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선후기 군사 전술의 진법(陣法) 구성과 운영체계 분석
Analysis of Organic Composition Principles and Operating System of Ancient Battle Format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5, 2017년, pp.200 - 210  

권병웅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선후기 병서 중 "이진총방"의 진도(陣圖)를 바탕으로 고전 진법의 기본모형(陣形)을 재구성하여 진법의 구성원리와 운영체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고전진법의 기본인 방진(方陣)을 토대로 원진(圓陣), 직진(直陣), 곡진(曲陣), 예진(銳陣) 등의 오방진(五方陣)과 현무진(玄武陣), 팔진(八陣), 육화진(六花陣), 구군진도(九軍陣圖) 등 진법의 운영체계를 재구성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모든 진법의 운용은 기본적으로 방진에서 출발하되 정사각, 직사각, 오각형 그리고 원형의 형태로 변형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진법 내부의 진용 구성은 5가지 선형을 활용하는 바 직사각, 정사각, 대각선, 곡선, 원형 등 5가지 동선체계로 이루어져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인 원진도는 기본방진에서 2중 원의 선형으로 동선체계를 갖추고, 예진도는 기본방진의 편성대열에서 여타 진법보다 최소의 동선거리로 공격적 선형을 갖춘다. 곡진도는 방패형 2중진 형태로 이동동선을 유지하고, 현무진도는 거북모양의 진형으로 좌우 균형의 5각형 동선을 형성한다. 육화진은 원이 지니는 회전력을 무기로 삼는 진법으로 좌우 및 상하 대칭으로 원주율이 같은 여섯 개의 원형동선을 형성하여 꽃잎모양의 선형(線形)을 갖춘 형태이다. 구군진도는 육화진도에서의 원형 대신 9개 정사각형 선형(線形)을 갖추는 방식이다. 팔진도는 정사각, 직사각, 십자형의 3가지 선형으로 14개 진형을 형성하며 면과 선, 외곽선과 대각선의 중층적 3중 방어체계를 갖춘 동선체계이다. 연구 성과는 군사적인 면에서 진법의 실체를 규명함으로써 조선시대 전투양상의 실체를 파악하게 해주면서, 현대전에서 병사들의 훈련에 활용가능한 병법의 유형을 제시한 점에서 군사적,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focused on ancient battle formation basing on the layout drawing of Yijinchongbang (manuals of learning military formations) in a strategy book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search topic is the principles of organic composition of battle formation and battlefield operating sys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이진총방』이라는 조선후기 세부적인 진법을 묘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조선후기병서 중 오위진법의 구체적인 내용을 수록한 『이진총방』의 진도를 바탕으로 오위진법 등의 구성원리와 운영상의 동선체계를 규명하고 그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18세기 후반 정조대 편찬된 호위군병인 무예별감의 훈련용 병서인 『이진총방』에 나타난 고전 진법에 대한 기본모형을 재구성하여 동선의 운영체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8방위 체계 내에서 운용된 기본 방진을 토대로 각기 변형을 이루는 원진도, 예진도, 곡진도, 현무진도, 육화진도, 구군진도, 팔진도 등 각 진법들이다

가설 설정

  • 총장을 축으로 다양한 형태의 진으로 변형하고자 할 때 진법을 구성하는 기본 인원에는 변함이 없다. 기본방진에서 진의 변형을 이루고자 할 때 방진의 선형에서 외부로 확산하는 방식보다 내부로 진입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는 외부로의 이동보다 내부로의 이동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으로 해석 되는 바, 이는 기준점의 유지, 동선거리의 최소화, 편성시간의 단축 면에서 더 효율적 동선체계이기 때문이다.
  • 해군에 활용가능한 고전진법은 원진과 예진, 곡진의 형태이다. 대규모 전투에서 모함과 큰 함선을 보호하기 위한 이중, 삼중의 방어가 필요할 경우 고전 진법 중 육화진이 유용하다. 왜냐하면 아군의 피해를 최소화하면서 공격에 집중하고, 해상방어력을 손쉽게 갖출 수 있는 이중, 삼중의 진형이 앞서 밝힌 육화진의 형태이기 때문이다.
  • 나머지 내외부 기본방진의 병사들은 모두 기준점을 따라 거북의 형태를 형성하게 된다. 이 거북모양의 현무진도는 진법 중 유일하게 5각형의 선형을 갖춘 모습이다.
  • 아울러 새로운 진법이 도입되기도 하였는데 예를 들어 18세기 전반인 1736년(영조 12)에 실시된 군사 훈련인 열무(閱武)에서는 현무진(玄武陣) 훈련이 이루어졌다[13]. 현무진의 형태는 거북이가 누운 모습을 띠고 있는 진형이었다. 아울러 『무경칠서』(武經七書)와 같은 중국의 고전 병서가 재인식되고 그 내에 수록된 고전 진법인 팔진(八陣)과 육화진(六花陣) 등이 검토되었다[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법에 관한 문화예술 분야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에는 어떤 종류의 것들이 있었는가? 전근대 한국의 진법에 관해서는 역사학 분야의 연구 이외에 문화예술 분야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도 주목된다. 예를 들어 여러 농악, 춤사위에 나타난 진법 연구, 궁중 정재와 진법의 연관 등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악학궤범』에는 다양한 정재무도(呈才舞圖)가 수록되어 있는데 그 원리의 상당 부분은 당시 조선의 진법에 바탕을 두고 있다.
진법이란? 진법(陣法)이란 전투에서 승리를 달성하기 위해 군사들을 체계에 따라 배열한 전투대형이라고 할 수 있다. 진법은 단순한 전투대형에 대한 내용 뿐 만 아니라 당대의 여러 전투 병종((兵種)과 무기체계 등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어 군사(軍史)를 연구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진법이 군사 연구에 도움이 되는 이유는? 진법(陣法)이란 전투에서 승리를 달성하기 위해 군사들을 체계에 따라 배열한 전투대형이라고 할 수 있다. 진법은 단순한 전투대형에 대한 내용 뿐 만 아니라 당대의 여러 전투 병종((兵種)과 무기체계 등에 대한 정보가 담겨 있어 군사(軍史)를 연구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a-dae, HA. Advances in Military Policy and Military Maneuver Manuals in Early Joseon. (Military History Vol. 19), 1989. 

  2. Gwang-su, KIM. Analysis of Military Formations by Jeong Do-jon (MIlitary Academy Research Articles Collection Vol. 50), 1996. 

  3. KIM, Dong-gyeong. Transformation of the Military Tradit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Military Training of the Jinbeop, Military History Vol.74, 2010. 

  4. Young-koo, ROH. Analysis of Military Texts and Strategies in Late Joseo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l University, 2002. 

  5. Young-koo, ROH. Study of Military Texts and Strategies in Late Joseon, Seoul. Ge-mool Publishers, 2016. 

  6. Eulpyo, HONG. Qi Ji-guang's Yuanyangzhen in the later Ming Dynasty and the principle of the Baizhen. Military History Vol. 84, 2012. 

  7. Gwang-ja, PARK. Study of the Layout for Chinese and Korean Court Music in the Canon of Music. (Woosuk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2. 

  8. Son-suk, SOHN. A Study on Records of Jeongjae Dance Carried in Akhak Guebeom, The Journal of DSDH, Vol. 11, 2006. 

  9. Deok-won, CHOI. An Essay on Nong-ak(the Instrumental Music of Peasants) in Nam-do (Suncheon University Research Articles Collection, Vol. 5), 1986. 

  10. Yoon-seon SEONG/ Soshim, BAE. The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oongmool-goot and Battle Formations, The Journal of DSDH, Vol. 17, 2009. 

  11. Gyeong-man, CHO. Body, Dance and Pungmul as Expressions of Social Being and Social Relation, The Journal of DSDH, Vol. 15), 2008. 

  12. Bi-han, CHEN. "Jumping Drum Dancing" in Taiwan, Journal of Korean Dance History, Vol. 13, 2012. 

  13. Byung-woong, KWON / Young-koo, ROH. The Study of the Early Joseon Era's Battle Formation for the Restoration of Cultural Archetype : Based upon Bird Cloud Battle Formation, The Korean Journal of Dance Studies, Vol. 49, 2014. 

  14. Young-koo, ROH. Restoration of 'Formation Maneuvers of the Five Commands' and Royal Inspection Training Protocols (Documents and Interpretation, Vol. 13, 2000. 

  15. Dong-joon, KIM. Index of Korean Publications in the Jangseogak Archives - Military, Academy of Korean Studies, Seongnam, pp. 356-358, 1993. 

  16. The Handbook of State Affairs, Military Administration Chapter, Training Corps, Troop Numbers 

  17. Young-koo, ROH. Byonghakjinam' - The Guide to Military Matters, the Essential Manual for Military Training in Late Joseon, , , pp. 218-291, 2000 

  18. Young-koo, ROH. Study of Military Texts and Strategies in Late Joseon.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l University) pp. 196-200, 2002. 

  19.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Records of King Yeongjo (12th Year of King Yeongjo, February, Jeongchuk Day), Vol. 41. 

  20. Records of the Border Defense Council Book 99, (12th Year of King Yeong-jo, Lunar May 3rd)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