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s Career Maturity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3 no.1, 2015년, pp.61 - 74  

조연희 (Department of Family Environment and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이주연 (Department of Family Environment and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hild's career matu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and children's school adjustment. In order to achieve our goals, the present study 1) analysed the differences in the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를 연구하였던 기존 선행연구들과 차별화하여 중학교 진학을 앞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그리고 초등학교 시기가 가정에서 어머니의 영향을 많이 받는 시기인 점을 감안하여(H. Jeon, 2006), 부모 중 특히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연구에서는 양육태도의 경우 자녀가 그것을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따라 실제적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S.
  • 또한 학교 및 지역사회는 가정 내에서 바람직한 양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어머니들에게 애정, 자율, 성취, 합리적 양육의 필요성은 물론 실제적인 양육기술을 훈련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끊임없이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측정함에 있어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 양육태도를 조사하였다. 이는 어머니의 양육을 받아들이는 자녀의 관점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므로 어머니의 일방적인 양육태도 변화에 국한시키기 보다는 이와 더불어 부모-자녀 간 관계향상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변인들 간 관계에 대한 주요 분석에 덧붙여 본 연구에서는,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아동의 성에 따라 주요 변인들에 차이가 있는지를 함께 살펴보고자 한다. 초등학교 고학년의 시기는 사춘기가 시작되면서 이전과는 구별되는 성에 따른 새로운 차이가 나타나는 시기로 볼 수 있다.
  • 본 연구는 아동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진로성숙도 및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밝힘에 있어,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아동 430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이들을 매개하는 진로성숙도의 영향력을 밝힘으로써 변인들 간의 전체적인 경로 메카니즘을 이해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더불어 중학교 진학을 앞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진로성숙도 및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조사 자료는 진로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진로를 지도하는 학교현장에서 진로 및 학업, 학교생활에 관한 실태와 경향을 파악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사회인구학적 변인, 어머니의 양육태도, 진로성숙도, 학교생활적응을 측정하는 문항들로 구성되었으며, 모든 문항에 대해 아동이 보고하도록 하였다. 또한 사회인구학적 변인을 제외한 주요 변수의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1점)’, ‘대체로 그렇지 않다(2점)’, ‘보통이다(3점)’, ‘대체로 그렇다(4점)’, ‘매우 그렇다(5점)’으로 5점 Likert식의 척도로 측정하였다.
  • Jeon, 2006), 부모 중 특히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본연구에서는 양육태도의 경우 자녀가 그것을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따라 실제적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S. Kim, 2002)에 근거하여, 어머니 보고 자료가 아닌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한 아동보고 자료를 분석하고자 한다.
  • 셋째,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해 아동이 지각한 양육태도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아동과 관련된 종속변인에 대한영향력을 분석하는 데에는 관련성이 높을 수 있으나 실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 Keum(2012)에의하면, 진로성숙도는 부모관련 변인보다 학교생활적응에 더 큰 영향을 미치며, 초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는 부모와의 교감을 통한 심리적 안정성이 중요한데 이는 진로성숙을 통해 학교생활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환경적 변인이 아동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이들을 매개하는 개인 내적 변인을 밝히는 일은 변인들 간의 전체적인 경로 메카니즘을 이해할 수 있게 해줄 뿐만 아니라 아동의 긍정적인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한 다각도의 제언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반면에 아동대상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와 학교생활적응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를 연구하였던 기존 선행연구들과 차별화하여 중학교 진학을 앞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자 한다. 그리고 초등학교 시기가 가정에서 어머니의 영향을 많이 받는 시기인 점을 감안하여(H.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기의 학교생활적응은 해당 시기뿐아니라 이후 전 생애에 걸쳐 매우 중요한 이유는? 아동기는 가정 안에서 부모 및 형제와 주된 관계를 형성하던 영유아기 때와는 달리 생활의 중심이 학교로 이동하는 시기이다. 아동에게 학교는 교사나 친구와 같은 다양한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사회관계의 장소이다. 더욱이 학교는 학교생활의 적응 및 성취 여부를 통해 이후 청년기 및 성인기에 사회 구성원으로서 건강하게 기능하기 위한 기초를 형성하는 곳으로 사회적응에까지 영향을 미친다(O. Chung, 2010).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으로, 성별이나연령 등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이외에 부모와의 애착, 의사소통, 부모의 양육태도 등 부모의 영향력을 들 수 있다(S. Choi, B.
아동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그리고 타인과 관계를 맺는 주요한 환경의 중심지는 발달의 각 시기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아동기는 가정 안에서 부모 및 형제와 주된 관계를 형성하던 영유아기 때와는 달리 생활의 중심이 학교로 이동하는 시기이다. 아동에게 학교는 교사나 친구와 같은 다양한 타인과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사회관계의 장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Aunola, K., & Nurmi, J.-E. (2005). The role of parenting styles in children's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76(6), 1144-1159. 

  2. Bae, S. J. (1998). The relationship among adolescent's perception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3. Baron, R., & Kenny, D.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4. Burchinal, M. R., Roberts, J. E., Zeisel, S. A., & Rowley, S. J. (2008). Social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African American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and adjustment during the transition to middle 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44(1), 286-292. 

  5. Cha, Y. R. (2001). A study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6. Chae, Y. K. (2003). A study on some variables affecting the career matur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4(3), 545-561. 

  7. Cho, S.-H. (2012). The influence of parent attachment on primary school children's adaptation on school lif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8. Cho, Y. M. (2008). Impact of communication with parents- adolescence's and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9. Choi, B. R. (2008). A study on the factors having influence upon the youth's adaptation to school: Focused on income level, achievement motives and attitude maturity of co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10. Choi, M. S. (2003). Influences of the individual and home environment variables on career maturity among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1. Choi, S., Hutchison, B., & Lemberger, M. E. (2012). A longitudinal study of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parental attachment and career maturity of South Korean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60(2), 163-177. 

  12. Chung, I. J., Im, J. Y., & Hwang, M. H. (2011). Development of Career Maturity Scale for elementary schooler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4(3), 169-194. 

  13. Chung, O. B. (2010).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Hakjisa. 

  14. Crites, J. O. (1974). Problems in the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4(1), 25-30. 

  15. Ha, M. S., & Lee S. B. (2009). The influence of the children- perceived parents' rearing attitude and self elasticity to adjust to school life. Child Education, 18(3), 247-258. 

  16. Han, E. K. (2010). The correla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their mothers' parental attitude and hop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7. Jang, Y. A., & Park, J. H. (2008). The effect of parenting behavior, parent-child communication on children's school adjustment.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3(2), 69-85. 

  18. Jeon, H. Y. (2006). Influence of familial environment variables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19. Ji, Y. K. (2005).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children on career interest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18(2), 165-180. 

  20. Jo, E.-M. (2009). A comparison of gender role identity and career maturity in the children of working and non-working moth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on, Korea. 

  21. Joo, H. J. (1998). The influences on the school-life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social suppor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22. Jung, S. Y. (2006).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s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child, peer relations, and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3. Jung, U.-J. (2002).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hinju, Korea. 

  24. Kenny, M. E., Blustein, D. L., Haase, R. F., Jackson, J., & Perry, J. C. (2006). Setting the stage: Career development and the student engagement proc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3(2), 272-279. 

  25. Keller, B. K., & Whiston, S. C. (2008). The role of parental influences on young adolescents'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6(2), 198-217. 

  26. Keum, J. H. (2012).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djustment, career maturity, socio-economic status and parents attach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ies on Korean Youth, 23(3), 5-26. 

  27. Kim, E.-J. (2005). The effects of career exploration program on ego-identity, career maturity and school life adaptations of maladjusted students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Graduate School of Buddhism, Seoul, Korea. 

  28. Kim, G. J. (2009). Effects of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upon adaptation to school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eongju University, Cheongju, Korea. 

  29. Kim, J. H. (2010). The impact of the activity based career perception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perceived well-bing,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30. Kim, K. H. (2009). The effect of career guidance activities on career maturity of stud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8(4), 182-200. 

  31. Kim, S. J. (2002). The effect of differences between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perception on children's emotional maladaptive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Jeju University, Jeju, Korea. 

  32. Kuldau, J. E., & Hollis, J. W. (1971). The development of attitudes toward work among upper elementary school ages children.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 387-397. 

  33. Kurdek, L. A., Fine, M. A., & Sinclair, R. J. (1995). School adjustment in six graders: Parenting transitions, family climate, and peer norm effects. Child Development, 66(3), 430-445. 

  34. Lee, C. B. (2007). A longitudinal study of career attitude maturity chang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3(2), 115-134. 

  35. Lee, E. Y., & Kim, K. H. (2005).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their children a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djustment in school life.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0(1), 105-119. 

  36. Lee, H. R. (2004).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maturity and multiple intellig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1(2), 83-99. 

  37. Lee, S. H. (2001).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ent's child-rearing attitudes, personality traits,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The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0, 85-104. 

  38. Lim, S.-H. (1988).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the children and children's self-concept and socia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39. Nam, K. J. (2004). Development and validity of career maturity inventory.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Research, 17(2), 73-91. 

  40. Nam, M. Y. (2002). Relations between the perceived parents rearing attitude,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gang University, Seoul, Korea. 

  41.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4). Father's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beliefs as predictors of children's social adjustment in the transition to school.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8(4), 628-638. 

  42. Oh, S. S. & Lee, J. S. (1982).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perception on and the affective characteristic of parental child-rearing style. Research Note, 11(1), 1-8. 

  43. Park, E. Y. (2011). A study on factors of children's adaptation to school.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18(6), 1-27 

  44. Park, G.-A. (2013).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child's school life adaptation, parenting attitude, reading time and ego-resili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45. Park, M.-J. (2009). Relations between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locus of control, and career maturity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angnung-Wonju National University, Wonju, Korea. 

  46. Park, Y. J. (2009).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jin University, Pocheon, Korea. 

  47. Pettit, G. S., Bates, J. E., & Dodge, K. A. (2005). Supportive parenting, ecological context, and children's adjustment: A seven-year longitudinal study. Child Development, 68(5), 908-923. 

  48. Rohner, R. P. (2010). Perceived teacher acceptance, parental acceptance, and the adjustment, achievement, and behavior of school-going youths internationally. Cross-cultural Research, 44(3), 211-221. 

  49. Ryu, S. H. (2012).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8(1), 151-164. 

  50. Seo, H. (2013). The effects of parental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self-esteem on school age boys' and girls' school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51. Shim, J. O. (2011).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mother's overprotection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s, self-esteem and career maturity for adolesc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Korea. 

  52. Shin, Y.-S. (2002).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ived of parenting attitude and their career attitude matur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seo University, Choenan, Korea. 

  53. So, H. S. (2002). The relations between career maturity and self-esteem as the parenting attitude perceived by child.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Korea. 

  54. So, Y. H. (2011). The effect of learners' perception on parents academic involvement on career matur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0(4), 203-220. 

  55. Sobel, M. E. (1982). Asymptotic confidence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Leinhart, S. (Eds.), Sociological methodology (pp. 290-312). San Francisco: Jossey-Bass. 

  56. Song, B. K., & Jeon, J. Y. (2013).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 and career maturity of the adolescents.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20(1), 235-264. 

  57. Super, D. E. (1955). The dimensions and measurement of vo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57, 161-163. 

  58. Super, D. E. (1996). The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s. In D. Brown, L. Brooks, & Associates (Eds.),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3rd ed., pp 121-178). San Francisco: Jossey-Bass. 

  59. Westbrook, B. W. (1984). Career maturity: The concept, the instruments, and the research. In W. B. Walsh and S. B. Osipow (Eds.), Handbook of Vocational Psychology (Vol. 1, pp. 263-303).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60. Yon, K. J., Jeong, J.-R., & M. Goh (2012). A longitudinal study of career maturity of Korean adolescents: The effects of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13(4), 727-739. 

  61. Yoon, S. H. (2007).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guilt-proneness, and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Korea. 

  62. Yu, Y. H. (1994). Analysis of the relations among school adjustment, anxiety, and school achievement -focused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