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이버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정보기관의 사이버위협정보 공유 역할에 대한 고찰
Sharing the Cyber Threat Intelligence on Cyber Crises: The Appropriate Role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Agency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5 no.6, 2017년, pp.51 - 59  

김대건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  백승수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  유동희 (경상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가는 전통적으로 국토를 방위하고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사명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방위의 범위는 지상, 공중, 바다, 우주에 이어 제5의 영역인 사이버 영역을 포함한다. 사이버 영역으로 국가 방위의 범위가 확대 되었지만, 사이버 영역에 있어서는 국가보다는 민간이 더 많은 사이버 관련 출처와 수집수단을 보유하는 정보역전 현상 때문에 정부 주도의 사이버 영역 방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먼저 사이버위협정보를 정의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정보역전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각국의 노력과 우리나라의 현 주소를 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주도의 사이버 방위를 위한 국가정보기관의 역할과 사이버위협정보의 민간 공유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을 국가정보기관에서 활용한다면 사이버위기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 체계가 마련될 것을 기대해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ole of government is to defend its lands and people from enemies. The range of that defense has now extended into the cyber domain, regarded as the fourth domain of the conventional defense domains (i.e., land, sea, sky, and universe). Traditionally, a government's intelligence power overrid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사이버위협정보에는 사이버적인 수단이 아닌 별도의 수단으로 수집된 사이버 조직과 공격주체와 같은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사이버정보를 사이버위협 정보보다 포괄적인 개념으로는 정의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정보와 사이버위협정보의 범위를 [Fig. 1]과 같이 표현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위협정보의 공유에 있어서 국정원의 역할을 중심으로 그 내용들을 기술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국정원을 포함한 여러 국가정보기관들의 역할을 면밀히 분석하여 국가적 사이버 위기에 보다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통합적인 사이버위협정보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장에서는 앞서 언급한 6대 정보 유형들 중 공개정보를 제외한 정보 유형들과 사이버위협정보를 비교하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협의의 사이버위협정보 관점에서 관련 정보가 유통되는 매체(매질)의 특성을 정보 유형에 따라 비교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먼저 사이버위협정보를 정의하고 그 특성을 다른 정보 유형과 비교분석함으로써 정보역전현상의 발생을 설명한다. 이어서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각국의 노력을 살펴보고 국가기관의 사이버위협정보 수집을 위한 우리나라의 현 주소와 발전적인 사이버위협정보 공유모델을 제안한다
  •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Fig. 3]과 같이 국가정 보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사이버위협정보를 민간기관과 공유하는 사이버위협정보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보출처와 수집수단의 보유 측면에서 국가보다 민간에서 사이버위협정보 보유에 대한 우위를 점하게 되는 정보역전현상이 발생하는 배경은 무엇인가?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이버위협정보를 제외한 정보 유형의 경우 정보 수집에 사용되는 전달매체는 국가 차원의 인프라 구축을 통해 수집되기 때문에 수집된 정보가 정보기관을 중심으로 국가에 집중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사이버위협정보는 통합데이터센터와 같은 국가시설을 통해 관련 정보가 직접 수집될 수 있지만, 동시에 민간영역에서도 다양한 사이버위협정보가 수집될 수 있다. 여기에서 민간영역에서 수집된 사이버 위협정보의 주도권을 국가가 직접 행사하기에는 여러가지 제약이 발생한다. 또한, 국가시설이라 할지라도 백신과 ISP의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국가에서 독자적으로 보유한 사이버위협정보의 양은 소수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정보출처와 수집수단의 보유 측면에서 국가보다 민간에서 사이버위협정보 보유에 대한 우위를 점하게 되는 정보역전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사이버정보란 무엇인가? 사이버정보는 사이버 공간상에서 수집 가능한 모든 유형의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인터넷 검색을 통해 수집 가능한 공개정보, 해킹을 통해 수집한 전자적 형태의 정보, 입수된 저장매체에서 추출한 정보 등이 사이버 정보에 해당한다.
전통적으로 분류되는 6대 정보 유형에는 무엇이 있는가?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위협정보와 사이버정보(Cyber Intelligence, CYBINT)를 구분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분류되는 6대 정보 유형에는 인간정보(Human Intelligence, HUMINT), 신호정보(Signal Intelligence, SIGINT), 영상정보(Imagery Intelligence, IMINT), 지리 공간정보(Geospatial Intelligence, GEOINT), 계측 및 기호정보(Measurement and Signature Intelligence, MASINT), 공개정보(Open Source Intelligence, OSINT)가 있으나[8], 최근에는 사이버정보를 추가적인 정보 유형으로 분류하기도 한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 Rha and H. Chung, "A Theoretical Comparative Study of Human Resource Security Based on Korean and Int'l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6, No. 3, pp. 13-19, 2016. 

  2. M. Gu and Y. Li, "A Study of Countermeasures for Advanced Persistent Threats attacks by malicious cod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ol. 5, No. 4, pp. 37-42, 2015. 

  3. D. T. Kuehl, "From cyberspace to cyberpower: Defining the problem," In F. Kramer, S. Starr, & L. K. Wentz (Eds.), Cyberpower and national security, pp. 24-42, Washington, DC: National Defense University Press, 2009. 

  4. K. Lee, "Cyber security strategies for world and security policy direction for Korea - focused on U.S.A.," ICT & Media Policy, Vol. 23, No. 16, pp. 1-27, 2011. 

  5. O. S. Saydjari, "Cyber Defense: Art to Science," Communications of the ACM, Vol. 47, No. 3, pp. 53-57, 2004. 

  6. T. Ring, "Threat intelligence: why people don't share," Computer Fraud and Security, Vol. 2014, No. 3, pp. 5-9, 2014. 

  7. R. McMillan, "Definition: Threat intelligence," Gartner, 2013, https://www.gartner.com/doc/2487216/definition-threat-intelligence 

  8. Joint Chief of Staff, Joint Publication 2-0, Joint Intelligence, US DoD, 2013, http://www.dtic.mil/doctrine/new_pubs/jp2_0.pdf 

  9. P. Duvenage and S. Solms, "Putting Counterintelligence in Cyber Counterintelligence: Back to the Future," In proceedings of 13th European Conference on Cyber Warfare and Security, Piraeus, Greece, July, 2014. 

  10. J. Verble, "The NSA and Edward Snowden: surveillance in the 21st century," ACM SIGCAS Computers and Society, Vol. 44, No. 3, pp. 14-20, 2014. 

  11. National Security Agency, XKeyscore: NSA tool collects 'nearly everything a user does on the internet', 2008,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13/jul/31/nsa-top-secret-program-online-data 

  12. National Security Agency, Peeling back the layers of Tor with EgotisticalGiraffe, 2007, https://www.theguardian.com/world/interactive/2013/oct/04/egotistical-giraffe-nsa-tor-document 

  13. Congress.gov, H.R.234 - Cyber Intelligence Sharing and Protection Act, 114th Congress, 2015, https://www.congress.gov/bill/114th-congress/house-bill/234 

  14. Congress.gov, S.754 - Cybersecurity Information Sharing Act of 2015, 114th Congress, 2015. https://www.congress.gov/bill/114th-congress/senatebill/754 

  15. C. Johnson, L. Badger, D. Waltermire, J. Snyder, and C. Skorupka, "Guide to cyber threat information sharing," Technical report, NIST, 2016. 

  16. Information-Technology Promotion Agency, Initiative for cyber security information sharing partnership of Japan (J-CSIP), Annual Activity Report FY2012, https://www.ipa.go.jp/files/0000 32417.pdf 

  17. NATO Cooperative Cyber Defence Centre of Excellence, https://ccdcoe.org/ 

  18. European Union Agency for Network and Information Security, https://www.enisa.europa.eu/ 

  19. National Assembly, National Cyber Security Management Act, 2005. 

  20. Korea Communications Commission, Compre-hensive National Cyber Crisis Plan, 2009. 

  21.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Comprehensive National Cyber Security Plan, 2013. 

  22. National Assembly, Legislative Bill for Cyber Threat Intelligence Sharing, 2015. 

  23. National Assembly, Korea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Legislative Bill for National Cyber Terror Prevention, 2016. 

  24. National Assembly, Legislative Notice: AFundamental Law for the National Cyber Security, 2016. 

  25. J. Kim, "National information security agenda and polici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0, No. 1, pp. 105-111, 2012. 

  26. K. Lee, "Analysis of Threats Factor in IT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1, No. 1, pp. 49-55, 2010. 

  27. H. Lee, O. Na, S. Sung, and H. Chang, "A Design on Security Governance Framework for Industry Convergence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4, pp. 33-40,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