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 직장인의 걷기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요인
The ecological factors affecting walking in korean adult worker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5, 2017년, pp.68 - 78  

김명관 (경북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서순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인 직장인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생태학적인 요인에서 개인 수준 요인과 지역 수준 요인이 걷기에 미치는 영향을 주었는지를 파악하여 걷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 데이터(2011-2013)에 우리나라 지자체 통계연보(2011-2013년 기준)를 접목해 253개의 시군구 단위로 지역 수준 요인 변수를 추출하여 위계적 구조를 가진 융합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위계적 선형 모형으로 다수준 분석을 시행하였다. 개인 수준 요인의 인구 사회적 특성 및 건강행태에 따라 걷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이들 개인적 수준을 통제하고도 지역 수준의 사회 문화적 환경 요인 증에서의 공공질서 및 안전 세출예산의 증가, 여가 환경 요인 중의 국토 및 지역개발 세출예산의 증가, 운송환경 요인 중의 각 지자체별 공공 운송수단인 시내버스 등록대수가 걷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 결과로 볼 때 직장인의 걷기 향상에는 개인의 인구사회적 특성이나 행태 뿐 아니라 공공질서 및 안전 그리고 국토 및 지역개발 예산 증가를 통한 지역사회의 사회문화적 환경 개발과 시내버스 운송수단 증가가 중요함을 나타냈다. 그러므로 지역사회 주민인 직장인들의 걷기와 같은 신체활동을 자연스럽게 증가시킬 수 있는 환경조성과 공공 운송수단 개발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직장인의 건강수명을 증진시킬 것으로 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individual-level and community-level factors in the ecological model on walking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a strategy that can increase walking for health promotion of adult workers. By combining the primary data of community he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생태학적인 요인에서 개인 수준 요인과 지역 수준 요인이 걷기에 미치는 영향을 주었는지를 다차원수준으로 파악하여, 성인 직장인의 건강증진을 위하여 걷기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모색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얼마나 걷기를 실천해야 효과가 나타나는가? 걷기는 신체활동의 하나로 지속적으로 수행하면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혈당, 안정 시 심박수, 최대 산소 섭취량, 총 콜레스테롤, 이상 지질혈증, 내장지방 감소 등의 신체적 개선 효과가 있었다[1-7]. 걷기는 1회 10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해야 효과가 나타난다. 19세 이상 국민의 걷기 실천율은 2005년 60.
걷기를 지속적으로 수행했을 때 어떤 효과가 있는가? 걷기는 신체활동의 하나로 지속적으로 수행하면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 혈당, 안정 시 심박수, 최대 산소 섭취량, 총 콜레스테롤, 이상 지질혈증, 내장지방 감소 등의 신체적 개선 효과가 있었다[1-7]. 걷기는 1회 10분 이상, 1일 총 30분 이상, 주 5일 이상 실천해야 효과가 나타난다.
걷기 실천율이 감소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렇게 걷기 실천율이 감소하는 추세는 여러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한 결과이다. 특히 우리나라 성인 중 직장인은 야근 근무가 잦고, 늦은 퇴근시간과 피로 때문에 걸을 수 있는 시간이나 기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걷기를 실천하기 어려운 실정이다[11]. 직장인은 우리나라 경제활동의 주축 역할을 하는 대상자로서 그들의 건강증진은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I. M, Lee, David M. Buchner, The importance of walking to public health,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vol. 40, no. 7, S512-S518, 2008. DOI: http://doi.org/10.1249/MSS.0b013e31817c65d0 

  2. G. Y. Park, N .H. Kim, Effects of walking and resistance training on the body composition, cardiorespiratory function, physical fitness, and blood profiles of middle-aged obese women, Exercise Science 2007, vol. 16, no. 2, pp. 85-94, 2007. 

  3. Y. Y. Park, N. H. Kim,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Insulin Resistance in the Middle-Aged Adults, J Korean Biol Nurs Sci, vol. 13, no. 3, pp. 245-252, 2011. 

  4. H. S. Kim, Y. J. Han, B. C. Kim, S. Y. Ryu, Relevance of Vitamin D and Dyslipidemia Among Korean Adults - Using Data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8, no. 3, pp. 647-656, 2017. DOI: http://doi.org/10.5762/KAIS.2017.18.3.347 

  5. M. S. Kim, S. H. Kim, S. H. Lee, Effects of walking exercise for wellness convergence in the digital age - Based on physical activity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5, pp. 365-374, 2015. DOI: http://doi.org/10.14400/JDC.2015.13.5.365 

  6. M. S. Kim, S. H. Kim, S. H. Lee, The correlations of Walking Exercise Program-Induced Abdominal Visceral Fat Loss with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4, no. 11, pp. 589-596, 2016. DOI: http://doi.org/10.14400.JDC.2016.14.11.589 

  7. H. Kim, Effects of Social support based walking program on commun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2, no. 7,pp. 357-364, 2014. DOI: http://doi.org/10.14400/JDC.2014.12.7.357 

  8. D. H. Park, E. H. Lee, Convergence Factors Related to Glycemic Control in Workers with Diabetes Mellitus :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9-2013,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 95-103, 2015. DOI: http://doi.org/10.15207/JKCS.2015.6.6.095 

  9. E. S. Shin, Convergenc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Symptoms among Blue Collar Workers in Manufacturing Pla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1,pp. 57-68, 2016. DOI: http://doi.org/10.15207/JKCS.2016.7.1.057 

  10. KCDC,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2). 

  11. J. H. Kim, S,H, Yoo, S. R. Sim, Unveiling the Meaning of Walking for Health Promotion : The Perspectives of Urban Walkers, vol. 28, no. 4, pp. 63-77, 2011. 

  12. Dagmar S., Walid E.A., Erik S., Neighbourhood Environment correlates of physical activity : A study of eight czech regional town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8, pp. 341-357, 2011. DOI: http://doi.org/10.3390/ijerph8020341 

  13. Birgit W. S., Ingo F,. Peter S., Physical activity and the perceived neighbourhood environment - Looking at the association the other way around,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1, pp. 8093-8111, 2014. DOI: http://doi.org/10.3390/ijerph110808093 

  14. Community Health Survey, 201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5. Community Health Survey, 2012,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6. Community Health Survey, 2013,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17. Republic of Korea, Whole country 253 local government city hall.ward office?district office statistics annual report, 2012 (year 2011 criterion). 

  18. Republic of Korea, Whole country 253 local government city hall?ward office?district office statistics annual report, 2013 (year 2012 criterion). 

  19. Republic of Korea, Whole country 253 local government city hall?ward office?district office statistics annual report, 2014 (year 2013 criterion). 

  20. James F. S., Robert B. C, William A., Karla A.H., M. Katherine. K., Jacqueline K., An Ecological Approach To Creating Active living Communities,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27, pp. 297-322, 2005. DOI: http://doi.org/10.1146/annurev.publhealth.27.021405.102100 

  21. KCDC, Community Health Survey (CHS) - Community Health Statistics pp. 2008-2016, 2017. 

  22. E. J. Kang, Clustering of Lifestyle Behaviors of Korean Adults Using Smoking, Drinking, and Physical Activit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 27, no. 2,pp. 44-66, 2007. 

  23. H. G. Jeon, J. M. Sim, K. C. Lee, An Empirical analysis of Effects of Stress on Relation betwee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Results from KNHANES 2008 to 2013,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8, pp. 5351-5363, 2015. DOI: http://doi.org/10.5762.KAIS.2015.16.8.5351 

  24. Patrick B., Andrej M. G., Maria H., James F. S., Michael S., The association between health enhancing physical activity and neighbourhood environment among swedish adult - a population based cross sectional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6:8, 2009. DOI: http://doi.org/10.1186/1479-5868-6-8 

  25.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National Statistics : Crime occurrence & Arrest status (pp. 1990-2010), 2014. 

  26. KOSIS(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National Statistics : Number of Government & Public Offices, and Major Agencies (1984-2000; 2001-2007; after year 2000-), 2016. 

  27. Jill D., Melvyn H., Irene B., Charlie F., Perceived barriers to walking in the neighbourhood environment and change in physical activity levels over 12 months, Br J Sports Med, 41, pp. 562-568, 2007. DOI: http://doi.org/10.1136/bjsm.2006.033340 

  28. J. M. Kim, S. H. Lee, E. Y. Lee, H. Y. Lee, Community-based Environment and Walking among Adul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 System, vol. 22, no. 1, pp. 75-86, 2015. 

  29. H. K. Lee, E. H. Shin, Y. K. Kim, Converged Influencing Factors on the Stage of Change of Exercise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187-197, 2015. DOI: http://doi.org/10.15207/JKCS.2015.6.5.187 

  30. D. H. Lee, S. H. Lee, K. Y. Baek, A Study on Children's Park Facility Planning Scheme according to User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12, pp. 232-241, 2016. DOI: http://doi.org/10.5762/KAIS.2016.17.12.232 

  31. H. E. Park,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of Pedestrian Environment for the Identity of Seoul - Comparison and Analyses Based on Design Seoul Street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vol. 21, no. 2,pp. 285-296, 2015. 

  32. Ryan D. E., Public transit, obesity, and medical costs: Assessing the magnitudes, Preventive Medicine, 46;pp. 14-21, 2008. 

  33. Chris R., Nada C, Mark G., Adrian B., Physical Activity Associated with Public Transport Use-A Review and Modelling of Potential Benefit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9;pp. 2454-2478, 2012. DOI: http://doi.org/10.3390/ijerph90724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