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Julbernardia globiflora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인체 대장암 세포 HT29에 대한 항암 활성 분석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Julbernardia globiflora Extract in Human Colon Adenocarcinoma HT29 Cell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7 no.5 = no.205, 2017년, pp.545 - 552  

오유나 (동의대학교 블루바이오소재개발센터) ,  진수정 (동의대학교 블루바이오소재개발센터) ,  권현주 (동의대학교 블루바이오소재개발센터) ,  김병우 (동의대학교 블루바이오소재개발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Julbernardia globiflora는 미옴보 숲에 널리 분포하는 열대 아프리카 나무로, 우울증, 위장장애 등의 치료를 위해 민간요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항산화능, 항암 활성 등에 대한 연구는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J. globiflora 메탄올 추출물(MEJG)을 사용하여 항산화능 및 인체 대장암 세포주인 HT29에 대한 항암 활성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통해 분석한 결과, MEJG의 $IC_{50}$$1.23{\mu}g/ml$로 강력한 항산화능을 보유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MEJG 농도 의존적으로 HT29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MEJG의 HT29 세포 사멸 효과의 기전을 분석하기 위하여 Annexin V 염색과 DAPI 염색을 수행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apoptotic 세포 및 apoptotic body가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apoptosis 관련 단백질들의 발현변화를 분석한 결과, MEJG처리에 의해 사멸수용체인 Fas와 pro-apoptotic 단백질인 Bax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anti-apoptotic 단백질인 Bcl-2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cytochrome c가 미토콘드리아에서 세포질로 방출되어 증가되었으며, caspase-3, -8, -9가 활성화되었다. 최종적으로 PARP가 분해되어 apoptosis가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로부터 MEJG는 내인성 및 외인성 경로를 통한 apoptosis 유도에 의하여 HT29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암활성을 보유하였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ulbernardia globiflora, a tropical African tree widespread in Miombo woodland, has been used in fol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depression and stomach problems. However, the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J. globiflora remain unclea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EJG 처리에 의한 HT29 세포의 사멸효과의 기전을 확인하기 위하여 MEJG가 HT29 세포의 apoptosis를 유도하는지 분석하였다. Apoptosis가 유발된 세포에서는 세포막의 점도 감소, 유동성 증가 및 막 인지질의 비대칭성 소실로 인하여 정상적으로는 지질 이중막의 내부에 존재하는 포스파티딜세린(PS)이 세포 표면으로 노출된다[8, 21].
  • globiflora의 항산화능과 항암 활성 등 다양한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J. globiflora의 메탄올 추출물을 사용하여 항산화능 및 인체 대장암세포주인 HT29에 대한 항암활성과 그 분자적 기전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 현재 암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암 자체의 다양성 및 발병기전의 다양화로 인해 부작용이 적고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항암제의 개발은 여전히 필요하며, 그에 맞추어 새로운 천연물 의약품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 36]. 본 연구에서는 부작용이 적은 천연물 의약품 개발에 있어 후보 물질을 선별하기 위해, 자생식물 중 J. globiflora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대장암 세포에 대한 항암기전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MEJG가 강력한 항산화능을 가지며, 인체 대장암 세포주 HT29의 apoptosis 유도에 의한 항암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J.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Julbernardia globiflora는 어떠한 치료를 위해 민간요법으로 사용되고 있는가? Julbernardia globiflora는 미옴보 숲에 널리 분포하는 열대 아프리카 나무로, 우울증, 위장장애 등의 치료를 위해 민간요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항산화능, 항암 활성 등에 대한 연구는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J.
세포자멸사라고도 불리는 apoptosis는 어떠한 경로를 통해 유도되는가? 따라서 암세포의 apoptosis 유도에 관한 연구는 암세포의 치료 및 제거를 위한 중요한 방법 중 하나로 apoptosis 유도에 의한 항암활성 보유 소재의 발굴 및 기전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9, 20, 30]. Apoptosis는 DNA의 분절 및 염색질 응축에 의해 apoptotic body를 형성하며, 사멸 수용체를 통하는 외인성 경로(extrinsic pathway)와 미토콘드리아를 통한 내인성 경로(intrinsic pathway)의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유도된다[10, 33]. 외인성 경로를 통한 apoptosis는 Fas, tumor necrosis factor-related apoptosis-inducing ligand (TRAIL) receptor 등의 세포 표면의 사멸수용체(death receptor)에 세포외부의 신호들이 결합하여 death inducing signaling complex (DISC)를 형성하면서 유발되며, 이후 다양한 신호전달 시스템을 통하여 caspase cascade가 활성화된다[7].
Julbernardia globiflora는 무엇인가? Julbernardia globiflora는 미옴보 숲에 널리 분포하는 열대 아프리카 나무로, 우울증, 위장장애 등의 치료를 위해 민간요법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항산화능, 항암 활성 등에 대한 연구는 알려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J.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dam, J. M. and Cory, S. 2007. The Bcl-2 apoptotic switch in cancer development and therapy. Oncogene 26, 1324-1337. 

  2. Bhanot, A., Sharma, R. and Noolvi, M. N. 2011. Natural sources as potential anti-cancer agents: A review. Int. J. Phytomedicine 3, 9-26. 

  3. Carson, D. A. and Ribeiro, J. M. 1993. Apoptosis and disease. Lancet 341, 1251-1254. 

  4. Choi, I. P. 2013. Reactive oxygen species and cancer. Hanyang Med. Rev. 33, 118-122. 

  5. Devasagayam, T. P., Tilak, J. C., Boloor, K. K., Sane, K. S., Ghaskadbi, S. S. and Lele, R. D. 2004. Free rardical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J. Assoc. Physicians India 52, 794-804. 

  6. Dickinson, B. C. and Chang, C. J. 2011. Chemistry and biology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signaling or stress responses. Nat. Chem. Biol. 7, 504-511. 

  7. Elmore, S. 2007. Apoptosis: a review of programmed cell death. Toxicol. Pathol. 35, 495-516. 

  8. Fadok, V. A., Voelker, D. R., Campbell, P. A., Cohen, J. J., Bratton, D. L. and Hensen, P. M. 1992. Exposure of phosphatidylserine on the surface of apoptotic lymphocytes triggers specific recognition and removal by macrophages. J. Immunol. 148, 2207-2216. 

  9. Fluda, S. 2015. Targeting apoptosis for anticancer therapy. Semin. Cancer Biol. 31, 84-88. 

  10. Fluda, S. and Debatin, K. M. 2006. Extrinsic versus intrinsic apoptosis pathways in anticancer chemotherapy. Oncogene 25, 4798-4811. 

  11. Galluzzi, L., Lopez-Soto, A., Kumar, S. and Kroemer, G. 2016. Caspases connect cell-death signaling to organismal homeostasis. Immunity 44, 221-231. 

  12. Goodsell, D. S. 2000. The molecular perspective: caspases. Oncologist 5, 435-436. 

  13. Halliwell, B. H. and Gutteridge, J. M. C. 1990. Role of free radicals and catalytic metal ions in human disease: an overview. Methods Enzymol. 186, 1-85. 

  14. Han, S. I., Kim, Y. S. and Kim, T. H. 2008. Role of apoptotic and necrotic cell death under physiologic conditions. BMB Rep. 41, 1-10. 

  15. Hengartner, M. O. 2000. The biochemistry of apoptosis. Nature 407, 770-776. 

  16. Kaufmann, S. H., Desnoyers, S., Ottaviano, Y., Davidson, N. E. and Poirier, G. G. 1993. Specific proteolytic cleavage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an early marker of chemotherapy- induced apoptosis. Cancer Res. 53, 3976-3985. 

  17. Koopman, G., Reutelingsperger, C. P., Kuijten, G. A., Keehnen, R. J., Pals, S. T. and van Oers, M. H. 1994. Annexin V for flow cytometric detection of phosphatidylserine expression on B cells undergoing apoptosis. Blood 84, 1415-1420. 

  18. Landis-Piwowar, K. R. and Iyer, N. R. 2014. Cancer chemoprevention: current state of the art. Cancer Growth Metastasis 7, 19-25. 

  19. Li, P., Nijhawan, D. and Wang, X. 2004. Mitochondrial activation of apoptosis. Cell 116, S57-59. 

  20. Lowe, S. W. and Lin, A. W. 2000. Apoptosis in cancer. Carcinogenesis 21, 485-495. 

  21. Martin, S. J., Reutelingsperger, C. P., McGahon, A. J., Rader, J. A., van Schie, R. C., LaFace, D. M. and Green, D. R. 1995. Early redistribution of plasma membrane phosphatidylserine is a general feature of apoptosis regardless of the initiating stimulus: inhibition by overexpression of bcl-2 and abl. J. Exp. Med. 182, 1545-1556. 

  22. Neergheen, V. S., Bahorun, T., Taylor, E. W., Jen, L. S. and Aruoma, O. I. 2010. Targeting specific cell signaling transduction pathways by dietary and medicinal phytochemicals in cancer chemoprevention. Toxicology 278, 229-241. 

  23. Oh, C. M., Won, Y. J., Jung, K. W., Kong, H. J., Cho, H., Lee, J. K., Lee, D. H. and Lee, K. H. 2016. Cancer statistics in Korea: Incidence, mortality, survival, and prevalence in 2013. Cancer Res. Treat. 48, 436-450. 

  24. Oh, Y. N., Jin, S., Park, H. J., Kim, B. Y. and Kwon, H. J. 2015. Anti-oxidat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Treculia Africana extract in human colon adenocarcinoma HT29 cells. J. Life Sci. 25, 515-522. 

  25. Palgrave, K. C., Drummond, R. B., Moll, E. J. and Palgrave, M. C. 1997. Trees of Southern Africa. Struik Publishers: Cape Town, South Africa. 

  26. Porter, A. G. and Janicke, R. U. 1999. Emerging roles of caspase- 3 in apoptosis. Cell Death Differ. 6, 99-104. 

  27. Riedl, S. J. and Shi, Y. 2004. Molecular mechanisms of caspase regulation during apoptosis. Nat. Rev. Mol. Cell Biol. 5, 897-907. 

  28. Shi, L., Nishioka, W. K., Th'ng, J., Bradbury, E. M., Litchfield, D. W. and Greenberg, A. H. 1994. Premature p34cdc2 activation required for apoptosis. Science 263, 1143-1145. 

  29. Shi, Y. 2004. Caspase activation: revisiting the induced proximity model. Cell 117, 855-858. 

  30. Singh, S., Singh, P. P., Roberts, L. R. and Sanchez, W. 2014. Chemopreventive strategie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11, 45-54. 

  31. Stewart, B. W. and Wild, C. P. 2014. World cancer report 2014.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32. Strasser, A. and Newton, K. 1999. FADD/MORT1, a signal transducer that can promote cell death or cell growth. Int. J. Biochem. Cell Biol. 31, 533-537. 

  33. Taylor, R. C., Cullen, S. P. and Martin, S. J. 2008. Apoptosis: controlled demolition at the cellular level. Nat. Rev. Mol. Cell Biol. 9, 231-241. 

  34. Tsujimoto, Y. and Shimizu, S. 2000. Bcl-2 family: life-ordeath switch. FEBS Lett. 466, 6-10. 

  35. Watt, J. M. and Breyer-Brandwijk, M. G. 1962. The medicinal and poisonous plants of southern and eastern Africa. pp. 1457, 2nd ed. E. and S. Livingstone: London, United Kingdom. 

  36. Yin, S. Y., Wei, W. C., Jian, F. Y. and Yang, N. S. 2013. Therapeutic applications of herbal medicines for cancer patient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 302426. 

  37. Zou, H., Li, Y., Liu, X. and Wang, X. 1999. An APAF-1 cytochrome c multimeric complex is a functional apoptosome that activates procaspase-9. J. Biol. Chem. 274, 11549-1155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