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수의 영향에 따른 이수식 TBM의 슬러리 관리를 위한 기초적 연구
A fundamental study of slurry management for slurry shield TBM by sea water influenc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논문집, v.19 no.3, 2017년, pp.463 - 473  

김대영 (현대건설 연구개발본부) ,  이재원 (현대건설 연구개발본부) ,  정재훈 (현대건설 연구개발본부) ,  강한별 (현대건설 연구개발본부) ,  지성현 (현대건설 연구개발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벤토나이트는 물과 접촉하면 팽창하고 점성을 발휘하는 성질이 있어 일반적으로 차수가 필요한 토목공사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이수식 TBM에서는 이와 같은 성질을 활용하여 가압된 슬러리로 불투수성 막을 형성하고 굴착벽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동시에 굴착된 버력을 운송하며 굴착을 수행한다. 하지만 벤토나이트는 해수와 접촉할 경우 팽창성이 저하되어 그 성질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해수 조건에서 이수식 TBM으로 터널을 굴착할 시 지하수 유입 증가로 인한 굴착 안정성 및 버력 배출에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수식 TBM으로 터널을 굴착 시 해수의 유입으로 인한 슬러리의 상태변화를 살펴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슬러리 관리방안을 제시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장에서 적용된 슬러리 품질관리 기준을 바탕으로 실내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해수의 영향이 있는 현장에 적용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ntonite swells when it comes into contact with water and makes it a viscous fluid. Thus it is widely used in civil engineering works for waterproofing. Utilizing the properties of bentonite, the slurry shield TBM supports excavated face with pressurized slurry as well as transporting excavated m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시험에서는 벤토나이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해수의 영향으로 인해 모든 관리 항목의 결과값이 기준에 미달되었으며 특히, Ca-벤토나이트는 해수뿐만 아니라 담수에서도 기준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TBM에 사용되는 재료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a-벤토나이트를 활용하여 해수의 영향에 따른 슬러리의 상태 평가 시험을 수행하였다.
  • Jeong (2011)은 벤토나이트의 최대 자유팽창이 염분농도(0∼30 g/L)에 따라 두 배 이상의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벤토나이트 종류 및 해수의 비율에 따른 슬러리 상태의 변화 양상을 살펴 보았으며 실내시험을 통해 첨가제의 적정 투입량을 제시하였다.
  • 그러나, 해수의 영향에 따른 슬러리의 명확한 관리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슬러리의 관리를 위해 필요한 영향 인자들을 파악하고 이를 기준으로 해수에 의한 슬러리의 상태 변화를 검토하였다.
  • 벤토나이트의 종류에 따른 해수에서의 슬러리 상태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Na-벤토나이트와 Ca-벤토나이트가 해수 또는 담수에서 슬러리의 적절한 특성이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각각의 배합수는 2L로 고정하였으며, 담수 100% 용액과 해수 50% 혼합 용액을 준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저 TBM 터널에서 해수의 유입에 따른 슬러리의 관리방안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슬러리에 포함된 해수의 비율만으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해수의 비율에 따른 슬러리 관리 방안을 살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해저 TBM 터널에서 해수의 유입에 따른 슬러리의 관리방안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내시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슬러리에 포함된 해수의 비율만으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으며 해수의 비율에 따른 슬러리 관리 방안을 살펴 보았다. 또한 해수의 영향이 있는 현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슬러리에 포함된 염분농도에 따른 상태변화 시험을 수행하고 그 기준을 제시할 예정이다.
  • 해수의 비율에 따른 Na-벤토나이트 슬러리의 상태 변화를 검토하기 위하여 관련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시료는 담수 및 해수, Na-벤토나이트를 사용하였으며 해수의 비율을 조절하여 준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틱소트로피란 무엇인가? 벤토나이트가 물에 분산된 현탁액은 높은 점도를 나타내며, 물이나 기름과는 다르게 유동 속도가 변하면 현탁액의 점도도 함께 변하는 성질이 있다(낮은 유동속도에서는 높은 점도를 나타내며, 높은 유동 속도에서는 낮은 점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성질을 틱소트로피(Thixotropy)이라고 하며 이를 활용해 시추 또는 지반 굴착 시에 슬러리가 주로 사용된다.
쉴드 TBM 공법을 막장압력을 대응하는 방법에 따라 구분하면? 쉴드 TBM 공법은 막장압력을 대응하는 방법에 따라 토압식(EPB, Earth Pressure Balanced) TBM과 이수식(slurry shield)TBM으로 나뉜다(Park et al., 2016).
벤토나이트는 터널 시공시 무슨 역할을 하는가? , 2002). 이는 지반 굴착 시 벽면에 불투수성의 막을 형성하여 막장의 붕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벤토나이트가 해수의 염분과 접촉하였을 때는 팽창성 저하 및 점도 상실 등으로 인해 이러한 특성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Jeon, H.Y., Park, Y.M., Mok, M.S. (2002), "Assessment of hydraulic properties of bentonite swelling agents by blending with additives", Journal of the Korean geosynthetios society, Vol. 1, No. 1, pp. 43-51. 

  2. Jeong, S.W. (2011), "The r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wyoming bentonite: role of salinity",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7, No. 10, pp. 81-92. 

  3. Kim, Y.B., Kim, S.R., Kwak, K.S., Oh, S.G. (2004), "A study on development type bentonite mate waterproofing materials under the influence of salt water",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 4, No. 2, pp. 45-49. 

  4. Oh, S.K., Yoo, J.K., Bae, K.S. (2002), "A study on the swelling property and watertightness evaluation of bentonite mat for waterproof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Vol. 18, No. 4, pp. 91-96. 

  5. Park, S.S., Lee, J.W. (2012), "Effect of sea water on curing and strength of cemented sand",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8, No. 6, pp. 71-79. 

  6. Park, S.S., Nong, Z., Jeong, S.W. (2012), "Effect of sea water and microorganism on liquid and plastic limits of soil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28, No. 10, pp. 79-88. 

  7. Park, H.K., Oh, J.Y., Chang, S.B., Lee, S.B. (2016), "Case study of volume loss estimation during slurry tbm tunnelling in weathered zone of granite rock",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8, No. 1, pp. 61-74. 

  8. Roh, B.K., Koh, S.Y., Choo, S.Y. (2012), "Infiltration behaviour of the slurry into tunnel face during slurry shield tunnelling in sandy soil",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4, No. 3, pp. 261-275. 

  9. Shin, H.J., Kim, S.S., Kang, M.S., Han, S.J. (1995), "The influence of bentonite slurry on thixotropic proper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 pp. 555-558. 

  10. Yoo, C.S., Choi, J.H., Han, Y.S. (2015),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drilling fluid with different mix design for bore hole collaps preven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 31, No. 1, pp. 15-24. 

  11. You, K.H., Park, C.M. (2016), "A study on the risk and settlement evaluation of a shield TBM excavated in soft marine sedimentary soils",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18, No. 4, pp. 355-364. 

  12. Arasan, S., Yetimoglu, T. (2008), "Effect of inorganic salt solutions on the consistency limits of two clays", Turkish Journal of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Sciences, Vol. 32, pp.107-115. 

  13. Di Maio, C., Santoli, L., Schiavone, P. (2004), "Volume change behavior of clays: the influence of mineral composition, pore fluid composition and stress state", Mechanics of Materials, Vol. 36, pp. 435-451. 

  14. Rao, S.M., Sridharan, A., Chandrakaran, S. (1993), "Consistency limits behavior of bentonites exposed to seawater", Marine Georesources and Geotechnology, Vol. 11, pp. 213-227. 

  15. Sridharan, A. (1991), "Engineering behavior of fine-grained soils: a fundamental approach", Indian Geotechnical Journal, Vol. 21, pp. 1-136. 

  16. Yukselen-Aksoy, Y., Kaya, A., Oren, A.H. (2008), "Seawater effect on consistency limits and compressibility characteristics of clays", Engineering Geology, Vol. 102, pp. 54-6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