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통식육에서의 톡소포자충 검출을 위한 유전자검사법 개발
Real-time PCR assay for the Detection of Toxoplasma gondii in Retail Meats: Proof-of-concept Study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2 no.3, 2017년, pp.199 - 205  

윤한성 (식품의약품안전처 미생물과) ,  서수환 (식품의약품안전처 미생물과) ,  곽효선 (식품의약품안전처 미생물과) ,  주인선 (식품의약품안전처 미생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수공통 감염증의 하나인 톡소포자충의 검출을 위해서는 대부분은 ELISA 법이 사용 되고 있으나, 충체가 사멸된 후에도 양성반응이 나타나는 등 사용에 제한이 있다. 반면 유전자 검출법은 현재 감염상태를 확인 할 수 있기 때문에 식중독 원인조사 등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어 이를 활용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톡소포자충의 유전정보를 통해 529 repeat region의 염기서열을 얻고, 프라이머 및 TaqMan 프로브를 설계하여 real-time PCR을 이용한 검출법을 개발하였다. 검출한계(lower limit of detection) 및 적정곡선을 확인한 결과 10 genomic DNA copy가 검출한계로 확인되었고, 정량을 위한 곡선은 $10^1{\sim}10^6$ DNA copies까지 0.999의 $R^2$ 값을 나타내었다. 개발된 검출법의 증폭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B1 gene 타겟 프라이머 세트와 타입별 검출한계를 비교한 결과, type 1, 2, 3 톡소포자충에서 같거나 더 나은 검출한계를 보였다. 또한 식품에서 주로 분리되는 식중독 세균 14종 및 원충 3종에 대해 특이도를 비교한 결과, 모두 음성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검출법을 식육검체에 적용하였을 때 type 1, 2, 3에서 모두 원활한 검출결과를 보여 증폭방해물질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유전자검출법은 국내 유통 중인 식육에서 인수 공통감염 원충의 하나인 톡소포자충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사전적 모니터링의 방법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many PCR-based assays have been developed, the majority of rapid detection of Toxoplasma gondii in animal and their meat product has been dependent on immunogenic assays. Thus, there is still a need for more reliable PCR based detection method for T. gondii in retail meats. Recently, a 52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새로운 유전자인 529-bp repeat region을 이용하여 식육 내 원충 감염을 확인할 수 있는 실시간 유전자 검출법을 개발하여 식품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국내 유통 중인 식육에서 인수공통감염원충의 하나인 톡소포자충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톡소포자 충의 3가지 감염단계는? 사람에게 감염되었을 때는 유산까지 일으키고 때로는 중추신경계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21,28,32). 톡소포자충은 형태학적으로 다른 3가지 감염단계(infection stag)를 가지게 되는데, 감염 급성기에 빠르게 분열하는 단계인 tachyzoite, 만성감염 시 동물 조직에서 cyst를 형성하고 휴면기(dormant) 상태인 bradyzoite, 그리고 oocysts로서 고양이 배설물에서 발견되는 sporozoites 형태로 생활사를 이룬다3).
톡소포자충의 인체감염의 경로는? 인체감염의 경로는 Toxoplasma cycsts를 포함하는 가축의 근육이 제대로 조리되지 않은 채 섭취되는 경우8), 배설물에 오염된 손으로 요리한 음식재료에서의 oocyst 섭취7,23,34) 장기이식 및 수혈, 임산부에 의한 태아전파(transplacental transmission) 및 tachyzoites의 감염 등이 있다7,10). 톡소포자충은 숙주 내에 감염 후 숙주의 면역반응을 회피하고자 근육이나 뇌에 침입해서 tissue cyst를 형성하여 장기간 숙주 내에 기생한다.
톡소포자충을 단백질에 따라 3가지 형태로 분류하면? 톡소포자충은 tachyzoite 표면 단백질에 따라 3가지 형태로 분류할 수 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이 보고된 RH strain과 한국에서 처음 보고된 KI-1 strain이 포함된 제 1형은 독력(virulence)이 가장 높으며, 제 2형에는 ME49, PTG, Beverly strain 등이, 제 3형에는 VEG와 CTG strain 등이 포함되며 이 두 가지 형태는 독력이 약하거나 없다고 알려져 있다9,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l-Karmi T., Behbehani K.: Epidemiology of toxoplasmosis in Kuwait. II. Toxoplasma gondii in the desert rodent, Meriones crassus. Trans R Soc Trop Med Hyg, 74, 745-746 (1980). 

  2. Bartova E., Sedlak K., Literak I.: Prevalence of Toxoplasma gondii and Neospora caninum antibodies in wild boars in the Czech Republic. Vet Parasitol, 142, 150-153 (2006). 

  3. Buchbinder S., Blatz R., Rodloff A.C.: Comparison of realtime PCR detection methods for B1 and P30 genes of Toxoplasma gondii. Microbiol Infect Dis, 45, 269-271 (2003). 

  4. Burg J.L., Grover C.M., Pouletty P., Boothroyd J.C.: Direct and Sensitive Detection of a Pathogenic Protozoan Toxoplasma gondii,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J. Clin. Microbiol, 1787-1792 (1989). 

  5. Cazabonne P., Bessieres M.H., Seguela J.P.: Kinetics study and characterization of target excreted/secreted antigens of immunoglobulin G, M, A and E antibodies from mice infected with different strains of Toxoplasma gondii. Parasittol Res, 80, 58-63 (1994). 

  6. Cheong K.S., An S.C., Kim J.O., Kim N.S., Chang K.H.: A studies on toxoplasmosis antibody from slaughtered pigs and cattle. Korean J Vet Serv, 17, 32-36 (1994). 

  7. Dubey J.P.: Advances in the life cycle of Toxoplasma gondii. Int J Parasitol, 28, 1019-1024 (1998). 

  8. Dubey J.P. and Beattie C.P.: Toxoplasmosis of animal and Man. CRC press Inc, Florida, 1-213 (1998). 

  9. Dubey J.P., Hill D.E., Jones J.L., Hightower A.W., Kirkland E., Roberts J.M., Marcet P.L., Lehmann T., Vianna M.C.B., Miska K., Sreekumar C., Kwok O.C.H., Shen S.K., Gamble H.R.: Prevalence of viable Toxoplasma gondii in beef, chicken and pork from retail meat stores in the United States: risk assessment to consumers. J. Parasitol, 91, 1082-1093 (2005). 

  10. Grigg M.E.and Boothroyd J.C.: Rapid identification of virulent type I strains of the protozoan pathogen Toxoplasma gondii by PCR-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at the B1 gene. J Clin Microbiol, 39, 398-400 (2001). 

  11. Homan W.L., Vercammen M., De Braekeleer J., Verschueren H.: Identification of a 200 to 300 fold repetitive 529bp DNA fragment in Toxoplasma gondii, and its use for diagnostic and quantitative PCR. J Parasitol, 30, 69-75 (2000). 

  12. Howe D.K. and Sibley L.D.: Toxoplasma gondii comprises three clonal lineages: correlation of parasite genotype with human diseases. J Infect Dis, 172, 1561-1566 (1995). 

  13. Israelski D.M. and Remington J.S.: Toxoplasmosis in patients with cancer. Clin Infect Dis, 47, 413-415 (1993). 

  14. Jones C.D., Okbravi N., Adamson P., Tasker S., Ligbtman S.: Comparison of PCR Detection Methods for B1, P30, and 18S rDNA Genes of T. gondii in Aqueous Humor.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ence, 416, 34-644 (2000). 

  15. Jones J.L. and Dubey J.P.: Foodborne Toxoplasmosis. Clin Infect Dis, 55, 845-851 (2012). 

  16. Kim E.G., Park H.J., Son G.B., Jung M.H.: Prevalence of Toxoplama gondii infection from domestic pig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Vet Serv, 33, 345-351 (2010). 

  17. Kim N.H., Kim H.R., Park H.S., Kim Y.S., Lee JH.: Seroprevalence of Coxiella burnetii and Toxoplasma gondii in cattle in Seoul, Korea. Korean J Vet Serv, 38, 233-239 (2015). 

  18. Larkin M.A., Blackshields G., Brown N.P., Chenna R., McGettigan P.A., McWilliam H., Valentin F., Wallace I.M., Wilm A., Lopez R., Thompson J.D., Gibson T.J., Higgins DG.: Clustal W and Clustal X version 2.0. Bioinformatics, 23, 2947-2948 (2007). 

  19. Lee Y.H., Kim K.Y., Kang M.S., Shin D.W.: Detection of Toxoplasma antigens and antibodies in mice infected with different strains of Toxoplasma gondii. Korean J. Parasitol, 33, 201-210 (1995). 

  20. Lin M.H., Chen T.C., Kuo T.T., Tseng C.C., Tseng C.P.: Real-Time PCR for Quantitative Detection of Toxoplasma gondii. J. Clin. Microbiol, 38, 4121-4125 (2000). 

  21. Lukesova D. and Literak I.: Shedding of Toxoplasma gondii oocysts by Felidae in zoos in the Czech Republic. Vet Parasitol, 74, 1-7 (1998). 

  22. Mastroianni A., Coronado O., Scarani P., Manfredi R., Chiodo F.: Anergic disseminated toxoplasmosis in a patient with AIDS. Minerva Med, 88, 101-104 (1997). 

  23. Montoya J.G. and Liesenfeld O.: Toxoplasmosis. Lancet 363,1965-1976 (2004). 

  24. Neva F.A. and Brown H.W.: Basic & Clinical Parasitology, 6th ed. Norwalk: Appliton & Lange. 46-56 (1994). 

  25. Racka K., Bartova E., Budikova M., Vodrazka P.: Survey of Toxoplasma gondii antibodies in meat juice of wild boar (Sus scrofa) in several districts of the Czech Republic. Ann Agric Environ Med, 14, 71-73 (2007). 

  26. Romero C.R., Buitron G.R., Amancio C.O., Tay Z.J., Sanchez V.J.T.: Toxoplasmosis and threatened abortion. Ginecol Obstet Mex, 66, 495-498 (1998). 

  27. Seo M.G., Jang Y.S., Lee E.M., Park N.C., Kwak D.M.: Prevalence of antibodies to Toxoplasma gondii in cattle and pigs reared in eastern areas of Gyeongbuk province. Korean J. Vet Serv, 32, 131-137 (2009). 

  28. Sherdering G.R.. Toxoplasmosis and other sysemic protozoal infection. In: Saunders Manual of small animal practice, 3rd ed, Ohio, 219-225 (1996). 

  29. Shin S.S.: Pathgenicity and prevention of swine toxoplasmosis. Kor J Vet Publ Hlth, 21, 173-181 (2007). 

  30. Song K.J., Shin J.C., Shin H.J., Nam H.W.: Seroprevalence of toxoplasmosis in Korean pregnant women. Korean J parasitol, 43, 69-71 (2005). 

  31. Silva J.C., Ogassawara S., Adania C.H., Ferreia F., Gennari S.M., Dubey J.P., Ferreira-Neto J.S.: Seroprevalence of Toxoplasma gondii in captive neotropical felids from Brazil. Vet Parasitol, 102, 217-224 (2001). 

  32. Silva J.C., Ogassawara S., Marvulo M.F., Ferreira-Neto J.S., Dubey J.P.: Toxoplasma gondii antibodies in exotic wild felids from Brazilian zoos. J Zoo Wildl Med, 32, 349-351 (2001). 

  33. Tenter A.M., Heckeroth A.R., Weiss L.M.: Toxoplasma gondii: from animals to humans. Int J Parasitol, 31, 217-20 (2001). 

  34. Villena I., Aubert D., Gomis P., Ferte H., Inglard J.C., Denis B.H., Dondon J.M., Pisano E., Ortis N., Pinon J.M.: Evaluation of a strategy for Toxoplasma gondii oocyst detection in water. Appl Environ Microbiol, 70, 4035-4039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