sea, solution about advanced system and cooperation, Newstown, Retrieved from http://www.newstow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92890 

  24. KOIST, 2014, Studies on $CaCO_3$ saturation state in the North Pacific using multi-parameter linear regression. 

  25. Korean Broadcasting System (KBS), 2010, Warning of $CaCO_3$ , ocean acidification, In: Shin, D. M. (Producer), Environment Special, Seoul, Korea. 

  26. Land, P. E., Shutler, J. D., Findlay, H. S., Girard-Ardhuin, F., Sabia, R., Reul, N., Piolle, J. F., Chapron, B., Quilfen, Y., Salisbury, J., Vandemark, D., Bellerby, R., Bhadury, P., 2015, Salinity from space unlocks satellite-based assessment of ocean acidification,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9(4), 1987-1994. 

  27. Lee, D. W., Kim, M. K., Lee, M. U., Kim, H. P., 2013, Perception of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and educational practice on the thermal energy, Journal of Korean Practice Arts Education, 26(1), 233-247. 

  28. Lee, J. S., Lee, K. T., Kim, C. K., Park, G. H., Lee, J. H., Park, Y. G., Gang, S. G., 2006, Influence of the increase of dissolved $CO_2$ concentration on the marine organisms and ecosystem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9(4), 243-252. 

  29. Lee, J. Y., 2015,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arbon dioxide and it's related parameters in the East Sea, Ph. 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30. Lee, K. S., 2011a, April, Effects of ocean acidification and temperature increasing on the survival of abalone, Paper Session at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Korea, 167-168. 

  31. Lee, K. S., 2011b, November, Effe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growth of abalone, Paper Session at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Korea, 261-262. 

  32. Lim, G. S., Nam, S. J., 2008, A Study on the types of environmental percep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 Focused on new environmental paradigm -, Research in Social Studies Education, 15(2), 173-193. 

  33.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a, Science 6-1 instructions for teachers, Seoul, Korea: MIRAE-N. 

  34.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b, Science 6-1. Seoul, Korea: MIRAE-N. 

  35.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c, Science 5-2 instructions for teachers, Seoul, Korea: MIRAE-N. 

  36.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d, Science 5-2, Seoul, Korea: MIRAE-N. 

  37. Mu, J., Jin, F., Wang, J., Zheng, N., Cong, Y., 2015, Effects of $CO_2$ -driven ocean acidification on early life stages of marine medaka (Oryzias melastigma), Biogeosciences, 12, 3861-3868. 

  38. Oh, J. C., 2015, Effects of ocean acidification on the growth of Saccharina japonica in the sporophyte and gametophyte stages, Master Thesis, Wonkwang University, Jeonbuk, Korea. 

  39. Orr, J. C., Fabry, V. J., Aumont, O., Bopp, L., Doney, S. C., Feely, R. A., Gnanadesikan, A., 2005, Anthropogenic ocean acidification over the twenty-first century and its impact on calcifying organism, Nature, 437(7059), 681-686. 

  40. Park, J., Lee, S., Moon, S., 2014,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8(6), 590-599. 

  41. Park, M. O., 2015, September 7, The way to save the sea, Marine Environmental Education, BusanIlbo, 29. 

  42. Riding, R., 2006, Cyanobacterial calcification, carbon dioxide concentrating mechanism, and Proterozoic-Cambrian changes in atmospheric composition, Geobiology, 4, 299-316. 

  43. Ryu, H. Y., Shim, K. C., So, K. H., Yeau, S. H., 2012, Analysis of environmental awareness and environmental worldviews of pre-serviec biology teachers expressed on environmental UCCs, The Environmental Education, 25(1), 77-88. 

  44. Schnoor, J. L., 2014, Ocean acidification: The other problem with $CO_2$ ,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8(18), 10529-10530. 

  45. Takahashi, T., 2004, The fate of industrial carbon dioxide, Science, 305, 352-353. 

  46. The Nature Conservancy, 2008, The honolulu declaration on ocean acidification and reef management, Prepared and adopted by participants of the ocean acidification Workshop, Hawaii. 

  47. The Royal Society, 2005, Ocean acidification due to increasing atmospheric carbon dioxide, Policy document 12/05 Royal Society, London, UK, The Clyvedon Press, Ltd., Cardiff, UK. 

  48. Weston Jr, R. E., 2000, Climate change and its effect on coral reefs,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7(12), 1574-1577. 

  49. Wright, J., Colling, A., 1995, Seawater: Its composition, properties and behaviour, Oxford, United Kingdom: Pergamon Elsevier Science Ltd. 

  50. Zeebe, R. E., Wolf-Gladrow, D., 2001, $CO_2$ in seawater: Equilibrium, kinetics, isotopes, Amsterdam, Netherlands: Elsevier Science B.V. 

  51. Zeebe, R. E., Zachos, J. C., Caldeira, K., Tyrrell, T., 2008, Carbon emission and acidification, Science, 321, 51-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