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령장애인의 경제적 및 건강 특성과 삶의 만족도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Health Characteristics and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6, 2017년, pp.551 - 560  

정문진 (동서울대학교) ,  이성규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제적 특성과 건강 특성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은 장애인고용패널 7차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는 취업유무, 노후준비, 현재 건강상태, 일상생활 타인도움 여부, 만성질병 여부가 유의미하였다. 둘째, 경제적 특성 중 노후준비, 건강 특성 중 현재 건강상태와 일상생활타인도움 필요 여부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준비와 건강상태 그리고 일상생활에서의 타인 도움이 필요없을 경우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면서 삶의 만족도를 높여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at finding plans to enhanc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with disability. For this, it analyzed the influence of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characteristics upon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a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th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자아존중감은 다른 변수와 달리 심리적인 변인으로서 특히 노인이나 고령장애인에게는 삶의 만족도와 연계되는데 핵심 요인으로서 독립변수나 종속변수가 아닌 매개적 관계성의 관점에서 보는 것이 보다 더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영향요인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하였다.
  • 이는 장애인에게 있어 특히 경제적 측면과 건강 측면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의 경제적 특성과 건강 특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함과 동시에 그런 특성이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어떤 유의미성을 갖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해 보다 더 깊이 있는 접근을 위해 자아존중감의 역할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의 경제적 특성과 건강 특성이삶 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증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하여 경제적 특성과 건강 특성 그리고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인간의 노화가 진행되면서 삶의 만족도는 단순히 객관적으로 규명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주관적인 심리적 요인이 보다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분석하는 것으로 주된 자료 분석은 SPSS 통계 패키지를 활용하였다. 분석은 빈도분석과 교차분석과 같은 기술통계 그리고 회귀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매개 효과 분석을 재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 인간의 노화가 진행되면서 삶의 만족도는 단순히 객관적으로 규명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주관적인 심리적 요인이 보다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본 연구는 고령장애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경제적 특성과 건강특성으로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삶의 만족도는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는가? 현재 삶의 만족도는 이러한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이 모두 중시되어야 하며, 이는 인간 생활의 객관적조건과 주관적 심리상태 또는 인지평가 모두를 망라하는 종합적인 개념으로서의 의미를 갖고 있다[21].
삶의 만족도에 대한 논의는 어떻게 구분될 수 있는가? 삶의 만족도에 대한 논의는 크게 객관적 측면과 주관적 측면을 강조하는 연구로 구분된다. 객관적 측면은 주택, 자동차 등 물질적 이기의 보유현황과 여러 통계자료를 인용하여 소득, 범죄율, 인구당 의사수, 실업률과 같은 사회적 지표로 측정한다[19].
고령장애인의 개념이나 규정에 대해서 분명하게 정의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인가? 고령장애인의 개념이나 규정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정의되지 않았다. 이는 장애인의 개념이 「장애인복지법」에 근거하여 규정되어 있지만 고령장애인 개념은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령장애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자마다 다르게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성희, 이연희, 황주희, 오미애, 이민경, 이난희, 강동욱, 권선진, 오혜경, 윤상용, 이선우, 2014년 장애인 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2. 민준영, 김호진, 김성천, 최종철, 제7차 장애인 고용패널조사(2014년),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15. 

  3. Bradley R. Schiller, "The economics of poverty and discrimination," NJ : Pearson/Prentice Hall, 2008. 

  4. 이성규, "고령 장애인의 취업 결정 요인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 제19권, pp. 45-64, 2012. 

  5. 전미리, 안선영, "고령장애인의 고용안정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재활복지, 제15권 제2호, pp. 99-128, 2011. 

  6. 김용탁, 고령장애인 고용촉진 방안,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7. 

  7. 박혜전, "노령 장애인의 취업 및 재취업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제8권, pp. 169-195, 2007. 

  8. 이성규, 김용탁, 박단비, "고령장애인의 빈곤결정 요인 연구: 고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의 비교,"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제12권, pp. 221-245, 2014. 

  9. 노승현, "고령장애인의 취업 및 취업형태 결정요 인에 관한 종단적 연구," 장애와 고용, 제22권, 제3호, pp. 51-82, 2012. 

  10. 김성원, 고령장애인의 사회참여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1. 권재숙, 고령장애인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12. 이영미, "장애노인의 주관적 삶의 질 영향 요인 연구: 노령화된 장애인과 노인성 장애인간 비교를 중심으로," 제3회 장애인고용패널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2011. 

  13. 권오균, "장애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제39권, pp. 7-32, 2008. 

  14. Zhang and J. P. Leung, "Moderating effects of gendert and 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in mainland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Vol. 37, No. 2, pp. 83-91, 2002. 

  15. 권오형, "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 존중감의 매개 효과와 정규직 여부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5권, 제4호, pp. 297-319, 2015. 

  16. 김동주, 고민석, "경제활동상태가 여성장애인의 일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장애와 고용, 제24권, 제2호, pp. 137-164, 2014. 

  17. V. L. Grist, The relationships between ageof disability onset, adaptation to disability and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Ph. D. The Florida State University, 2010. 

  18. T. Heller and J. Caldwell, "Supporting aging caregivers and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future planning," Mental retardation, Vol. 44, No. 3, pp. 189-202, 2006. 

  19. 이선영, 생태관점에서 본 정신장애인의 삶의 질 영향 요인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20. J. P. Johson, C. R. McCauly, and J. B. Copley, "The Quality of life hemodialysis and transplant patients," Kidney International, Vol. 22, 1982. 

  21. 김종선, 한국노인의 사회기여활동 참여가 당사자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간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6. 

  22. 허준수, 조승호, "노인들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인과모형 연구: 유형별 사회참여활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호, pp. 673-691, 2017. 

  23. 박용순, "고령장애인의 노후준비와 사회경제적 지위의 상태 변화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 연구," 비판과 사회정책, 제52권, pp. 45-82, 2016. 

  24. 이금주, 장혜인, 이법석, 이지은, 한상은, 김은주, "척수장애인의 연령대별 삶의 질 수준과 결정요인 차이: 청년층과 중년층의 비교," 재활심리연구, 제22권 제1호, pp. 25-39, 2015. 

  25. 박주영, 고령여성장애인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노후준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26. 백은령,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환경요인과 사회통합정도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27. 전명숙, 태명옥, "사회경제적 변인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 여가참여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6호, pp. 323-333, 2016. 

  28. 김성희, "장애노인의 삶의 만족도 영향 요인 연구," 재활복지, 제20권, 제3호, pp. 17-43, 2016. 

  29. 이준상, "시각장애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시각장애연구, 제28권, 제2호, pp. 211-228, 2012. 

  30. 정일교, "사회적 지지가 뇌성마비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재활복지, 제19권, 제4호, pp. 61-81, 2015. 

  31. 김은라, 박재국, 박량은, "지체장애인의 차별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와 고용, 제25권 제1호, pp. 27-54, 2015. 

  32. 황혜민, 척수장애인의 삶의 질 모형 구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33. 배상열, 고대식, 노지숙, 이병훈, 박형수, 박종, "한국 노인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 255-266,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