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석 및 자기장 주제에 대한 과학 학습용 웹기반 시뮬레이션의 현황 및 개선 방안
Current State and Ways of Improvement of web-based science simulations about magnets and magnetic field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1 no.2, 2017년, pp.231 - 245  

이수아 (서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  전영석 (서울교육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를 통해 자석 및 자기장과 관련된 웹기반 과학학습 시뮬레이션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시뮬레이션의 내용과 전략 및 디자인 측면에서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연구를 위해 과학학습 시뮬레이션 평가 기준을 고안하였으며, 초등교사 8명이 참여하여 자석 및 자기장 관련 시뮬레이션 14종을 평가 기준에 맞추어 평가하고 각 시뮬레이션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들을 상 그룹과 하 그룹으로 분류하였고, 상 그룹의 시뮬레이션에서 강점과, 하 그룹의 시뮬레이션에서 보완할 점들을 교수학습 내용, 교수학습 전략, 화면구성, 기술의 측면에 따라 분석하고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교수학습에 효과적인 자석 및 자기장 주제의 웹기반 시뮬레이션 개선을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review current state of web-based simulations for science learning about magnets and magnetic field, and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simulations in terms of contents, strategies and design. We designed a set of criteria for evaluating science simulations and applied it to 14 s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교수-학습 전략 영역에서는 학생들이 얼마나 시뮬레이션에 흥미를 가지고 몰입할 수 있으며, 활발한 상호작용을 통해 탐구를 수행할 수 있는가에 관하여 평가하였다. 교수-학습 전략 영역의 평가 결과를 종합한 것은 (Fig.
  • 시뮬레이션을 개선한다면, 자석을 플레이 영역 밖에 두고 자석을 가지고 들어올 때 자기장의 모습이 변하는 것을 보여주면 좋겠다는 평가 의견이 있었다. 또, 미션과 같은 게임적 요소를 첨가한다면 학생들이 시뮬레이션에 흥미를 가지고 몰입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석 및 자기장과 관련된 웹기반 과학학습 시뮬레이션들의 현황을 알아보고, 그것들의 적절성을 시뮬레이션의 교수학습 내용과 전략 및 디자인 측면에서 평가하여 이후 더 유용한 시뮬레이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자석 및 자기장과 관련된 웹기반 과학학습 시뮬레이션들의 현황을 알아보고, 그것들의 적절성을 시뮬레이션의 교수학습내용과 전략 및 디자인 측면에서 평가(또는 검토)하여 이후 더 유용한 시뮬레이션 개발 및 적용을 위한 방안들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 효과적인 과학 학습용 웹기반 시뮬레이션을 평가하기 위한 선행 작업으로 국내외 학자들에 의해 제시된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평가 준거들을 살펴보았다. 한국교육개발원[18]은 교육용 소프트웨어 심의를 위한 개념적 모형을 개발하여 심의 기준을 목표, 내용, 전달, 기술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고, Bitter & Wighton[6]은 일반적 평가 준거를 위한 조사를 실시하여, 내용의 정확성, 상호작용, 신뢰도, 동기 등 22개의 공통적 평가준거를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컴퓨터 시뮬레이션이란? 최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컴퓨터가 우리 생활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면서, 전통적 과학 실험의 문제점을 보완해 줄 수 있는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교육적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13][14][25]. 컴퓨터 시뮬레이션은 현실 세계의 상황을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가상적으로 재현하는 것으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과학수업은 실제적 도구를 이용해 직접 실험을 수행하는 대신, 주어진 시뮬레이션에서 변수를 조작하여 실험 결과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결론 도출 및 논의 활동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4].
전통적 과학 실험의 문제에는 무엇이 제기되고있는가? 또한 과학 교과에서 실험의 중요성은 실험을 통해서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교육 내용에 흥미를 갖게 되고, 과학적인 탐구 과정과 과학자의 태도를 익힐 수 있다는 점에서도 찾을 수 있다[9]. 그러나 전통적 과학 실험은 자료를 수집하고 처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들기 때문에, 정작 중요하게 다루어져야할 자료를 분석하거나 추론을 통해 과학적 설명을 만들어 내기 위한 시간이 부족하며[5], 노후화된 기자재, 불명확한 실험 방법, 실험 중 정보 잡음, 실험 도중 안전사고, 실험을 통한 추상적 개념 이해의 어려움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15][19][21].
컴퓨터 시뮬레이션의 이점은? 전통적인 학습 방식과 비교해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사용하는 학습 환경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탐구과정을 단순화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오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단축된 시간은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지식을 구성할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7][12]. 안전성, 비용, 기구의 부족함 등의 이유로 실제로 실험하기 어려운 실험을 가능하게 해 준다. 즉, 실제 환경과 유사한 환경에서 제약 없이 반복적으로 실험을 수행할 수 있고, 학습자가 자유롭게 변인을 조작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줌으로써 학습자가 학습과정을 적극적으로 이끌 수 있도록 도와준다[23]. 실험 결과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수학적 계산이나 자료 변환 능력이 필요한데, 시뮬레이션에서는 이를 다이어그램이나 그래프와 같은 다양한 표현방식으로 변환하여 줌으로써 실험 목적을 명확히 하고, 수학적 능력이 부족한 학생들도 과학활동에 집중하여 참여할 수 있게 해 준다[24]. 또, 시뮬레이션은 추상적 개념이나 측정값들을 시각화하여 줌으로써 학생들이 현상에 대한 개념적 이해를 더 잘 할 수 있게 도와준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dams,W.K., Perkins,K.K .& Wieman,C.E. (2006). PhET look and feel. Retrieved November 23, 2006, from University of Colorado, Physics Education Technology Web site http://phet.colorado.edu /web-pages/publications/PhET Look and Feel.pdf. 

  2. Adams, Reid, LeMaster, McKagan, Perkins, Dubson, & Wieman (2008). A Study of Educational Simulations Part 1 - Engagement and Learning. Jl. of Interactive Learning Research, 19-3, 397-419. 

  3. Ahn Seong Hun (2002). Research of Evaluation Method According to Learning Type for Educational Web Content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3), 22-30. 

  4. Akpan, J. P. (2001). Issues associated with inserting computer simulations into biology instruc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5-3, Retrieved from: http://ejse.southwestern.edu/article/view- Article/7656/5423. 

  5. Barton, R. (1996). Computers and practical work in science education. unpublished phD thesis, University of East Anglia. 

  6. Bitter, G. G., & Wighton, D. (1987). The most important criteria used by the educational software evaluation consortium. The Computing Teacher, 14(6), 7-9. 

  7. Blake, C., & Scanlon, E. (2007). Reconsidering simulations in science education at a distance: features of effective use.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3(6), 491-502. 

  8. Byon Sunye (2003).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representation patterns of magnetic field with magnetic field lin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9. Cho Hee Hyung & Park Seung Jae (1994). Theory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KyoyookBook. 

  10. Choi Beom Gil & Jhun Young Seok (2016). Analysis of Abnormalities of Magnet Poles in an Elementary Science Classroom, New Physics, 66, 893-899. 

  11. Do Kwang Seok (2000). An investigation on the conception of the magnetic field for the elementar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Busa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2. Do Man Koo (2005). The effect of applying virtual lab using computer simulation to the unit of 'Force and Motion' in high school physic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yonggi University 

  13. Duran, M. J., Gallardo, S., Toral, S. L., Martinez-Torres, R., & Barrero, F. J. (2007). A learning methodology using Matlab/Simulink for undergraduate electrical engineering courses attending to learner satisfaction outcome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 17(1), 55-73. 

  14. Gelbart, H., Brill, G., & Yarden, A. (2009). The impact of a web-based research simulation in bioinformatics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genetic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9(5), 725-751. 

  15. Jin Sun Hi & Jang Shin Ho (2007).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ing Experience of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2), 181-191. 

  16. Kim Gyung Wan(2008). Design and Development of Computer Simulation for Inquiry-Centered Laboratory Cla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7.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KERIS) (2005). Quality certification Index for education contents. 

  18. Korea Multimedia Education Center(KMEC) (1998). Operating quality certification system for education softwares. PR 98-7. 

  19. Lee Soo Ah, Jhun Young Seok, Hong Jun Euy, Shin Young Joon, Choi Junh Hoon & Lee In Ho (2007). Difficulties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ience Class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1), 97-107. 

  20. Lee Ul Su (2007). Types of misconceptions about the magnetic field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Graduate School of Jinju University. 

  21. Park Jong Wook & Kim Sun Ja (1996). The Survey of Problem Contexts Suffering by the Elementary Teachers in the Elementary Science Laboratory Instruc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15(2), 263-282. 

  22. The PhET Team (2006). PhET interactive computer simulations.[Computer software]. Boulder, CO: University of Colorado, Physics Education Technology Project. Retrieved May 19, 2008, from http://phet.colorado.edu 

  23. van Berkum, J. J. A., & de Jong, T. (1991). Instructional environments for simulations. Education & Computing, 6, 305?358. 

  24. Windschitl, M., & Andre, T. (1998). Using computer simulations to enhance conceptual change: the roles of constructivist instruction and student epistemological belief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2), 145-160. 

  25. Zacharia, Z. C. (2007). Comparing and combining real and virtual experimentation: an effort to enhance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of electric circuits.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3(2), 120-13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