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arkov 과정의 최초통과시간을 이용한 지수가중 이동평균 관리도의 평균런길이의 계산
Average run length calculation of the EWMA control chart using the first passage time of the Markov process 원문보기

응용통계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v.30 no.1, 2017년, pp.1 - 12  

박창순 (중앙대학교 응용통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많은 확률과정이 Markov 특성을 만족하거나 근사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Markov 과정에서 특히 관심을 끄는 것은 최초통과시간이다. 최초통과시간에 대한 연구는 Wald의 축차분석에서 시작하여 근사적 특성에 대한 많은 연구가 되어왔고 컴퓨터의 발달로 통계계산적 방법이 사용되면서 근사적 결과가 참값에 가까운 값을 계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논문은 Markov 과정의 예로서 지수가중 이동평균 관리도를 사용할 때 평균런길이를 계산하는 과정과 계산상의 주의점, 문제점 등을 연구하였다. 이 결과는 다른 모든 Markov 과정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Markov 연쇄로의 근사는 확률과정의 특성의 연구에 유용하고 계산적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stochastic processes satisfy the Markov property exactly or at least approximately. An interested property in the Markov process is the first passage time. Since the sequential analysis by Wald, the approximation of the first passage time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The Statistical comput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arkov 과정이 취하는 값, 즉 상태공간(state space)은 이산적 상태공간(countable state space)과 연속된 상태공간(continuous state space)으로 구분된다. 여기서는 연속된 상태공간을 가지는 Markov 과정이 주어진 경계선을 최초로 통과하는 시간, 즉 최초통과시간에 대한 통계적 특성을 계산하는 통계계산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X1, X2, .
  • 이 논문에서는 Markov 과정의 최초통과시간에 대한 예로서 지수가중 이동평균 관리도를 들어 평균최초 통과시간인 평균런길이를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세가지 방법을 소개하고 비교하였다. 저자는 계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위해 Markov 연쇄를 통한 근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여러 가지 방법의 이론적 연구보다 실제 계산에 있어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더 정확하고 효용성이 있는가를 판단하고 비교하는데 있다. 따라서 R 언어를 사용한 실제 계산에서 어떤 함수를 어떻게 사용하는가를 보여주고 발생하는 계산상의 문제를 해결하고 원하는 정확도를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산된 시간에서의 대표적 확률과정으로 Markov 과정을 들 수 있는데 이는 기억하지 못함(memorylessness)으로 특징되는 Markov 특성을 만족하는 확률과정이다. Markov 과정이 취하는 값, 즉 상태공간(state space)은 이산적 상태공간(countable state space)과 연속된 상태공간(continuous state space)으로 구분된다. 여기서는 연속된 상태공간을 가지는 Markov 과정이 주어진 경계선을 최초로 통과하는 시간, 즉 최초통과시간에 대한 통계적 특성을 계산하는 통계계산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확률과정이란 무엇인가? 최초통과시간(first passage time; FPT)은 확률과정(stochastic process)이 어떤 정해진 경계선(boundary)을 최초로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확률과정은 시간에 따라 전개하는 과정을 말하는데, 좀 더 명확하게는 확률변수에 의해 결정되는 시스템의 전개를 연속된 시간의 함수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이 때 시간은 연속된 시간(continuous time)과 이산된 시간(discrete time)으로 구분되지만, 관측되는 확률과정은 시간의 구분에 관계없이 이산된 시간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확률변수에 의해 결정되는 시스템의 전개를 연속된 시간의 함수로 표현할 때 시간은 무엇으로 구분되는가? 확률과정은 시간에 따라 전개하는 과정을 말하는데, 좀 더 명확하게는 확률변수에 의해 결정되는 시스템의 전개를 연속된 시간의 함수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이 때 시간은 연속된 시간(continuous time)과 이산된 시간(discrete time)으로 구분되지만, 관측되는 확률과정은 시간의 구분에 관계없이 이산된 시간에 의해 표현될 수 있다. 이산된 시간에서의 대표적 확률과정으로 Markov 과정을 들 수 있는데 이는 기억하지 못함(memorylessness)으로 특징되는 Markov 특성을 만족하는 확률과정이다.
최초통과시간이란 무엇인가? 최초통과시간(first passage time; FPT)은 확률과정(stochastic process)이 어떤 정해진 경계선(boundary)을 최초로 통과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확률과정은 시간에 따라 전개하는 과정을 말하는데, 좀 더 명확하게는 확률변수에 의해 결정되는 시스템의 전개를 연속된 시간의 함수로 표현한 것을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amp, C. W. and Rigdon, S. E. (1991). A comparison of the Markov chain and the integral equation approaches for evaluating the run length distribution of quality control charts, Communications in Statistics-Simulation and Computation, 20, 191-204. 

  2. Chan, Y., Han, B., and Pascual, F. (2015). Monitoring the Weibull shape parameter with type II censored data, Quality and Reliability Engineering International, 31, 741-760. 

  3. Chang, T. C. and Gan, F. F. (1994). Optimal designs of one-sided EWMA charts for monitoring a process variance, Journal of statistical Computation and Simulation, 49, 33-48. 

  4. Crowder, S. V. (1987a). A simple method for studying run-length distributions of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charts, Technometrics, 29, 401-407. 

  5. Crowder, S. V. (1987b). Average run length of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charts,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19, 161-164. 

  6. Crowder, S. V. and Hamilton, M. D. (1992). An EWMA for monitoring a process standard deviation,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24, 12-21. 

  7. Gan, F. F. (1993).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control charts with reflecting boundaries, Journal of statistical Computation and Simulation, 46, 45-67. 

  8. Gan, F. F. (1995). Joint monitoring of process mean and variance using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control charts, Technometrics, 37, 446-453. 

  9. Gan, F. F. (1998). Designs of one- and two-sided exponential EWMA charts,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30, 55-69. 

  10. Gan, F. F. and Chang, T. C. (2000). Computing average run lengths of exponential EWMA charts,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32, 183-187. 

  11. Gianino, A. B., Champ, C. W., and Rigdon, S. E. (1990). Solving integral equations by the collocation method. In ASA Proceedings of the Statistical Computing Section (pp. 101-102),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Washington. 

  12. Hunter, J. S. (1986). The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18, 203-210. 

  13. Knoth, S. (2003). EWMA schemes with non-homogeneous transition kernels, Sequential Analysis, 22, 241-255. 

  14. Knoth, S. (2004). Fast initial response features for EWMA control charts, Statistical Papers, 46, 47-64. 

  15. Knoth, S. (2005). Accurate ARL computation for EWMA-S2 control charts, Statistics and Computing, 15, 341-352. 

  16. Knoth, S. (2007). Accurate ARL calculation for EWMA control charts monitoring simultaneously normal mean and variance, Sequential Analysis, 26, 251-264. 

  17. Lucas, J. M. and Saccucci, M. S. (1990).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control schemes: properties and enhancements, Technometrics, 32, 1-12. 

  18. MacGregor, J. F. and Harris, T. J. (1993). The 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variance,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25, 106-118. 

  19. Nichols, M. D. and Padgett, W. J. (2005). A bootstrap control chart for Weibull percentiles, Quality and Reliability Engineering International, 22, 141-151. 

  20. Park, C. (2007). An algorithm for the properties of the integrated process control with bounded adjustments and EWMA monitoring,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45, 5571-5587. 

  21. Park, C., Lee, J., and Kim, Y. (2004). Economic design of a variable sampling rate EWMA chart, IIE Transactions, 36, 387-399. 

  22. Park, C. and Reynolds, M. R. (1999). Economic design of a variable sampling rates X chart,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31, 363-443. 

  23. Park, C. and Reynolds, M. R. (2008). Economic design of an integrated process control procedure with repeated adjustments and EWMA monitoring,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37, 155-174. 

  24. Park, C. S. and Won, T. Y. (1996). Selection of the economically optimal parameters in the EWMA control chart,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9, 91-109. 

  25. Pascual, F. (2010). EWMA charts for the Weibull shape parameter, Journal of Quality Technology, 42, 400-416. 

  26. Ramalhoto, M. F. and Morais, M. (1999). Shewhart control charts for the scale parameter of a Weibull control variable with fixed and variable sampling intervals,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26, 129-160. 

  27. Waldmann, K. H. (1986). Bounds for the distribution of the run length of geometric moving average charts, Applied Statistics, 35, 151-15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