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배치, 조절초점, 메시지 일치성이 디지로그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n Congruency between Image Location, Regulatory Focus and Message in Digilog Product Evalu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7 no.6, 2017년, pp.613 - 621  

곽준식 (동서대학교 경영학부 경영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디지털의 편의성과 아날로그 감성을 결합한 디지로그 제품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디지로그 제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배치, 조절초점, 메시지 일치성이 디지로그 제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태도에 있어 조절초점과 메시지지향성이 일치할 때 더 긍정적인 평가가 나왔다. 특히 디지로그 제품의 이미지를 왼쪽이 아닌 오른쪽에 배치할 때 그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제품평가에 있어 디지로그 제품이 가지고 있는 두가지 특징 즉 세련됨과 정겨움을 어떻게 평가할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세련됨에 대한 평가는 집단별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정겨움이라는 측면에서는 과거와 관련된 왼쪽 이미지 배치시 조절초점과 메시지방향성과의 일치성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매의도의 경우 조절초점과 메시지지향성과의 일치효과는 오른쪽에 그림을 배치할 경우 더 강하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there are many digilog products that combine convenience of digital product with feeling of analog product.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image location, regulatory focus, and message direction in digilog product evaluation. First, ad evaluation of digilog product is...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의 세련됨과 아날로그의 감성을 담은 디지로그 제품의 이미지를 왼쪽과 오른쪽 어느 곳에 배치하느냐에 따라 광고태도, 제품평가, 구매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았다. 특히 개인이 가지고 있는 조절초점(향상초점, 예방초점)과 메시지가 지향하는 방향성(과거지향, 미래지향)에 따라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 이미지배치, 조절초점, 메시지지향성이 디지로그 제품 평가(세련됨과 정겨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먼저 디지로그 제품을 세련된 제품으로 인식하는지 알아본 결과 이미지배치, 조절초점, 메시지지향성의 일치성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F(1,312)=.
  • 이미지배치, 조절초점, 메시지지향성이 디지로그 제품의 광고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표 1]과 같이 조절초점과 메시지지향성과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1,312)=4.
  • 이미지배치, 조절초점, 메시지지향성이 디지로그 제품의 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표 3]와 같이 이미지배치, 조절초점, 메시지지향성의 일치성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1,312)=5.
  • 이에 본 연구는 디지털 제품에 아날로그 감성을 담은 디지로그 제품의 광고, 제품 및 구매의도에 이미지배치, 조절초점, 메시지지향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2(이미지 배치: 좌,우) X 2(조절초점: 향상, 예방) X 2(메시지지향성: 과거, 미래) 실험설계를 한 후 실험을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논의되었던 이미지 배치와 관련된 적합성 효과가 디지털의 편의성과 아날로그의 감성을 결합시킨 디지로그 제품에도 그대로 적용이 되는지 나아가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한 후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로그제품(아날로그형 감성을 가진 디지털 제품)이 이미지배치, 조절초첨, 메시지지향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봄으로써 디지로그 제품 연구에 대한 새로운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 한편 본 연구에서는 이미지 배치, 조절초점, 메시지 지향성이 디지로그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봤지만 다음과 같은 한계점이 있어 향후 연구를 진행할 때 보완을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메시지가 지향성만을 바탕으로 과거지향이냐 미래지향이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러나 디지로그 제품은 두 가지 상반된 특성(세련됨, 정겨움)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는 이 특성을 바탕으로 메시지를 제시할 경우 소비자의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의 세련됨과 아날로그의 감성을 담은 디지로그 제품의 이미지를 왼쪽과 오른쪽 어느 곳에 배치하느냐에 따라 광고태도, 제품평가, 구매의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알아보았다. 특히 개인이 가지고 있는 조절초점(향상초점, 예방초점)과 메시지가 지향하는 방향성(과거지향, 미래지향)에 따라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H1. 이미지배치, 조절초점, 메시지지향성의 일치성은 디지로그 제품 광고평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이미지배치, 조절초점, 메시지지향성의 일치성은 디지로그 제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이미지배치, 조절초점, 메시지지향성의 일치성은 디지로그 제품 제품평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상을 평가할 때 시각적 이미지의 위치 차이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는 사례는 무엇인가? 시각적인 정보는 사람들의 주목을 끄는 것뿐만 아니라 정보를 인식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시각적 이미지의 위치는 대상을 평가할 때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데 예를 들어 이미지가 포장지 상단에 있느냐 아니면 포장지 하단에 있느냐에 따라 제품에 대한 무게감을 다르게 인식하는데 연구결과 이미지가 포장지 상단보다는 하단에 위치할 때 사람들은 제품을 더 무겁게 인식한다고 한다[1]. 또한 Chatterjee, Southwood, Basilico(1999)는 행위를 하는 사람(주최자)과 행위에 영향을 받는 사람(피주최자)이 있을 때 주최자와 피주최자의 위치(왼쪽, 오른쪽)와 행위의 진행방향(왼쪽 → 오른쪽, 오른쪽 → 왼쪽)에 따라 사람들의 정보처리 속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2].
현재 사용되는 제품배치의 뜻은 무엇인가? 특정상품, 브랜드, 로고에 대한 배치와 관련된 가장 많은 연구가 진행된 분야는 제품배치(PPL: Product Placement)다. 제품배치는 원래 영화제작에 참여하는 소품담당자들이 영화에 사용할 소품을 배치하는 업무를 의미했는데 지금은 협찬을 해주는 기업이 직접적, 간접적으로 자사 제품의 노출을 증대시켜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를 고양시키는데 활용하는 적극적인 마케팅활동을 의미하게 되었다[7]. 관련 연구들을 보면 영화나 TV 프로그램 속 제품 배치로 노출된 브랜드에 대한 회상 및 기억이 더 높았고[8], 제품배치 브랜드에 대한 태도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9].
왜 이미지 배치는 사람들의 정보처리에 영향을 끼치는가? 이미지 배치는 사람들의 정보처리를 어렵게 해줄 수도 있고, 쉽게 해 줄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이미지를 어디에 어떻게 배치하느냐에 따라 사람들의 정보 처리 수월성(Fluency)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광고에 브랜드명을 노출시킬 때 어디에 배치를 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까? 이미지 정보의 오른쪽에 브랜드명을 위치시키는 것이 긍정적 평가를 유도하고, 슬로건의 왼쪽에 브랜드명을 위치할 경우 더 호의적인 평가가 나온다고 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X. Deng and E. K. Barbara, "Is Your Product on the Right Side? The 'Location Effect' on Perceived product Heaviness and Package Evalua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46, No. 4, pp. 725-738, 2009. 

  2. A. Chatterjee, M. H. Southwood, and D. Basilico, "Verbs, Events and Spatial Representations," Neuropsychologia, Vol. 37, No. 2, pp. 395-402, 1999. 

  3. C. Janiszewski, "The Influence of Print Advertisement Organization on Affect toward a Brand Nam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17, No. 2, pp. 53-65, 1990. 

  4. A. Maass and A. Russo, "Directional Bias in the Mental Representation of Spatial Events: Nature or Culture?," Psychological Science, Vol. 14, No. 2, pp. 296-301, 2004. 

  5. B. Chae and H. Joandrea, "The Future Looks 'Right': Effects of the Horizontal Location of Advertising Images on Product Attitud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40, No. 3, pp. 223-238, 2003. 

  6. 곽준식, "이미지 배치와 제품특성 및 메시지 지향성과의 일치성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연구, 제26권, 제1호, pp. 7-23, 2015. 

  7. L. A Babin and S. T. Carder, "Viewer's Recognition of Brands Placed within a Film," International Journal of Advertising, Vol. 15, No. 2, pp. 140-151, 1996. 

  8. 김재휘, 안정태, "TV 드라마에서의 제품 배치 (PPL)의 광고효과 측정-암묵적 기억 측정을 통한 접근," 광고 연구, 제64권, 제3호, pp. 61-83, 2004. 

  9. 전성률, 허종호, 문달주, "컴퓨터 게임 속 랜드 배치효과에 한 연구: 브랜드와 게임 맥락 간 이미지 일치성이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역할," 소비자학연구, 제15권, 제2호, pp. 67-83, 2004. 

  10. C. A. Russell, "Investigating the Effectiveness of Product Placements in Television Shows: The Role of Modality and Plot Connection Congruence on Brand Memory and Attitud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29, No. 3, pp. 306-318, 2002. 

  11. J. Santiago, A. Roman, M. Ouellet, N. Rodriguez, and P. Perz-Azor, "In Hindsight, Life Flows from Left to Right," Psychological Research, Vol. 74, No. 1, pp. 59-70, 2008. 

  12. S. Christman and K. Pinger, "Lateral Biases in Aesthetic Preference: Pictorial Dimensions and Neural Mechanisms," Laterality, Vol. 2, No. 2, pp. 155-175, 1997. 

  13. B. Tversky, S. Kugelmass, and A. Winter, "Cross-Cultural and Development Trends in Graphic Productions," Cognitive Psychology, Vol. 23, No. 4, pp. 515-557, 1991. 

  14. T. M. Spalect and S. Hammad, "The Left-to-Right Bias in Inhibition of Return Is Due to the Direction of Reading," Psychological Science, Vol. 16, No. 1, pp. 15-18, 2005. 

  15. A. Vallesi, M. A. Binns, and T. Shallice, "An Effect of Spatial-Temporal Association of Response Codes: Understanding the Cognitive Representations of Time," Cognition, Vol. 107, No. 2, pp. 501-527, 2008. 

  16. M. Ouellet, J. Santiago, M. J. Funes, and J. Lupianez, "Thinking about the Future Moves Attention to the Right,"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Vol. 36, No. 1, pp. 17-24, 2010. 

  17. E. T Higgins, "Promotion and Prevention: Regulatory Focus As a Motivational Principle. In Advances in Experimental Psychology," Vol. 30, pp. 1-46, 1998. 

  18. A. L Freitas, N. Liberman, and E. T. Higgins, "Regulatory Fit and Resisting Temptation During Goal Pursuit,"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Vol. 38, pp. 291-298, 2002. 

  19. A. Y. Lee and J. L. Aaker, "Bring the Frame Into Focus: The Influence of Regulatory Fit on Processing Fluency and Persua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86, No. 2, pp. 205-218, 2004. 

  20. M. Sagristano, Y. Trope, and N. Liberman, "Time-dependent Gambling: Odds now, Money later,"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Vol. 131, pp. 364-376, 2002. 

  21. 이새봄, 문재영, 곽준식, "테크노스트레스에 따른 소비자 선택 변화: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p. 402-410,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