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 여성의 상담자로의 진로전환 경험이야기
The Story of Two Women's Career Transition as a Counselor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6, 2017년, pp.514 - 526  

최재혁 (명지대학교) ,  김명화 (명지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두 여성이 상담자가 되기까지의 진로전환 과정의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상담자가 되어 가는 진로전환의 경험과 의미를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내러티브 탐구방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상담심리사 자격증을 소지하고, 두 번 이상의 진로전환 경험이 있는 상담심리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들은 자신의 흥미나 적성을 생각해볼 기회를 갖지 못한 채 여러 번의 진로경험을 하였다. 둘째, 진로전환이 자신만의 방법으로 적응하는 경험이었다. 셋째, 여러 직업을 거치면서 점차 자신이 원하던 일과 공부를 찾아가게 되었다. 넷째, 자신이 선택한 상담자의 직업에 만족하고, 상담자로서 자신을 통찰해 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전환을 삶의 일부분인 과정으로 받아들이고, 상담 전문가의 길을 걷고 있는 상담자로의 진로전환 경험의 의미를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and meanings of career transition becoming a counselor by examining the experiences of career transition process before two women became counselors through the narrative inquiry method. To do this, two counselors with career counseling qualifications and two or mo...

주제어

표/그림 (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로란 무엇인가? 인간은 다양한 삶의 영역에서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고자 하고, 일을 통하여 사회에 참여하며, 이때 직업은 자아실현이라는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활동이다[1]. 진로란 일과 관련하여 한 개인이 경험하는 모든 체험을 의미하며[2], 자아개념의 발달에 따라 자신의 직업선택의 범위를 좁혀가는 과정을 진로발달이라고 하였다[3].
진로란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 진로를 삶의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해할 때 진로문제는 인생의 전반을 어떻게 계획하고 살아갈 것인가의 문제이며, 단순히 직업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적절한 직업을 선택 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34]. 생애진로발달은 진로선택이나 진로의사결정 과정이 단회에 이루어지지 않고 전 생애에 걸쳐 일어나며, 개체의 변화와 사회의 변화가 서로 작용하여, 개인의 생애역할, 장면, 사건이 서로 상호작용하고 통합되면서 개인의 자기개발 능력을 개발하는 일련의 발달과정을 말하는 것으로[5], 개인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받아 진로자기개념이 형성되며 이러한 자기개념은 성장과 쇠퇴의 변화과정을 거치며 생애과정에서 끊임없이 변화한다고 보았다[6].
진로를 변경하는 상황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그러나 많은 경우 삶 속에서 계획적이든지 비계획적이든지 진로를 변경하는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 진로의 변화는 일반적으로 불안정과 실패에 대한 두려움, 직업의 손실 그리고 경제활동에서의 소외 등으로 인식되어 왔고[7], 또한 진로전환에 대한사회의 시각은 개인의 사회 부적응이나 적응기술의 부족으로 낙인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Dirkx와 Mezirow,Cranton은 진로전환을 자아실현의 과정이며, 개성화를 추구하는 과정으로, 진로전환 행동의 의미를 재평가하며, 이는 이상적 직업을 찾아가는 과정이며, 새로운 직업을 통한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이라 하였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전현영, 8인 8색 진로전환이야기, 충남대학교 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2. 김계현, 상담심리학, 서울; 학지사, 1995. 

  3. L. S. Gottfredson,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A developmental theory of occupational aspiration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28, No. 6, pp. 545-579, 1981. 

  4. L. S. Gottfredson, "Gottfredson's theory of circumscription and compromise,"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Vol. 3, No. 1, pp. 179-232, 1996. 

  5. 김봉환, 이제경, 유현실, 황매향, 공윤정, 손진희, 진로상담이론, 서울: 학지사, 2010. 

  6. D. E. Super, "A life-span, life-space approach to career developmen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16, No. 3, pp. 282-298, 1980. 

  7. B. K. Newman, "Career change for those over 40: Critical issues and insight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Vol. 44, No. 1, pp. 64-66, 1995. 

  8. J. M. Dirkx, J. Mezirow and P. Cranton, "Musings and reflections on the meaning, context, and process of transformative learning A dialogue between john M. dirkx and jack mezirow," Journal of Transformative Education, Vol. 4, No. 2, pp. 123-139, 2006. 

  9. I. Gati, "Career compromis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40, No. 4, pp. 416-424, 1993. 

  10. E. Ginzberg, S. Ginsburg, S. Axelrad, and J. Herma, Occupational choice, New York, 1951. 

  11. N. K. Schlossberg, "A model for analyzing human adaptation to transit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Vol. 9, No. 2, pp. 2-18, 1981. 

  12. B. Hopson and J. Adams, "Towards an understanding of transition: Defining some boundaries of transition dynamics. Transition": Understanding and Managing Personal Change, pp. 3-25, 1976. 

  13. 배연욱, 조성호, "상담자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 학생생활상담, 제27권, pp. 19-42, 2009. 

  14. 최윤경, "한국 상담자의 전문업무에 관한 연구," 미래교육연구, 제17권, 제2호, pp. 147-173, 2004. 

  15. 이문희, "상담자의 심리치료와 전문성 발달," 사회과학 연구논총, 제25권, 제6호, pp. 27-59, 2011. 

  16. Paul Crits-Christoph, Jim Mintz, "Implications of Therapist Effects for the Design and Analysis of Comparative Studies of Psychotherapi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59, No. 1, pp. 20-26, 1991. 

  17. Lester Luborsky, A. Thomas Mclellan, Louis Diguer, George Woody, David A. Seligman. "The Psychotherapist Matters: Comparison of Outcomes Across Twenty-Two Therapists and Seven Patient Samples," Clinical psychology, Vol. 4, No. 1, pp. 53-65, 1997. 

  18. Jonathan D. Huppert, Lynn F. Bufka, David H. Barlow, Jack M. Gorman, M. Katherine Shear, and Scott W. Woods, "Therapists, therapist variables, and cognitive-behavioral therapy outcome in a multicenter trial for panic disorder,"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Vol. 69, No. 5, pp. 747-755, 2001. 

  19.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2. 

  20. 선혜연, "청소년 진로의사결정 상황에 따른 부모의 관여방식 차이," 진로교육연구, 제21권, 제3호, pp. 49-67, 2008. 

  21. 목경수, 구자경, "고등학생의 부, 모 애착과 진로 정체감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제13권, 제3호, pp. 1119-1139, 2012. 

  22. K. E. Mitchell, S. Levin, and J. D. Krumboltz, "Planned happenstance: Constructing unexpected career opportunitie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Vol. 77, No. 2, pp. 115-124, 1999. 

  23. T. F. Nagy, Ethics in plain English: An illustrative casebook for psychologists, (2nd ed.), 2005. 

  24. 김영근, 김현령, 이정인, 신재훈, 신동미, 이상민 "한국 상담사법 제정에 관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24권, 제3호, pp. 641-670, 2012. 

  25. 강민지, 근거이론에 의한 아동상담자의 전문성 발달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26. N. C. Gysbers, M. Heppner, and J. Johnson, Career counseling, Boston: Allyn and Bacon, 1998. 

  27. 임한나, 초심 집단상담자의 발달특성: 합의적 질적분석,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28. 오정희, 초보 상담자들의 첫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29. 박승민, "상담학 분야의 질적 연구 경향 분석. 국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상담학연구, 제13권, 제2호, pp. 953-977, 2012. 

  30. 지승희, 회피형 내담자가 지각하는 상담과정 및 변화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31. 김명화, 홍혜영, "초심수퍼바이저의 수퍼비전 교육 필요성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2호, pp. 573-594, 2017. 

  32. 김소연, 정희숙, "한 중년여성의 진로구성 과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5호, pp. 265-282, 2015. 

  33. http://www.krcpa.or.kr/sub03_1.asp 

  34. 허정철,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10호, pp. 227-236,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