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류제수문 방류조건에 따른 새만금호의 수질변화 예측
Prediction of water quality change in Saemangeum reservoir by floodgate operation at upstream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0 no.6, 2017년, pp.373 - 386  

김세민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박영기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동주 (군산대학교 토목공학과) ,  정만 (전남대학교 해양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유역과 호 내의 복잡한 수체 형상, 유입 및 유출 구조를 반영하는데 적합한 모델을 적용하고 재현성이 검토된 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호 내 수질을 모의하였다. 또한 구성한 모형의 결과를 바탕으로 만경강, 동진강의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제수문에서의 방류조건을 가정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방류조건별 모의 결과, 만경강을 통해 유하하는 호 상류부인 M3, 동진강을 통해 유하하는 호 하류부인 D5지점에서 목표수질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새만금호 상류부인 M3, D3지점은 방류조건에 따른 수질개선효과가 큰 것으로 예측되어 만경강과 동진강의 유입수의 영향이 지배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량방류시 영향범위를 거리로 살펴보면 만경강대교에서 새만금호 하류방향으로 약 22 km지점, 동진강대교에서 새만금호 하류방향으로 약 15 km지점까지로 나타났다. 농도변화와 방류조건별 영향범위를 살펴보면, 하류측으로 갈수록 수질개선에 영향을 적게 미치지만, 증가된 방류량에 의해 수질이 개선되어 제수문에서의 방류량 증가는 호 내 수질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imulated water quality item and flow rate of subbasin for Saemangeum watershed using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model and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EFDC) model which simulate hydraulic and water quality in three-dimensions. The simulated values corresponded to obser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유역과 호 내의 복잡한 수체 형상, 유입 및 유출 구조를 반영하는데 적합한 모델을 적용하고 재현성이 검토된 모델결과를 이용하여 호 내 수질을 모의하였다. 또한 구성한 모형의 결과를 바탕으로 만경강, 동진강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제수문에서의 방류조건을 가정하여 모의를 수행하였으며, 모의결과를 토대로 제수문운영에 따른 호 내 수질 변화 및 영향 범위를 제시하여 효과적인 수질관리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새만금유역에 해당하는 지역과 총 면적은? 새만금유역은 만경강, 동진강과 서해안 일부지역으로 총 면적은 3,319 km2이다. 그 중 만경강과 동진강의 유역면적은 각각 1,571 km2, 1,034 km2이며, 전체 유역 면적의 78.5%를 차지하고 있다. 새만금유역의 토지이용은 임야 39.
새만금 사업의 목적은? 새만금 사업은 국토의 외연적 확장, 수자원 개발, 대체농지조성 및 쾌적한 복지 농어촌을 건설하는 것을 목적으로 30여년 이상 추진 중인 대규모 국책사업이다. 그러나 개발의 가속화에 따라 수질오염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고 1996년 새만금과 유사한 시화호의 오염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오염 해소가 핵심문제로 등장하였다(Institute of Rural Research, 2005).
새만금 사업과 관련하여 사회적 우려와 핵심 문제는 무엇인가? 새만금 사업은 국토의 외연적 확장, 수자원 개발, 대체농지조성 및 쾌적한 복지 농어촌을 건설하는 것을 목적으로 30여년 이상 추진 중인 대규모 국책사업이다. 그러나 개발의 가속화에 따라 수질오염에 대한 우려가 높아졌고 1996년 새만금과 유사한 시화호의 오염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면서 오염 해소가 핵심문제로 등장하였다(Institute of Rural Research, 2005). 현재 새만금 호 내로 유입되는 만경, 동진강 유역은 대규모 관개시스템을 통해 하천수의 대부분을 농업용수로 취수하고 있어 하천의 건천화가 심화되고 이에 따라 수질관리와 수생태계 보전에 어려움이 있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Environmental Modeling Reserach Laboratory (2007). Surface-water Modeling System (SMS) user manual. 

  2. Iksan Reg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Administration (2009). Report of comprehensive flood management plan in Dongjin basin. 

  3. Iksan Regional Construction Management Administration (2009). Report of comprehensive flood management plan in Mankyung basin. 

  4. Jeon, J. H., and Chung, S. W. (2012). "A sensitivity analysis on numerical grid size of a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and water quality model (EFDC) for the Saemangeum reservoir."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ol. 28, No. 3, pp. 384-393. 

  5. Kang, D. H., Kim, J. M., Kim, T. W., and Kim, Y. D. (2012). "Prediction of continuous discharge and water quality change for gate operation in Seonakdong river experimental catchment using SWAT." Jouranl of Korean Wetlands Society, Vol. 14, No. 1, pp. 21-33. 

  6. Kim, D. H., and Kim, S. M. (2016). "Analysis of downstream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agricultural reservoir release using QUAL2K."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Vol. 50, No. 5, pp. 205-216. 

  7. Kim, S. M., Park, Y. K., Won, C. H., and Kim, M. H. (2016). "Analysis of scenarios for environmental instream flow considering water quality in Saemangeum watershed."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8, No. 30, pp. 117-127. 

  8. Kim, T. Y., and Yoon, H. S. (2011). "Skill assessments for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hydrodynamic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Vol. 14, No. 2, pp. 107-113. 

  9. Kim, Y. S., Kim, S. J., and Kim, H. S. (2011). "Analysis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using simulated long-term runoff by HEC-HMS model and EFDC model."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Vol. 13, No. 3, pp. 707-720. 

  10.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homepage (http://www.khoa.go.kr/) 

  11. Lee, K. C., Yoon, Y. S., and Lee, N. J. (2009). "Prediction of water-quality enhancement effects of gates operation in the West-Nakdong river using RMA2/RMA4 model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8, No. 9, pp. 971-981. 

  12. Lee, S. J., Ryoo, K. S., Hwang, M. H., and Lee, S. U. (2008). "Analysis of the water quality by various gate operation effects at Nakdong estuary barrier."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Quality, Vol. 24, No. 6, pp. 651-658. 

  13. Matsumoto, K., Takanezawa, T., and Ooe, M. (2004). "Tidal prediction system." (http://www.miz.nao.ac.jp/staffs/nao99/index_En.html.) 

  14.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2012). A prediction and management plan of salinity transport with additional dredging operations in Saemangeum lake.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Study on master plan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Saemangeum basin.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14). Report of environmental instream flow security and management of the Saemangeum basin. 

  17. Rural Research Institute of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2005). Model study on water quality for the Saemangeum Water Area (Application and Best Management). 

  18. Srinivasan, R., Zhang, X., and Arnold, J. (2010). "SWAT ungauged: hydrological budget and crop yield predictions in the upper Mississippi river basing." Transactions of the ASABE, Vol. 53, No. 5, pp.1533-1546. 

  19. Steven C. Chapra. (1996). Surface water quality modeling. 

  20. Suh, S. W., Lee, H. Y., and Yoo, S, C. (2010). "Simulation of water quality changes in the Saemangeum reservoir induced by dike comple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ol. 22, No. 4, pp. 258-271. 

  21. Tetra Tech Inc. (2007).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theory and computation user manual. 

  22. Tetra Tech Inc. (2007).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theory and computation volume 1: hydrodynamics and mass transport manual. 

  23. Tetra Tech Inc. (2007).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theory and computation volume 3: water quality module manual. 

  24. Texas A&M University System College (2011).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sion 2009, Technical Report, Texas Water Resources Institute. 

  25. Yin, Z. H., and Seo, D. I. (2013). "Water quality modeling of the ara canal, using EFDC-WASP model in series." Journal of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ol. 35, No. 2, pp. 101-1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