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아정체감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기 성인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Self-identity and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s on Emotional Intelligence Among Early Adult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3 no.1, 2017년, pp.26 - 32  

김현지 (경희대학교 간호학과) ,  신성희 (경희대학교 간호과학대학, 동서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aimed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sis for nursing interven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during early adult by identifying emotional intelligence, his or her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s and self-identity and analyzing how the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s and self-i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자아정체감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기 성인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인과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을 대상으로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초기 성인기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방안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은 정서지능을 43.
  • 본 연구는 초기 성인의 정서지능에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이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의 결과와 함께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정체감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초기성인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성인기 이전의 발달단계인 아동기 및 청소년기 각각의 발달단계에서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진 자아정체감과 부모의 양육태도를 살펴보는 것은, 인간의 발달과정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는 관점의 입장에서 그 변인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초기 성인은 많은 변화와 성장이 이루어지는 과도기적 단계에서 새롭게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맞닥뜨리게 될 것이다.
  • 한편 자아정체감과 정서지능의 관계는 이를 직접적으로 다룬 선행연구는 찾아보기 힘들기 때문에 유사개념인 자아개념과 정서지능의 관계나, 자아정체감과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의 관계를 다룬 연구들에서 그 맥락을 찾아보고자 한다. Choi와 Kim의 연구[14]에서 자아정체감이 높은 사람들이 주체성이 확고하고, 자신을 수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능력이 높다고 밝히며, 자아정체감과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정서명확성의 관계에 대해 유의미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서지능의 개념은 ? 정서지능은 감정을 조절하고, 동기를 부여하며, 사회생활에서의 상황을 적절하게 풀어나가거나, 타인의 기분을 살피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원만한 대인관계를 가능하게 하는 개념으로 설명되고 있다[1]. 이러한 정서지능은 전통적으로 측정되었던 학술적 지능 만으로는 삶에 있어 적응, 성공, 만족, 행복 등을 설명하기 부족하다는 비판에서부터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정서지능이 높은 사람들의 특징은 ? 선행연구에 따르면 정서지능이란 사회적 지능의 한 유형으로 자신과 타인의 감정을 잘 모니터하고, 여러 종류의 감정들을 잘 변별하며, 이를 토대로 하여 스스로의 사고나 행동의 방향성을 도출하고 그러한 근거를 인식하는 능력이라고 하였다[2]. 또한, 정서지능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잘 이해하고 표현하며 감정이입의 능력이 발달되어 사회적 관계형성이 원활하고, 삶의 질도 높게 나타난다[3-5]. 즉, 정서지능은 인간의 행동을 설명하는 중요한 특성이며, 성공적인 대인관계나 사회적 적응 등 삶의 긍정적인 영역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자아정체감은 자아에 있어 어떻게 정의되는가 ? 자아정체감이란 개인의 자아가 그의 인격체계를 통합하는 방식에 있어서 동질성과 연속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동시에, 또한 자신의 자아통합화의 방식이 자기가 타인에게 주는 개인적 의미의 동질성과 연속성을 견지해나가는데 유효하다는 것을 아는 것이다[13]. 즉, 개인이 자기 존재의 개별성을 타인에게 피력하고 그것을 지속적으로 유지해나가는 자아의 통합능력이라고 할 수 있겠다. 자아정체감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능력과도 연관이 있으며[14], 이러한 자아정체감의 혼란이나 위기는 대인관계를 위축시키거나 왜곡된 적응양상을 보일 수 있고, 이로 인한 심리적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oleman D.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books:1995. 

  2. Mayer J 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identification of Emotion. Intelligence. 1996;22(2):89-114. http://dx.doi.org/10.1016/s0160-2896(96)90011-2 

  3. Kim JH, Kim JN.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ex Trauma in Childhood and Interpersonal Problems after Growing Up.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014;21(5);115-139. 

  4. Lee SK, Choi YS, Kang S. A structural model analysis between mothers' affectionate - rejective child- 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competenc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2014;18(1):90-113. 

  5. Kim HJ.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intelligence on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dissertation]. Incheon: Inha University; 2007. pp.1-156. 

  6. Kim JH, Park EG. The effects of achievement type of developmental tasks of early adulthood on the perceived social isolation in youth. Studies on Korean Youth. 2016;27(3):257-284. http://dx.doi.org/10.14816/sky.2016.27.3.257 

  7. Nam CH. An Empirical Research on the De-standardization of Life-course in Korea - Focused on the Sequence Analysis of Men's Transition to Adulthood. Social science research institute. 2015;39(1):139-174. 

  8. Lee YS, Jo BY. Trend and Direction for Research in Early Childhood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003;10(3):1-26. 

  9. Ha YJ. The effect of parents' fostering attitude and youth's self-concept to emotional intelligence [master's thesis]. Daegu: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atholic University; 2001. pp.1-48. 

  10. An RR, Park WY, Shin IY. The Effect of Father's Self-Esteem and Child Rearing Attitude on Children's Self-Esteem and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6):2645-2652. http://dx.doi.org/10.5762/KAIS.2013.14.6.2645 

  11. Kim SO, Yoo MH. Comparison of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Gifted students. Jounal of science education for the gifted. 2012;4(3):175-189. 

  12. Kang WD, Ahn GYR. The Influence of parental nurturing attitude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Preparedness of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15;20(4):739-764. http://dx.doi.org/10.17315/kjhp.2015.20.4.003 

  13. Erikson E H. Identity: Youth and Crisis. W.W. Norton & Co:1968. 

  14. Choi ES, Kim WI.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Identity and Military Life Satisfaction among Soldiers.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6;17(1):503-519. 

  15. Kim MH. A Study on Ego-identity, Interpersonal Relations Ability, and Adjustment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8;17(1):55-64. 

  16. Lee HJ, Kim KH. Conduct disordered adolescents' moral emotions and self-identity.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00;(1):190-191. 

  17. Seo JS, Lee DH.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Adolescents' Subjective Well-Being.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0;11(4):1599-1622. http://dx.doi.org/10.15703/kjc.11.4.201012.1599 

  18. Salovey P, Mayer J, Goldman S L, Turvey C, Palfai T P, Pennebaker J W.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5.pp.125-154. http://dx.doi.org/10.1037/10182-006 

  19. Lee SJ, Lee HK. The research on the validation of the trait meta-mood scale: The domain explorat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997;11(1):95-116. 

  20. Epstein S. The mother-father-peer scale. University of Masschusetts-Amherst. 1983. 

  21. Jeun HJ. The effect of childhood experience, personality and marital satisfaction on childrearing behavior.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1997. pp.1-112. 

  22. Park AC. Validation of Korean Adolescent Ego-identity Scale. Korea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2003;17(3):373-392. 

  23. Kim HK, Han SM. The Effects of Health of Home Environment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011;17(1):121-161. 

  24. Lee JL. Child-Mother Attach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2005;14(3):379-386. 

  25. Ahn SH, Kim HS.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color psychology on ego-ident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university student. Korea journal of art therapy. 2016;23(1):243-265. 

  26. Yang JW. A Comparative Study of Gender and School Year Differences in Adolescent Ego-Identity Statu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014;20(2):83-110. 

  27. Kim JA, Han GR. The Relationship structure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Emotional problem. Korea Journal of Counseling. 2014;15(6):2379-2399. http://dx.doi.org/10.15703/kjc.15.6.201412.2379 

  28. Kim EJ. Structur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and their problem behavior. Journal of Early Childhood Research. 2016;11(1):5-28. http://dx.doi.org/10.16978/ecec.2016.11.1.001 

  29. Han JH, Shim MK.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Father's Child-rearing Behaviors. Journal of Life-span Studies. 2011;1(1):19-31. 

  30. Kang EJ, Kim YJ. The Relationship Between a Parent"s Attitude of Bringing Up Children and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Welfare. 2006;10(4):113-1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