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습클리닉프로그램이 학습부적응 아동의 인지처리양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earning Clinic Program on Cognitive Processing Styles for Learning Maladjusted Children 원문보기

水産海洋敎育硏究 =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v.29 no.3 = no.87, 2017년, pp.909 - 919  

황미영 (부경대학교) ,  원효헌 (부경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learning clinic program to the maladjusted children to help the cognitive processing style, sense type and learning strateg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processing style of low-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s divided into the con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자는 학습부적응 초등저학년 아동들에게 효과적인 학습클리닉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 인지처리양식과 감각유형 및 학습전략에 도움을 주어 학습부적응 아동들의 지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학습클리닉 프로그램은 순차적사고력, 동시적사고력, 구체적사고력, 추상적사고력을 향상하기 위한 인지처리 요인 등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 본 연구자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뇌 기반교육을 통해 초등저학년 아동들의 인지처리양식을 이해하여 학습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학습부적응 아동의 학습지도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 참여한 아동들의 인지처리양식은 대부분이 변화와 직관이 발달이 된 동시적인 인지양식을 추구하는 아동들로 산만하고 수업에 집중을 못하며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아동들이다. 이런 아동들의 인지처리양식을 이해하여 학습과 학교생활적응에 도움이 되는 학습클리닉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교육 현장이나 교육기관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첫째, 학습클리닉 프로그램이 학습부적응아동의 인지처리양식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 APL검사는 교육청이나 학교와 교육현장에서 학습클리닉에 의뢰된 아동들의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표준화된 검사로 인지유형과 측두엽 후두엽 두정엽의 감각발달정도를 알 수 있다. 학습에 도움을 주는 여러 요인을 나타내고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성실성 학습주도성 학습습관 공부방법 집중력요인을 통해 연구결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 시기에는 어떤 학습 태도를 길러주는 것이 중요한가? 초등학교 시기는 성실성 성취동기 사회적 기능 협동심 대인적 감수성 긍정적 자아개념이 형성이 되고 책임감 및 이타심이 증가되는 시기라고 했다(Okbun Jeong, 1996, Mayer & Salavey,1996)). 이 때 교과수업에 대해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고 학습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학습태도를 길러주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초등학교 저학년 때에는 상급학년으로 진학 시 학교적응의 양상을 좌우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사회적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힘을 길러 주어야 한다.
인지처리양식은 무엇과 관련이 있는가? Junghye Ha(2016)은 정의적 학습양식과 교사와 교우관계를 포함한 정서지능에 영향을 주는 것이 아동들의 인지처리양식라고 했다. 인지처리양식은 수업을 이해하고 정보를 저장하며 인출하는 인지학습양식 성실성 학습주도성 학습습관 공부방법 주의집중력 등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인지처리양식은 두뇌와 깊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최근 뇌기반을 중심으로 학습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초등저학년 시기에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이 있는가? 초등저학년 시기에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보면 성취동기와 주의집중력을 포함한 정의적 학습양식 인지처리 학습양식 교사와 교우관계 정서지능 등이라고 했다(Juhui Cho,Jaeguk Park, 2002; Woolfolk, 1990; Song Kim,2005, Yeongjin Seo, 2005; Yujin Jeong,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heoluoo Lee(2003). The Effects of Group Art Activities on Self Esteem of Inappropriate Awareness. Jeju University Master's Thesis. 

  2. Chungyeong Kim(1998). Children, youth, adult depression and suicide intervention programs. 

  3. Coil, C, 2013). 220 strategies for teaching underachievers (Jung, JJ). Seoul: Sigma Press .. 

  4. Connell,J. D(2008). Brain based teaching learning strategies. Seoul: Academician 

  5. Hwajin Lee.Minjung Kim.DaeShik Lee & Seunghyun Son(2009). Exploring Alternatives for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oor Student Guidance and Support. 

  6. Hyesook Lim.Kyungok Kim.Shinhyang Lee.Soodong Kim.Soonmi Han & Sun Kim(2001). Understanding and education of underachievers. Seoul, Hakjisa. 

  7. Hyeyeong Jeong(2010). National Level Elementary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and Management. Korea Society of Elementary Education, 23 (4). 157-179. 

  8. Hyukjin Kwon.Mingyeong Kim & Eunyoung Lee(2006). A case study of underachiever mathematics clinic. 1. 19-40. 

  9. Hyunok Jung.Miyoung Kim & Sehong Min(2010). The effects of the learning coaching program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197-212. 

  10. Inseop Song(2006). Self directed learning for field application. Education .45-74. 

  11. Jensen, E.(2011). Brain-based learning (Jong-jin Jung). Seoul: Academician. 

  12. Jeonghae Lee(1993). Tea and meditation: centered on youth education field. 

  13. Jeongseok Lee(2001). A Case of Group Play Therapy of School Maladjusted Children. Korean Life Sciences 19. 128-145. 

  14. Juhui Cho & Jaeguk Park(2002). A Study on the Information Processing of Hierarchical Formation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K-ABC. Special child education research, 4(1), 201-217 

  15. Junghye Ha(2016). The Effects of Left/Right Brain Utilization Coaching on Underachiev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ir Cognitive Processing Styles. Ph. D Thesis, Keimyung University. 

  16. Jungsook Lee & Jieun Baek(2001). A Case of Group Play Therapy of School Maladjusted Children. Korean Life Science Research 19.128-145. 

  17. Juri Kim(2015). A Surve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Actual Conditions of Improving Undergraduate Students and Improving Support.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8. Keller, J. M. & Sanghoo Song(1999). The ARCS Model for Developing Motivational-Adaptive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19. Koo Bong Hun.Lee Hye Rin & Bae Dae Suk.(2006). K-ABC performance of Korean version of ADHD children II. Analysis according to information processing type. Study on Emotional Behavior Disorder.22(4). 293-313. 

  20.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2000). Learning motivation strategy program for undergraded students. 

  21. Kyung Mi Lee(2004). A Study on Vocabulary Teaching Considering Cerebral Functional Differentiation. Master Thesis.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22. Man jin(2008).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9(1), 181-210. 

  23. Mayer, P. & Salavey, P.(1996).What is Emotional Intelligence?. Inp. Salvey & D. Sluyer(Eds),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105-153. New York : Basic Books 

  24. Miyeong Hwang & Hyeonheon Won(2017). Effectiveness Analysis of Learning Clinic Program for Maladjusted Children.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ducation29(1), 325-324. 

  25. Myeongsuk Kim(2006).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y program on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underachievers in elementary school. 

  26. Okhui Heo(2005).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School Adapt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with Behavioral Behavio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27. Soyeong Park(2011) An Analysis of Concerns of Primary School Teachers on Transitional Education from Early Childhood Phase to Primary Education.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ducation. 23(3). 533-548. 

  28. Subaek Mun(2014). KABC-II. Kaufman child intelligence test II. Seoul: The Institute of Psychological Research. 

  29. Suyeong Nam(2011), A Study of Cognitive, Emotional, and Home Background Characteristics in Elementary School Retarded Children, Wonkw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30. Torrance, E.(1982). Hemisphericity and creative functioning. Journal of Reasearch and Development, 15, 271-278. 

  31. Uyeong Hwang(2002).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chool Maladjustment Behavior. Graduate School, Dong A University. Doctoral thesis. 

  32. Woolfolk, A. E.(1990). Educational psychology (4th ed.). NJ: Prentice-Hall, Inc. 

  33. Yeongi Kim & Yunjoo Lee(2015). A Study on the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Program on Learning Motivation of Undergradu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Learner centered curriculum education .15 (10), 377-4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