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저항 측정을 통한 모르타르 내의 섬유활성탄의 분산성 평가
Evaluation of Dispersion of Activated Carbon Fiber in Mortar Using Electrical Resistivity Method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9 no.3, 2017년, pp.283 - 290  

이보연 (수원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재승 (수원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멘트계 재료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섬유가 사용되고 있다. 이때, 섬유 사용 목적에 관계없이 섬유의 분산성은 목표로 하는 성능 개선에 매우 중요한 지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르타르 내의 섬유활성탄의 분산을 전기저항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믹싱 방법과 섬유의 표면 처리에 따른 섬유 분산성의 차이가 다루어졌다. 연구 결과 표면전기저항 방법은 섬유활성탄의 분산성을 평가하는데 적합하였고, 초음파 방식의 분산 방법이 몰탈믹서와 핸드믹서 방법에 비하여 우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성능 감수제는 섬유의 분산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었으나 산 처리는 전기저항성을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types of fibers are utilized in cementitious materials in order to improve their performances. Here, the extent of fiber dispersion is of key importance regardless of the purpose of using fiber. In this study, activated carbon fiber dispersion in mortar samples was evaluated using electric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섬유활성탄이 혼입된 모르타르의 섬유 분산성을 표면전기저항법을 통하여 평가가 가능한지 검토하고, 둘째, 다양한 물리적 분산 방법과 표면처리에 따른 분산 정도의 정량적 평가가 표면전기저항법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하여 판단하는 것이다. 더 나아가 microfiber를 포함하는 시멘트계 재료의 전도성 섬유 분산에 관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는 섬유활성탄 (Activated Carbon Fiber, ACF)을혼입 섬유로 선정하였다. 섬유활성탄은 일반적인 탄소섬유를 활성화하여 제조하므로 탄소의 함량이 높고 높은 전기전 도성을 지녀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 또한 일반적인 섬유활성탄은 직경이 10 μm 내외로 microfiber에 속하는데, 지름이 1 mm에 가까운 강섬유에 비하여 분산이 까다롭고 분산의 정도가 매트릭스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분산성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 따라서 전기저항 측정 방법으로 섬유의 분산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침투 임계점 이하의 섬유량을 사용해야 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ACF의 함유량을 달리 하면서 적정 섬유량을 산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세 가지 물리적 분산 방법에 따른 ACF의 모르타르 내 분산 정도를 표면전기저항 방법으로 측정하고 표면전기저항 방법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 평가한다.
  • 마지막으로 세 번째 단계에서는 ACF의 표면처리(surface treatment) 가 섬유의 분산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평가한다. 특히 고성능 감수제의 사용과 섬유의 산 처리가 분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시멘트 페이스트는 물-기반이므로 섬유의 친수성(hydrophilicity)을 향상시켰을 때 섬유의 분산성이 개선된다고 알려져 있다.

가설 설정

  • 섬유의 혼입량이 침투임계점 이하일 때에는 섬유의 분산성이 높을수록 전기 전도성이 높아진다.14) 섬유의 분산성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모체 내에 전류의 경로가 짧아지기 때문 이다. 그러나 섬유의 혼입량이 침투임계점 이상일 경우에는 이미 연속적인 전기 전도 경로가 형성되어 분산의 정도에 관계없이 높은 전도성을 나타낸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유의 표면 처리를 통해 분산성을 향상하는 방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2010)은 계면활성제와 함께 초음 파를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multiwall carbon nanotubes를 분산하였다.12) 한편, 섬유의 표면 처리를 통하여 섬유와 물의 접촉각을 감소시켜 분산성을 향상하는 방법이 있는데, 열처리, 산처리, 플라즈마 처리, 양극산화 방법 등이 있다.13) Fu et al.
섬유를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계 재료에 혼입의 목적에 최대한 도달하기 위한 조건은? 섬유의 종류와 그 특성에 따라 섬유를 혼입하는 목적이 상이한데, 휨인성 증가, 휨강도 증가, 내진성능 개선 등 역학적 성능의 개선에 관련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1-4) 그 외에도 수축 감소,5) 내부 양생,6) 전기적 특성 개선,7-9) 비파괴검사10) 등 다양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의도에 따른 섬유 혼입의 목적에 최대한 도달하기 위해서는 섬유의 균질한 분산이 필수적이다. 섬유의 분산이 균질하게 이루어지지 않은 부위는 전체 매트릭스의 결점으로 작용하여 우선적으로 성능 저하가 일어나게 된다.
섬유를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계 재료에 혼입하는 연구가 이루어지는 이유는?   각종 섬유를 콘크리트 등의 시멘트계 재료에 혼입하는 연구는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져왔다. 섬유의 종류와 그 특성에 따라 섬유를 혼입하는 목적이 상이한데, 휨인성 증가, 휨강도 증가, 내진성능 개선 등 역학적 성능의 개선에 관련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1-4) 그 외에도 수축 감소,5) 내부 양생,6) 전기적 특성 개선,7-9) 비파괴검사10) 등 다양한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의도에 따른 섬유 혼입의 목적에 최대한 도달하기 위해서는 섬유의 균질한 분산이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amir, A. A. and Faisal, F. W., "Flexural behavior of high-strength fiber reinforced concrete beams", Structural Journal, Vol. 90, No. 3, 1993, pp. 279-287. 

  2. Oh, B. H., "Flexural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containing steel fiber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Vol. 118, No. 10, 1992, pp. 2921-2836. 

  3. Kang, S. -T., Kim, Y. -Y., Lee, B. -Y., and Kim, J. -K., "Fiber orientation impacts on the flexural behavior of steel fiber reinforced high strength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0, No. 6, 2008, pp. 731-739. 

  4. Kim, S. -H., Kwon, B. -U., and Kang, T. H. -K., "Seismic performance assessment of roof-level joints with steel fiberreinforced high-strength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8, No. 2, 2016, pp. 235-244. 

  5. Banthia, N., and Gupta, R., "Influence of polypropylene fiber geometry on plastic shrinkage cracking in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6, No. 7, 2006, pp. 1263-1267. 

  6. Mechtcherine, V., Dudziak, L., and Schulze, J., "Internal curing by super absorbent polymers (SAP)-Effects on material properties of self-compacting fibre-reinforced high performance concrete", Int RILEM Conf on Volume Changes of Hardening Concrete: Testing and Mitigation, Lyngby, Denmark, 2006, pp. 87-96. 

  7. Nadelman, E., and Kurtis, K. "A resistivity-based approach to optimizing concrete performance", Concrete International, Vol. 36, No. 5, 2014, pp. 50-54. 

  8. Sherif, Y., and Christopher, Y. T., "Conductive concrete overlay for bridge deck deicing", Materials Journal, Vol. 96, No. 3, 1999, pp. 382-390. 

  9. Whittington, H., McCarter, J., and Forde, M., "The conduction of electricity through concrete", Magazine of concrete research, Vol. 33, No. 114, 1981, pp. 48-60. 

  10. Chen, P. -W., and Chung, D. D., "Carbon fiber reinforced concrete for smart structures capable of non-destructive flaw detection", Smart Materials and Structures, Vol. 2, No. 1, 1993, pp. 22-30. 

  11. Akkaya, Y., Picka, J., and Shah, S. P., "Spatial distribution of aligned short fibers in cement composites",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Vol. 12, No. 3, 2000, pp. 272-279. 

  12. Konsta-Gdoutos, M. S., Metaxa, Z. S., and Shah, S. P., "Highly dispersed carbon nanotube reinforced cement based material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40, No. 7, 2010, pp. 1052-1059. 

  13. Fu, X., Lu, W., and Chung, D. D. L., "Ozone treatment of carbon fiber for reinforcing cement", Carbon, Vol. 36, No. 9, 1998, pp. 1337-1345. 

  14. Chung, D., "Dispersion of short fibers in cement", Journal of Materials in Civil Engineering, Vol. 17, No. 4, 2005, pp. 379-383. 

  15. Chermant, J. -L., Chermant, L., Coster, M., Dequiedt, A. -S., and Redon, C., "Some fields of applications of automatic image analysis in civil engineering",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23, No. 2, 2001, pp. 157-169. 

  16. Akkaya, Y., Shah, S.P., and Ankenman, B., "Effect of fiber dispersion on multiple cracking of cement composites", Journal of Engineering Mechanics, Vol. 127, No. 4, 2001, pp. 311-316. 

  17. Kim, J. -K., Kim, J. -S., Ha, G. J., and Kim, Y. Y., "Tensile and fiber dispersion performance of ECC (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s) produced with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7, No. 7, 2007, pp. 1096-1105. 

  18. Woo, L. Y., Wansom, S., Ozyurt, N., Mu, B., Shah, S. P., and Mason, T. O., "Characterizing fiber dispersion in cement composites using AC-Impedance spectroscopy",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27, No. 6, 2005, pp. 627-636. 

  19. Xie, P., and J. J., Beaudoin, "Electrically conductive concrete and its application in deicing", ACI Special Publication, Vol. 154, 1995, pp. 399-418. 

  20. Wu, T., Huang, R., Chi, M., and Weng, T., "A study on electr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conductive concrete", Computers and Concrete, Vol. 12, No. 3, 2013, pp. 337-349. 

  21. Sun, M., Li, Z., Mao, Q., and Shen, D., "Study on the hole conduction phenomenon in carbon fiber-reinforced concrete",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8, No. 4, 1998, pp. 549-554. 

  22. Polder, R. B., "Test methods for on site measurement of resistivity of concrete-a RILEM TC-154 technical recommendation",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15, No. 2, 2001, pp. 125-131. 

  23. Fu, X., and Chung, D., "Improving the bond strength of concrete to reinforcement by adding methylcellulose to concrete", ACI Materials Journal, Vol. 95, 1998, pp. 601-608. 

  24. Xu, Y., and Chung, D., "Cement-based materials improved by surface-treated admixtures", ACI Materials Journal, Vol. 97, No. 3, 2000, pp. 333-342. 

  25. Yu, X., and Kwon, E. "A carbon nanotube/cement composite with piezoresistive properties", Smart Materials & Structures, Vol. 18, No. 5, 2009, pp. 1-5. 

  26. Sengul, O., and Gjorv, O. E., "Electrical resistivity measurements for quality control during concrete construction", ACI Materials Journal, Vol. 105, No. 6, 2008, pp. 541-547. 

  27. Zhang, X., Ding, X. Z., Ong, C. K., Tan, B. T. G., and Yang, J., "Dielectric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ordinary Portland cement and slag cement in the early hydration period", Journal of Materials Science, Vol. 31, No. 5, 1996, pp. 1345-1352. 

  28. Puertas, F., Santos, H., Palacios, M., and Martinez-Ramirez, S., "Polycarboxylate superplasticiser admixtures: effect on hydration, microstructure and rheological behaviour in cement pastes", Advances in Cement Research, Vol. 17, No. 2, 2005, pp. 77-89. 

  29. Miao, C., Tian, Q., Ran, Q., and Liu, J., "Influence of polycarboxylate- based superplasticizer on the microstructure of concrete", 1s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structure related durability of cementitious composites, Nanjing, China, 2008, pp. 13-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