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ikTok 이용동기가 사용자 밀착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TikTok Motivation on Users Stickines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10, 2021년, pp.217 - 226  

왕자선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디자인학과) ,  김세화 (동서대학교 디자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이용과 만족 이론을 바탕으로, TikTok 이용 동기(오락추구, 정보추구, 상호작용, 자기표현, 도피)의 강도와 각 동기가 사용자의 밀착도(이용 빈도, 이용 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중국인 TikTok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101건의 조사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ikTok 이용 동기의 강도는 오락추구, 정보추구, 상호작용, 자기표현, 도피 순서로 나타났으며, 이 중 오락추구와 도피의 동기는 여성의 경우가 남성의 경우보다 더 높았다. 둘째, 사용자 밀착도 중 이용 빈도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오락추구, 상호작용, 도피 등 동기의 영향력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호작용의 영향력이 높았다. 셋째, 이용 시간에 대해서는 오락추구, 도피 등 동기의 영향력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오락추구, 상호작용, 그리고 현실을 도피하고 싶을 때에 TikTok을 자주 이용하게 되고, 오락추구나 현실을 도피를 하고 싶을 때 TikTok 이용 시간도 길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sed on the theory of use and satisfac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rength of TikTok usage motives (entertainment, information-seeking, interaction, self-expression, and escape) and the effect of each motive on users' adherence (frequency of use, time of use). investigated. After conducting a...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서비스 이용량의 급증과 폭넓은 사용자 연령 분포에 따라, 이제 TikTok의 서비스 전략은 사용자 유치에서 사용자에 대한 유지 관리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TikTok 이용 동기와 밀착도(stickiness) 형성에 영향력이 높은 이용 동기들을 검토하고, 그에 적합한 TikTok의 서비스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https://www.sixthtone.com/news/1001728/the-app-that-launched-a-thousand-meme, 2021. 5. 30. 

  2. https://markets.businessinsider.com/news/stocks/tik-tok-a-global-music-video-platform-and-social-network-launches-in-indonesia-1002364265, 2021. 6. 5. 

  3. 중국 정부, 2019 TikTok daily report, Sensor Tower 스토어, 2019. 

  4. Doyle, Brandon, "TikTok Statistics - Everything You Need to Know (Sept 2020 Update)," Wallaroo Media, 2020. 11. 21. 

  5. 'Tik Tok 틱톡', 40대사용자 비율이 제일 높다, 2020. 12. https://brunch.co.kr/@mobiinside/2589 

  6. Jonathan A. Obar, "Steve Wildman, Social media definition and the governance challenge," Telecommunications Policy, Vol.39, No.9, pp.745-750, 2015. 

  7. A. Mlaiki, I. Walsh, and M. Kalika, "Why do we continue using social networking sites? The giving loop that feeds computer-mediated social ties," Systemes d'information management, Vol.22, No.2, pp.5-47, 2018. 

  8. Katie Hafner, The WELL: A Story of Love, Death and Real Life in the Seminal Online Community, Carroll & Graf Pub, 2001. 

  9. C. Romm-Livermore and K. Setzekorn, Social Networking Communities and E-Dating Services: Concepts and Implications, Information Science Reference, 2008. 

  10. Wang Zhong Xi, 이동식 쇼트 클립 어플리케이션의 이용 동기와 충족에 관한 연구: 동영상 수용자의 이용행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1. Kong Xiao, 인터넷 민족지 조사 기반 '틱톡' 짧은 동영상 앱 이용자 연구, Shandong University, 석사학위논문, 2018. 

  12. https://wiki.mbalib.com/wiki/ 

  13. 나석현, 모바일 검색의 이용 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모바일 검색과 PC 검색 차이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14. Katz, Gurevitch, Haas, "On the use of mass media for important things," Americal Sociological Review, Vol.38, pp.164-181, 1973. 

  15. 곽윤희, 모바일 SNS 이용 동기와 이용행태의 상관관계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6. LI HENG, 틱톡 짧은 동영상 앱 이용자 이용행태 및 심리연구, Huazhong University, 석사학위논문, 2019. 

  17. Huan Xiao Hong, 모바일 동영상 플랫폼의 사용자 사용동기 연구, University of Electronic Science and Technology of China, 석사학위논문, 2019. 

  18. 관부원,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로서 중국의 짧은 동영상(Short Clip) 애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19. F. F. Reichheld and P. Schefter, "E-loyalty: your secret weapon on the web," Harvard business review, Vol.78, No.4, pp.105-113, 2000. 

  20. http://www.virgocapital.com/the-meaning-of-stickiness/, 2021.07.19. 

  21. K. Guenther, "Pull Up a Chair and Stay Awhile: Strategies to Maximize Site Stickiness," Online, Wilton, CT, pp.55-57, 2004. 

  22. J. Holland and S. M. Baker, "Customer Participation in Creating Site Brand Loyalty,"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15, No.4, pp.34-45, 2001. 

  23. S. Lee, X. Dreze, and F. Zufryden, "Modeling Customer Visit Frequency on the Internet," Working Paper, University Southern California, LA, 2000. 

  24. 고미현, 권순동,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사용자 참여가 밀착도와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Vol.18, No.2, pp.41-72, 2008. 

  25. A. Gillespie, M. Krishna, C. Oliver, K. Olsen, and M. Thiel, "Online Behavior Stickiness," Working Paper, 1999. 

  26. 박종석, 한상만, 김윤식, "밀착도 및 관성의 상호관계가 온라인 구매에 미치는 영향: 쇼핑몰을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제18권, 제2호, pp.69-93, 2003. 

  27. S. P. Bradley and K. A. Porter, "eBay, Inc," Journal of Interactive Marketing, Vol.14, No.4, pp.73-97, 2000. 

  28. 마효신, 중국 스마트폰 이용자의 모바일 게임 이용동기가 이용만족 및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7. 

  29. K. H. Chung, Y. Q. Zhang, Y. H. Dong, and J. I. Shin, "The Relationship among Trustworthiness, Website Atmosphere, Customer Trust, Website Image, and Stickiness," Science and Technology, Vol.8, No.12, pp.117-128, 2015. 

  30. D. A. Marchand, T. H. Davenport, and T. Dickson, Mastering Information Management, Financial Times Management, 2000. 

  31. Xu Jian and Liu Zilong, "Study of Online Stickiness: Its Antecedents and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2010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Education, e-Business, e-Management and e-Learning, pp.116-120, 2010. 

  32. https://www.wjx.cn/mobile/index.aspx 

  33. R. F. DeVellis,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SAGE Publications, 2016. 

  34. 최숙희, 심리통계학의 이해, Sigma Press, 201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