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V/GAC 흡착산화 공법을 이용한 원자력 발전소 2차 계통 냉각수로부터 발생하는 에탄올 아민 함유 폐수처리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ining Ethanolamine from Coolant of the Secondary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 by UV/GAC Adsorption Oxidation Method 원문보기

공업화학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v.28 no.3, 2017년, pp.318 - 325  

최민준 (강릉원주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  김한수 (강릉원주대학교 생명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자력발전소 2차 계통수에 사용되는 에탄올아민이 포함된 오염수는 복수탈염설비의 이온교환수지에서 포집된다. 이온교환수지의 재생과정에서 에탄올아민과 다량의 이온성 물질이 포함된 강산성 폐수가 발생된다. 본 연구는 이온교환수지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서 자외선 산화방법을 적용하였다. 산화방법은 흡착제를 함께 사용한 자외선 산화와 흡착제를 적용하지 않고 자외선 산화만 적용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여 자외선 산화방법에서 흡착제가 폐수처리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는 입상활성탄을 흡착제로 적용한 UV/GAC산화공정은 pH 12.8에서 COD 제거 효율은 71.3%로 나타났다. 동일한 pH 조건에서 흡착제를 적용하지 않은 UV 산화공정보다 COD 제거 효율이 21.8% 높게 나타났다. T-N의 제거는 pH 12.8일 때 88.6%로 흡착제를 적용하지 않은 UV산화공정보다 18.0%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입상활성탄이 에탄올아민을 고정시켜서, UV 램프에 의한 산화공정의 효율을 높이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UV/GAC 흡착산화공정이 에탄올아민 함유 폐수의 처리에 더 효율적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astewater including ethanolamine used in the second generation of nuclear power plants is filtered out in the ion exchange resin of the condensate polishing plant. In the regeneration process of ion exchange resin, a strong acidic wastewater containing ethanolamine and a lager amount of ionic sub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복잡한 매질을 강제로 통과 시키거나 공기를 직접 주입하면 탈기효과를 얻을 수 있다[10,11,17]. 따라서 흡착공정이 포함되지 않은 UV산화공정과 UV/GAC 흡착산화 공정에 적용하여 질소 제거 효율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한 pH와 NH4+ 농도의 함수를 이용하여 NH3 의 양을 도출하는 방법은 아래의 식이 이용되고 있다[14].
  • 후속 연구에서는 오존을 직접 주입하여 오존 생성량을 증가시키고, pH 조절 제인 NaOH에 의한 OH라디칼을 증가시켰을 때, 수처리 시간의 단축이 가능한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을 통해 에탄올아민 함유 폐수의 처리 후 직접 방류 가능한 공정 구성과 폐수처리 운전 조건과 운전시간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한편, 재생공정에 의한 입상 활성탄의 수명을 파악하여 정확한 교체시기 및 이로 인한 경제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에탄올아민의 사용 목적은 무엇인가? 2001년 이래로 원자력 발전소에서 2차 계통의 pH 조절과 냉각을 위해서 에탄올아민(ethanolamine, ETA)을 활용한 전휘발성처리법 (all-volatile treatment, AVT)이 사용되고 있다. 에탄올아민은 고압의 물을 사용하는 원전이나 스팀기관의 물에 알칼리화(pH 9~10)를 위해서 사용된다. 에탄올아민은 물의 알칼리화가 일어나면 금속의 부식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휘발물질이 기계장치에 침착(scaling)되는 것을 막아준다.
에탄올아민과 같은 난분해성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최근 주목받는 기술은 무엇인가? 현재, 에탄올아민과 같은 난분해성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수처리 기술들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고 있다[1-17]. 최근에는 고도산화(advanced oxidation process, AOP)를 이용한 수처리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초기의 고도처리 기술은 설치 편리성과 소요면적이 매우 작다는 장점에 의해 정수 처리 공정과 방류수 살균소독, 식품 소독 세척 등에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에탄올아민을 포함한 오염원은 어떠한 설비에서 포집되는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의 EPRI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를 중심으로 비교적 휘발도가 낮고 OH작용기를 포함하는 아민(amine)기를 포함한 에탄올아민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1,2]. 원자력발전소의 2차 계통 냉각수에 사용되고 있는 에탄올아민을 포함한 오염원은 복수탈염설비(condensate polishing plant, CPP)의 이온교환수지에서 포집된다. 복수탈염설비의 이온교환 수지를 재생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약품은 강산성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 C. Lee,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ining ethanolamine in secondary system of nuclear power plant, Appl. Chem. Eng., 24, 38-43 (2013). 

  2. S. C. Park, Y. H. Yang, J. H. Lee, H. G. Cho, D. H. Lee, and J. S. Choi, A Feasibility Study on Commercial Treatment Technology for CPP Regeneration Wastewater. Technical Report E12NS02, Korea Hydro and Nuclear Power (2013). 

  3. Y. W. Jeong, D. H. Byun, H. Y. Lee, and D. H. Kim, Treatment of ethanolamine using electro-chemical decomposing system, Power Eng. (Korea Electric Power Technology, Inc.), 25, 92-99 (2014). 

  4. J. Y. Lee, J. K. Lee, S. H. Uhm, and H. J. Lee, Electrochemical technologies: Water treatment, Appl. Chem. Eng., 24, 235-242 (2011). 

  5. H. J. Jeong, A Study of Physicochemical and Ion Exchange Characteristics of ETA. MS Thesis, Soon Chun Hyang University, Asan, Korea (2006). 

  6. J. W. Choi and H. S. Lee, A study on the decomposition of dissolved ozone and phenol using ozone/activated carbon process, Appl. Chem. Eng., 23, 490-495 (2012). 

  7. H. D. Jeon, Advanced oxidation process with $TiO_2$ photocatalyst, J. Korean Soc. Environ. Eng., 16, 809-818 (1994). 

  8. S. H. Kim, J. R. Lim, S. Y. Nam, and H. S. Shin, Air-stripping-UV irradiation-thermal hydrolysis for trichloroethylene removal, J. Korean Soc. Environ. Eng., 25, 1010-1015 (2003). 

  9. J. G. Kang, S. G. Han, D. H. Yoo, S. Y. Park, and J. W. Gang, The Application of Neutron Activation Analys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Catalyst to be Used in AOP, Research Report GOVP1200130852,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2001). 

  10. C. R. Kim, Recovery of Ammonia in the Highly Concentrated Ammonia Wastewater by Steam and Air Stripping. MS Thesis, University of Ulsan, Ulsan, Korea (2013). 

  11. Y. G. Gwag, Removal of Ammonia Nitrogen at High Concentration by Physicochemical Method, MS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2005). 

  12. J. Y. Park, Removal of Ethanolamine Using GAC-Catalyzed $O_3$ Oxidation. MS Thesis,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wangju, Korea (2013). 

  13. M. S. Elovitz and U. Gunten, Hydroxyl radical/ozone ratios during ozonation processes: 1. The Rct concept, Ozone Sci. Eng., 21, 239-260 (1999). 

  14. T.-G. Lee and B.-H. Ku, A study of wastewater treatment for organic matters using electro coagulation oxidation system, J. Korean Soc. Water Sci. Technol., 18, 49-50 (2010). 

  15. C. H. Jeong and H. R. Bae, A study on the removal of B.T.X. by UV photooxidation-activated carbon, J. Environ. Sci. Int., 13, 41-45 (2004). 

  16. H. E. Lee, Y. J. Kim, S. O. Park, Y. H. Sung, C. O. Park, H. J. Lee, M. Jang, and Y. J. Lee, Cyanide attenuation by granular activated carbon and UV-light. Econ. Environ. Geol., 44, 485-492 (2011). 

  17. I. H. Lee, B. K. Park, D. C. Cho, H. K. Han, M. Hong, H. J. Yoo, D. J. Kim, I. S. Hwang, and H. J. Jeong, Development of Wastewater Treatment and Resin Regeneration Technology for Reduction of COD & N in NPP Effluent. Research Report 2008 RR-N-CO, The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Korea (200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