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송풍유무에 따른 우분퇴비화 효과분석 및 우분퇴비의 입상화방법별 특성비교
Analysis of the Composting Effect on Cow Manure by Aeration and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of Cow Manure Pellet Composts According to Granulation Processing Method 원문보기

유기물자원화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v.25 no.2, 2017년, pp.69 - 76  

정광화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김중곤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이동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곽정훈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5년 기준으로 국내에서 발생된 가축분뇨 중의 80%가 퇴비로 전환되어 유기성 비료자원으로서 농경지에 시용되었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가축분 퇴비의 형태는 분말형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입상 형태 퇴비로서는 직경 5~10 mm 크기의 원기둥 모양으로 가공된 펠릿이 일부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분을 부숙시킨 분말형 퇴비를 원기둥 막대 형태의 펠릿과 구(구슬) 형태(Sphere type)의 펠릿으로 가공하였을 때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말 형태 퇴비의 질소농도는 건물량 기준으로 1.05% 이었으며 원기둥 막대 형태와 구 형태로 펠릿화된 이후에는 각각 1.23%와 1.24%로서 가공방법에 따른 차이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상화 가공효과를 분석한 결과, 스쿠루 압착식과 원통 회전형 입상화 방식 등의 두 가지 가공방식 모두에서 원료의 수분함량이 입상화가공에 있어 가장 큰 영향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 함량 20% 수준으로 건조하였을 때의 비중은 분말형 퇴비에 비해 원기둥 막대 형태와 구 형태 펠릿퇴비는 각각 1.38과 1.13 수준이었다. 퇴비수송과 취급에 관련되는 요소인 압축강도는 원기둥 막대형과 구 형태 펠릿퇴비에서 각각 $27.6kg/cm^2$$11.3kg/cm^2$ 수준으로서 원기둥 막대형태 펠릿퇴비가 더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Korea, 80 percent of livestock manure were converted into compost and used as organic fertilizers. The livestock manure compost has two types of powder and pellet type (ID= 5~10 m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perties of two types of cow manure compost pellet (cylinder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퇴비화 실험은 23℃ 내외가 유지되는 항온 실험실 내에서 수행하였다. 대조구로서 같은 규격의 퇴비화 반응조에 송풍을 실시하지 않는 상태에서 동일한 기간 동안 퇴비화를 수행하면서 퇴비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송풍식 반응조와 비교, 분석하였다. 송풍식 퇴비화는 110 리터 규모의 원통형 반응조 내에서 실시하였다.
  • 일반적으로 입상퇴비는 가루형태 퇴비에 비해서 수분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에 밀도는 더 높아서 더 작은 살포기계로도 필요량의 퇴비를 경작지에 고르게 살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분퇴비를 대상으로 하여 원기둥 형태와 구(sphere) 형태의 두 가지 모양으로 입상 퇴비를 가공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 송풍식 퇴비화 조건에서 부숙시킨 우분퇴비를 원료로 하여 스쿠루 압착식 입상화 장치와 원통 회전식 입상화장치를 이용하여 가공된 입상퇴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가공방법에 따른 최적 조건을 분석한 결과 스쿠루 압착식과 원통 회전식을 이용한 가공 모두에서 원료의 수분함량이 가공효율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 우분퇴비를 원료로 하여 스쿠루 압착식 입상화 장치와 원통 회전식 입상화장치를 이용한 가공실험을 수행하여 입상퇴비화 할 때의 가공형태별 가공 효과와 입상퇴비 특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한 결론은 아래와 같다.
  • 퇴비화 실험에 사용된 우분은 소를 사육하고 있는 우사 바닥에서 신선한 분뇨를 선별하여 수거하였다. 채취한 우분에 톱밥을 혼합하여 분뇨의 수분을 65% 내외로 조절한 후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식 반응조에서의 퇴비화효과를 분석하였다. 퇴비화 효과는 부숙기간 중의 퇴비단 온도와 pH 그리고 부피 등의 변화가 안정되는 시기를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였다.
  • 퇴비 입상화실험은 송풍식 조건에서 퇴비화가 완료된 우분퇴비를 원료로 하여 스크루 압착식 펠릿 화 장치와 원통 회전형 입상화방식 펠릿화 장치를 사용하여 원기둥 막대형과 구 형태의 입상퇴비로 가공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에 사용된 스쿠루 압착식 입상화 장치와 원통 회전형 입상화장치의 구성은 Fig.
  • 호기적 송풍식 퇴비화 반응조 내에서 우분을 부숙시켜 퇴비화한 다음에 완숙된 퇴비를 원료로 하여 스쿠루 압착방식으로 가공한 원기둥 막대형 펠릿과 원통 회전형 입상화장치를 이용하여 구 형태로 가공한 펠릿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 Fig. 2에 도시된 두 가지 형태의 입상화 장치에 의해 가공된 입상퇴비를 대상으로 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입상화 효과는 투입한 원료가 입상으로 가공되는 비율을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였다.
  • 실험에 사용된 우분은 소를 기르는 축사에서 직접 수거하였으며 톱밥은 일반 상업적 톱밥유통 업체에서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우분 과 톱밥의 성분분석 결과 pH는 각각 7.
  • 퇴비화 실험에 사용된 우분은 소를 사육하고 있는 우사 바닥에서 신선한 분뇨를 선별하여 수거하였다. 채취한 우분에 톱밥을 혼합하여 분뇨의 수분을 65% 내외로 조절한 후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식 반응조에서의 퇴비화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론/모형

  • 입상화 효과는 투입한 원료가 입상으로 가공되는 비율을 기준으로 하여 판단하였다. 실험시료는 채취 즉시 실험실로 이송하여 분석하였으며 시료 전처리와 성분분석은 AOAC와 APHA에서 정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4,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축분뇨 퇴비가 토양의 비옥도를 높여주는 유기성 비료자원으로 널리 이용되는 이유는? 가축분뇨 퇴비화는 국내 가축분뇨 처리방법 중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2015년 기준으로 보면 전체 가축분뇨 발생량 (4,653만 톤) 중 80%에 해당하는 3,724만 4천 톤이 퇴비화 방법에 의해 처리되었다1). 가축분뇨 퇴비는 식물 생육에 필요한 주요 영양성분인 질소와 인산, 칼리를 포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미량 영양요소 그리고 토양의 공극을 형성하는 입자성 물질까지 함유하고 있어서 토양의 비옥도를 높여주는 유기성 비료자원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축분뇨 퇴비는 가축분뇨에 톱밥이나 왕겨 등과 같은 수분조절재를 혼합하여 부숙시킨 것으로서 가루형태로 되어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퇴비의 수분이 높으면 생기는 문제점은? 또한 1 등급 퇴비는 유기물함량이 33% 이상 이고 유기물대 질소비는 35 이하, 수분함량은 55% 이하로 규정되어 있으며 2 등급 퇴비는 유기물함량 30% 이상, 유기물대 질소비 45% 이하, 그리고 수분함량 55% 이하로 규정되어 있다2). 퇴비의 수분이 높으면 무게가 증가하고 뭉쳐지기 쉬워서 퇴비를 경작지에 시비하는데 있어서 노동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농업인구의 노령화가 가속화되고 농기계 사용정도가 높아지고 있는 영농현황에 비추어 볼 때 농업 노동력 투입정도 감소와 기계화 작업효율 증대를 위해서는 입상화된 가축분뇨 퇴비의 사용 필요성이 높아진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다.
농업 노동력 투입정도 감소와 기계화 작업효율 증대를 위해 입상화된 가축분뇨 퇴비의 어떤 장점이 영향을 미치는가? 농업인구의 노령화가 가속화되고 농기계 사용정도가 높아지고 있는 영농현황에 비추어 볼 때 농업 노동력 투입정도 감소와 기계화 작업효율 증대를 위해서는 입상화된 가축분뇨 퇴비의 사용 필요성이 높아진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적으로 입상퇴비는 가루형태 퇴비에 비해서 수분함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반면에 밀도는 더 높아서 더 작은 살포기계로도 필요량의 퇴비를 경작지에 고르게 살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분퇴비를 대상으로 하여 원기둥 형태와 구(sphere) 형태의 두 가지 모양으로 입상 퇴비를 가공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Korean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 "Yield of Livestock Manure in South Korea", (2016). 

  2. RDA, "Operating guideline for Evaluating Standards of Quality Rating in livestock manure compost", (2016). 

  3. Korean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Agricultural Cooperative Federation., "Standard drawing of recycling facility for livestock manure(handbook)", (2009). 

  4.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AOAC INTERNATIONAL, (2007). 

  5. APHA.,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th Edition. (2005). 

  6. Guo, Rui, Li, Guoxue, Jiang, Tao, Schuchardt, Frank, Chen, Tongbin, Zhao, Yuanqiu, Shen, Yujin "Effect of Aeration Rate, C/N ratio and Moisture Content on the Stability and Maturity of Compost", Bioresource Technology, 112, pp. 171-178, (2012). 

  7. Agnew, J. M., Leonard, J. J., Feddes, J and Feng, Y., "A modified air pycnometer for compost air volume and density determination". Canadian Biosystems Engineering, 45, pp. 627-635. (2003). 

  8. Peisker, M. "Influence of expansion on feed components", Feed Mix, 2, pp. 26-31. (1994). 

  9. Hansen, R. C., Manel, K. M., Keener, H. M. and Hoitink, H. A. J. "The composting process- A natural way to recycle waste-OSUE", Bulletin 792. The Ohio State University. Columbus, OH.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