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표면 화학물질 측정을 위한 라만분광장치
Raman Spectromter for Detection of Chemicals on a Road 원문보기

한국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v.28 no.3, 2017년, pp.116 - 121  

하연철 (국방과학연구소) ,  이재환 (국방과학연구소) ,  고영진 (국방과학연구소) ,  이서경 (삼양화학공업) ,  김윤기 (삼양화학공업)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오염된 지표면의 화학물질을 탐지하기 위해 라만 라이다 기반의 지표면 화학물질 탐지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화학물질에 레이저를 조사하였을 때 나오는 라만 산란광을 측정하여 측정 시료의 분광정보를 얻는 라만 라이다 시스템은 측정 시료의 라만 산란광을 유도하는 레이저를 포함한 송광부와 라만 산란광을 수광하는 수광부, 수광된 광을 파장별로 나눠주는 분광부로 구성된다. 측정거리가 변하여도 수광부에 의해 집광되는 광이 동일한 위치에 집속되도록 code V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광학계를 설계하였다. 총 12종의 화학물질이 유리와 콘크리트 위에 있을 때 라만 스펙트럼을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라만 스펙트럼의 특성이 유사하지만, 세기에 차이가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고체 시료인 PTFE (polytetra-fluoroethylene)를 사용하여 시스템과의 거리 변화에 따른 라만 스펙트럼의 세기를 비교한 결과 시뮬레이션에서 얻은 거리에 따른 수광 효율과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거리에서도 화학물질의 라만 스펙트럼 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a Raman spectrometer is designed to detect chemicals contaminating the ground. The system is based on Raman spectroscopy, which is spectral analysis of scattered light from chemicals, induced by a laser. The system consists of a transmitting-optics module with a laser to induce Ram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시스템은 차량에 장착하여 차량 주행 중 사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행 중 지표면의 높이가 변화하더라도 수광부에 의해 집광되는 광이 동일한 배율로 카세그레인 방식의 축대칭 반사망원경을 설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라만 라이다 기술을 기반으로 지표면에 누출된 화학물질을 측정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여 유해화학물질로 규정된 화학물질의 라만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유도광원으로 중심파장 248.
  • 본 연구에서는 라만분광법을 이용하여 지표면에 누출된 화학물질을 측정하는 시스템을 설계 제작하였다. 시스템은 라만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를 기반으로 구성하였고, 유도광원으로 자외선(ultraviolet: UV) 레이저를 적용하여 태양광•형광의 간섭 없이 야외측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7-8].
  • 비구면렌즈에 의해 집속된 빔은 광섬유뭉치(optical fiber bundle)를 통해 분광부로 전달되므로 광섬유뭉치의 개구수(numerical aperture: NA)와 직경을 고려하여 NA 0.22, φ1 mm  안에 모든 광을 수광하도록 설계하였으며, 이미지 결상 광학계가 아니므로 변조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 보다 수광되는 광량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설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학물질을 측정하기 위해 무슨 방법이 사용되고 있는가? 화학물질을 측정하기 위해 이온이동도법(ion mobility spectroscopy: IMS), 광이온화법(photoionization), 라만분광법(raman spectroscopy)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IMS란 대기 중의 화학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장비 내로 포집하여 이온화시킨 후 이를 전기장 하에서 이동시켜 포집전극에 도착하는 시간 차이를 측정하는 장비이며, 광이온화법은 화학가스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양이온을 만들고 이 양이온이 전압이 가해진 전극에 의해 포집될 때 화학가스 이온전류의 신호 패턴 및 강도를 바탕으로 상대적 신호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다[1].
유해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하는 화학사고의 경우 독성에 의한 사고가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해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사고의 경우 폭발 및 화재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강한 독성에 의해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미량으로도 막대한 인명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오염 지역을 신속하게 탐지하고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화학물질관리법이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나라의 화학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그에 따라 화학물질 취급량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환경부에 서는 화학물질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고, 화학물질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에 신속히 대응하여 화학물질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화학물질관리법을 통해 관리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화학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높거나 화학사고가 발생한 경우 그 피해 규모가 클 것으로 우려되는 화학물질을 유해화학물질로 규정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D. S. Lee,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ion mobility spectrometry," Analytical Science & Technology 14, No. 1, 11A-23A (2001). 

  2. J. T. A. Carriere, F. Havemeyer, and R. A. Heyler, "THzraman spectroscopy for explosives, chemical and biological detection," Proc. SPIE 8710, 87100M (2013). 

  3. K. Kneipp, H. Kneipp, I. Itzkan, R. R. Dasari, and M. S. Feld, "Ultrasensitive chemical analysis by raman spectroscopy," Chem. Rev. 99, 2957-2975 (1999). 

  4. E. B. Hanlon, R. Manoharan, T. W. Koo, K. E. Shafer, J. T. Motz, M. Fitzmaurice, J. R. Kramer, I. Itzkan, R. R. Dasari, and M. S. Feld, "Prospects for in vivo raman spectroscopy," Phys. Med. Biol. 45, R1-R59 (2000). 

  5. M. E. Webber and M. Pushkarsky, "Optical detection of chemical warfare agents and toxic industrial chemicals: simulation," J. Appl. Phys. 97, 113101 (2005). 

  6. H. H. Mark, J. J. Kevin, L. R. P. Susan, Z. John, W. Howard, C. Kim, G. Dana, and T. Duane, "A novel chemical detector using cermet sensors and pattern recognition methods for toxic industrial chemicals," ELSEVIER 116, 135-144 (2006). 

  7. R. Bhartia, W. F. Hugb, and R. D. Reid, "Improved sensing using simultaneous deep UV raman and fluorescence detection," Proc. of SPIE 8358, 83581A 1-9 (2012). 

  8. R. T. Rewick, M. L. Schumacher, and D. L. Haynes, "UV absorption spectra of chemical agents and simulants," Applied Spectroscopy 40, 152-156 (198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