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제주국제자유도시, 신자유주의 예외공간, 그리고 개발자치도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and Neoliberal Space of Exception 원문보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23 no.2, 2017년, pp.269 - 287  

이승욱 (카이스트 인문사회과학부) ,  조성찬 (토지+자유연구소) ,  박배균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국제자유도시는 세계화 시대 경제위기 극복과 새로운 국가경쟁력 확보 등의 당위성을 바탕으로 지방의 적극적인 추진의지와 중앙의 정책적 제도적 지원을 통해 '21세기 동북아 중심도시'를 목표로 야심차게 출범하였다. 그러나 국제자유도시 추진이 결정된지 약 20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이러한 발전 비전은 사실상 상실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상적 자유시장 경제모델'을 표방한 제주국제자유도시가 발전주의 국가모델의 유산이 여전히 작동하는 한국 경제체제에서 예외적으로 급진적인 신자유주의 개방경제공간을 지향하였고 각종 신자유주의 탈규제 정책의 실험장으로서의 역할을 자임하였지만, 환경과 사회경제적 모순 격화로 인한 지역사회 갈등의 심화, 중앙정부의 형평성 논리 및 제한된 자치권으로 인하여 사실상 실패하였다고 주장한다. 이를 위해 예외공간으로서의 경제특구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기반으로 제주국제자유도시 발전 비전의 변화과정을 분석하고, 다양한 예외적 제도와 공간적 장치들이 제주를 어떻게 예외공간화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ile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was promoted to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and build a new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era of globalization, its development vision as 'the hub city of Northeast Asian economy in the $21^{st}$ century' has not been realized. This paper argues that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주국제자유도시가 세계화 시대 경제위기 극복과 새로운 국가경쟁력 확보 등의 당위성을 바탕으로한 목표는 무엇인가? 제주국제자유도시는 세계화 시대 경제위기 극복과 새로운 국가경쟁력 확보 등의 당위성을 바탕으로 지방의 적극적인 추진의지와 중앙의 정책적 제도적 지원을 통해 '21세기 동북아 중심도시'를 목표로 야심차게 출범하였다. 그러나 국제자유도시 추진이 결정된지 약 20년이 지난 현 시점에서 이러한 발전 비전은 사실상 상실되었다.
예외공간이란? 제주국제자유도시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신자유주의의 전형적 경제공간을 지향하는 예외공간으로 조성되었다. 여기서 예외공간이란 일반적으로 국가가 자신의 영토 내에 차별적인 제도와 규칙을 지정한 공간을 의미한다. 제주의 경우 중앙과 지방의 개발에 대한 이해관계가 부합하고 경제위기와 세계화라는 시대적 배경과 조응한 정치-경제적 조건 하에서 영리병원, 부동산 투자이민제 등 이전에는 상상하기 어려웠던 파격적 조치들이 도입되거나 시행이 고려되었던 공간이라는 점에서 예외공간이라 규정할 수 있다.
아시아의 신자유주의 이전 기존의 시민권이 서구의 시민권과 다른 특성을 지닌 이유는? 물론 그녀 또한 아시아 시민권 체제의 작동이 서구와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였지만, 여기서 그녀가 초점을 둔 것은 오히려 신자유주의 사상과 실천이 기존의 시민권 체제와 결합하는 방식에 있어 아시아와 서구가 상이하다는 점을 밝힌 것이고(아시아에서는 기업가주의, 자기 책임 등이 강조되는 동시에, 서구의 경우와는 달리 이러한 가치들이 국가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해야 한다는 사회적 책무성과 연계되는 차별성이 존재함을 지적함), 신자유주의 기준의 작동에 따라 기존의 시민권과 연동되던 혜택, 권리가 해체된다는 주장에는 여전히 위에서 지적한 서구중심적 인식론의 한계가 드러난다. 신자유주의 예외논리 작동 이전의 아시아 시민권 체제는 포스트 식민주의, 개발 독재 등 서구와는 상이한 정치・사회적인 조건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서구의 시민권 체제에 비해 시민들이 받을 수 있는 혜택과 권리가 훨씬 제약되었다. 게다가, 사회적, 공간적 격차와 차등화도 심하여, 시민들의 권리와 혜택이 집단별, 지역별로 많은 차이가 존재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기획재정부, 2008, 2007년도 공기업 경영실적 평가 보고서, 389-439. 

  2. 김부찬, 2007,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 5주년 정책세미나 토론문, 제주국제자유도시 진단과 향후 전략 방안 모색 정책세미나 자료집, 85-90. 

  3. 김상근, 2008, 제주특별자치도 미래사회의 대안인가? 제주특별자치도 현재와 과제, 제주대안연구공동체 창립토론회 발표문, http://www.jejuin.org/skyBoard/view/dataroom/2295. 

  4. 김태환, 2007, 개회사, 제주국제자유도시 진단과 향후 전략방안 모색 정책세미나, 3-4. 

  5. 박배균, 2005, 지역정치가 경제활동의 세계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공간과 사회, 23, 10-45. 

  6. 박배균, 2006, 동아시아 발전주의 국가에서 '신자유주의화'의 공간성에 대한 연구, 공간과 사회, 25, 8-40. 

  7. 박배균, 2009, 초국가적 이주와 정착을 바라보는 공간적 관점에 대한 연구: 장소, 영역, 네트워크, 스케일의 4가지 공간적 차원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5), 616-634. 

  8. 부만근, 2012, 제주지역개발사, 제주발전연구원, 제주. 

  9. 신용인, 2013, 제주의 통합비전, 생명평화의 섬과 제주특별법의 미래" 법과 정책, 19(2), 273-306. 

  10. 이승욱, 2016, 개성공단의 지정학: 예외공간, 보편공간 또는 인질공간? 공간과 사회, 56, 132-163. 

  11. 이영민, 2005, 세계문화도시의 의미와 제주의 가능성 탐색, 한국도시지리학회지, 8(3), 1-8. 

  12. 이재하, 2012, 대안적 지역발전론으로서 지역차이발전론, 대한지리학회지, 47(1), 140-157. 

  13. 임석회, 2002, IMF 경제위기 이후 경제재구조화와 지역격차, 한국지역지리학회지, 8(4), 513-528. 

  14. 정승훈, 2007, 제2차 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수립방향 및 주요 과제, 제주발전포럼, 34, 13-19. 

  15. 제주도, 2003,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2002-2011). 

  16. 제주도, 2004, 평화와 번영의 東北亞時代를 열어갈 제주국제자유도시 추진상황, 동북아시대위원회 제주특별위원회 안건. 

  17. 제주특별자치도, 2006,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보완계획: 4+1 핵심산업을 중심으로. 

  18. 제주특별자치도, 2007, 제주특별자치도 추진백서. 

  19. 제주특별자치도, 2011,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 계획, 삼성경제연구소, 제주발전연구원. 

  20. 제주특별자치도, 2016, 제주특별자치도 10년 추진상황 및 성과. 

  21. 조성찬, 2015, '공유자원 사유화 발전모델'에 기댄 제주국제자유도시 전략 연구, 제주연구 6호, http://landliberty.or.kr/archives/3113. 

  22. 조성찬, 2016, '공유자원 사유화 모델'에 기댄 제주자유도시 발전전략의 비판적 검토: 토지 및 지대의 사유화를 중심으로, 공간과 사회, 56, 44-79. 

  23. 최병두, 2006, 발전주의에서 신자유주의로의 이행과 공간정책의 변화,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1), 82-103. 

  24. 최재헌, 2005, 제주국제자유도시의 과제와 발전전략 모색, 한국도시지리학회지, 8(3), 9-20. 

  25. 허찬국, 2007, 제주국제자유도시추진전략 개선에 대한 小考, 제주국제자유도시 진단과 향후 전략방안 모색 정책세미나 자료집, 49-72 

  26. 허향진.양덕순, 2007, 제주국제자유도시의 추진성과와 과제, 제주국제자유도시 진단과 향후 전략방안 모색 정책세미나 자료집, 11-46. 

  27. Agamben, G., 1998, Homo Sacer: Sovereign Power and Bare Life, Stanford University Press, Stanford. 

  28. Agamben, G., 2005, State of Exception,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29. Cross, J., 2010, Neoliberalism as unexceptional: Economic zones and the everyday precariousness of working life in South India, Critique of Anthropology, 30(4), 355-373. 

  30. Cross, J., 2014, Dream Zones: Anticipating Capitalism and Development in India, Pluto Press, London. 

  31. Easterling, K., 2014, Extrastatecraft: The Power of Infrastructure Space, Verso, London and Brooklyn, NY. 

  32. Foucault, M., 2008, The Birth of Biopolitics: Lectures at the College de France, 1978-79, Palgrave Macmillan, London. 

  33. Harvey, D., 1985, The geopolitics of capitalism, in D. Gregory and J. Urry (eds.), Social Relations and Spatial Structures, Macmillan, Basingstroke, Hampshire, 128-163. 

  34. Harvey, D., 2005, A Brief History of Neoliber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and New York. 

  35. Kwon, S., 2008, Alternating development strategies in Jeju Island,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43(2), 171-187. 

  36. Lee, S-O., Jan, N. and Wainwright, J., 2014, Agamben, postcoloniality, and sovereignty in South Korea, Antipode, 46(3), 650-668. 

  37. Mitchell, K., 2004, Crossing the Neoliberal Line: Pacific Rim Migration and the Metropolis, Temple University Press, Philadepia. 

  38. Mitchell, K., 2016, Neoliberalism and citizenship, in S. Springer, L. Birch and J. MacLeavy (eds.), The Handbook of Neoliberalism, Routledge, New York, 118-129. 

  39. Ong, A., 1999, Flexible Citizenship: The Cultural Logics of Transnationality, Duke University Press, Durham and London. 

  40. Ong, A., 2004, The Chinese axis: zoning technologies and variegated sovereignty,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4(1), 69-96. 

  41. Ong, A., 2006a, Neoliberalism as Exception: Mutations in Citizenship and Sovereignty, Duke University Press, Durham and London. 

  42. Ong, A., 2006b, Mutations in citizenship, Theory, Culture & Society, 23(2-3), 499-505. 

  43. Ong, A., 2007, Neoliberalism as a mobile technology,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32(1), 3-8. 

  44. Ong, A., 2011, Introduction: worlding cities, or the art of being global, in A. Roy and A. Ong (eds.), Worlding Cities: Asian Experiments and the Art of Being Global, Wiley-Blackwell, Chichester, West Sussex; Malden, MA, 1-26. 

  45. Ong, A., 2012, Neoliberal as political technology, in G. Ritzer (ed.), The Wiley-Blackwell Encyclopedia of Globalization, Wiley-Blackwell, Chichester, West Sussex and Malden, MA, 1511-1513. 

  46. Palan, R., 2003, The Offshore World: Sovereign Markets, Virtual Places, and Nomad Millionaires, Cornell University Press, Ithaca. 

  47. Schmitt, C., 1985 [1934], Political Theology: Four Chapters on the Concept of Sovereignty (trans G Schwab), MIT Press, Cambridge. 

  48. 곽상아, 2015, '국내 1호 영리병원' 설립에 쏟아지는 우려, 허핑턴포스트 코리아, 12월 18일, http://www.huffingtonpost.kr/2015/12/18/story_n_8836010.html. 

  49. 국토교통부 복합도시정책과, 2013, 제주국제자유도시 관련, 10월 31일, http://www.molit.go.kr/USR/policyTarget/m_24066/dtl.jsp?idx115. 

  50. 김대휘, 2007, 김태환 지사 '제주 항공자유화.면세지 역화.법인세율 인하', 노컷뉴스, 1월 2일, http://www.nocutnews.co.kr/news/230497#csidx7b2ac07937bd6d4bf366f4e26b1cd83. 

  51. 박미라, 2017, '강력한 자치' 제주의 특별한 10년…'실 험'은 계속 진행형, 경향신문, 4월 6일,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4062252015&code940100. 

  52. 윤철수, 2016, 핫이슈로 떠오른 '제주 무사증' 제도… 어찌 하오리까, 헤드라인제주, 9월 20일, http://www.headlinejeju.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286586. 

  53. 원희복.강홍균, 2007, 제주 '홍가포르'로 만든다, 경향신문, 5월 20일, http://news.khan.co.kr/kh_ news/khan_art_view.html?artid20050520180 2031&code950313. 

  54. 이동건, 2017, 녹지국제병원 연내 개원 '기대반 우려 반', 제주일로 3월 1일, http://www.jejuilbo.net/ news/articleView.html?idxno44071. 

  55. 이승록, 2016, 제주도 부동산 투자이민제 5년 더! 2023년까지, 제주의 소리, 6월 10일, http://www. jejusori.net/?modnews&actarticleView&idx no178638. 

  56.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5, 제주특별자치도, http://innovation.pa.go.kr/include/file_dow n.php?id2088. 

  57.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2005, 제주특별자치도 기본구상안 발표, 보도자료, 5월 20일, http://innovation. pa.go.kr/agenda/view_news.htm?id556&pa ge9. 

  58. 제주일보, 2016, 제주 가치를 잃은 국제자유도시 비전, 2월 1일, http://www.jejuilbo.net/news/articleView.html?idxno8385. 

  59. 추모연대, 2001, 열사의 뜻 외면하는 제주국제자유도시추진을 반대한다, 11월 23일, http://www.yolsa.org/bbs/board.php?bo_tabletbl_freeboard&wr_id241. 

  60. 한겨레신문, 2015, 의료 민영화 물꼬 트는 '제주도 영리병원', 12월 18일, http://www.hani.co.kr/arti/opinion/editorial/722567.html#csidxc3876fcbef5faf29699bffa74a4e9d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