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완공작 친환경 건축물 공모전의 평가기준 및 제출요구자료 특성 분석 - AIA COTE TOP 10 공모전과 녹색건축대전의 비교를 중심으로 -
Characteristics Analysis of Evaluation Measures and Submission Requirements of Sustainable Design Awards -Comparison between AIA COTE Top 10 and Korea Green Building Awards- 원문보기

KIEAE journal =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논문집, v.17 no.3, 2017년, pp.59 - 67  

김진호 (Division of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Incheon National Univ.) ,  이도균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Incheon National Univ.)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s we are facing the global crisis from the climate change and energy depletion, urgent actions are needed to design a integrated sustainable building. This paper suggests that a sustainable design awards can stimulate for architects to bring the cutting-edge ideas into a realized build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IA COTE Top 10 공모전의 도입 목적은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기 위한 건축설계의 우수한 실제 사례를 통해 교훈을 얻고 이를 실무자들과 일반인에게 전파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OTE에서는 우선 지속가능성과 이를 가능케 하는 디자인의 개념을 Table 2와 같이 정립하였으며 설계와 지속가능성의 통합(Integration)이 공모전 심사의 주안점이 된다.
  • 지속가능성의 사회적 측면은 건축물을 사용하는 사용자 및 지역사회의 참여와 건축이 담당할 수 있는 사회적인 책임을 강조한다. 건축물을 통해 공공의 이익을 함양하고 지역성 및 역사성과 같은 공통된 가치의 보존을 통해 지역사회에서의 지속성 여부를 살펴보는 것이다.
  • 따라서 본 논문은 AIA COTE Top 10의 평가 기준과 제출요구 자료의 특성을 분석하여, 보다 높은 차원의 지속가능한 건축물을 위한 공모지침을 제시하고자 한다.
  • 또한 본 연구자는 향후 대한민국건축대전의 수상작들의 경향 분석을 통해 에너지 사용량, 면적, 프로그램, 인증제와의 관계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AIA COTE Top 10과 비교․분석하여 지속가능한 건축물 설계에 실제적이고 실용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먼저 개별 공모전의 평가 기준과 제출 양식 사이의 일치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건축물 도면과 사진 그리고 녹색건축관련 인증서의 경우는 두 공모전에서 공통되는 부분이므로 비교분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본 연구는 AIA COTE Top 10의 평가 기준과 양식 특성을 분석하여 친환경 건축물의 지속가능성을 목표로 하는 통합설계를 지향하기 위한 공모지침을 제시하고자 하며,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의 세 가지 관점인 환경, 경제, 사회를 중심으로 관점을 바탕으로 친환경 건축물 공모전 평가 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 수자원을 보존하고 수질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자원의 보존과 홍수 대처 전략, 프로젝트와 지역 수원과의 관계, 수돗물 의존도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이루어진다.
  • 대표적인 친환경 공모전의 사례로서 미국 건축가협회(AIA: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환경분과위원회(COTE: Committee on the Environment, 이하 COTE)에서 개발하고 1997년부터 도입된 AIA COTE Top 10을 들 수 있다. 이는 실무자들에게 친환경 건축물의 우수한 사례를 통해 선도하고, 이들의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1998년부터 2004년까지는 출품작이 15개에 불과하였으나, 1998년부터 2004년까지는 출품작 숫자가 20개에서 45개로 증가하였고, 2005년에서 2006년에는 65개, 그리고 2007년에는 100개로 증가하게 되어 매년 다양한 규모와 유형의 건축물들로 응모작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후변화 시대에 환경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일반인에게도 주목받는 공모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인증제도는 평가 기준과 항목의 개선을 통해 친환경 건축물의 인식과 대중적인 보급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된 견해를 견지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국내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와 관련하여 평가 항목에 관한 개선 방향을 제시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알아보기로 한다.
  • 친환경 건축물 공모전의 평가 기준 및 제출요구자료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의 일환으로서, 본 논문에서는 지난 20년 동안 개발되고 보완되어온 AIA COTE Top 10 건축설계공모전을 평가 기준과 제출양식을 중심으로 대한민국 녹색건축대전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 지속가능한 건축의 환경적 측면은 에너지 절감과 건강한 생태계의 조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패시브 디자인 기법의 적용, 신재생 에너지 사용, 각종 고효율 설비의 도입을 통해 건축물에서 사용되는 화석에너지 사용을 억제하고, 이산화탄소 배출 최소화를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그리고 현재 및 미래 세대의 삶의 터전을 위한 생태계 보존을 위한 노력을 들 수 있다.

가설 설정

  • 셋째, 인증제도의 항목 위주의 접근으로 인한 불완전성이다. 인증제도는 점수와 등급으로 평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변화와 에너지 부족에 대하여 건축계에서 노력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 있는가? 기후변화와 에너지 부족이라는 전 지구적인 문제는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이라는 화두를 던졌으며, 이는 건축계에서도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 중 하나로서 각종 건축물 인증제 및 가이드라인의 제시, 온실가스 배출 최소화 및 에너지 사용 절감을 위한 건축법규의 제정, 그리고 우수한 친환경 건축물 설계 사례를 수집하기 위한 친환경 공모전의 개최를 들 수 있다.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역할은 무엇인가?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는 지속가능한 개발의 실현을 목표로 에너지 및 각종 자원의 절약, 환경오염 저감, 건강한 실내 환경 등에 기여한 건축물에 대하여 친환경 인증을 부여하는 제도이다. 친환경 건축 항목에서 요구되는 성능에 대하여 일정한 기준을 충족함으로써 점수와 등급이 결정되며, 궁극적으로 건물주, 설계자, 건물 사용자의 이익을 제공하며 친환경적인 개발을 촉진시켜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의 G-SEED, 미국의 LEED, 영국의 BREEAM과 같이 세계 각국은 자국의 실정에 맞춘 친환경 건축물 인증 제도를 개발하고 활용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증 제도를 통해 친환경 건축물 평가가 확산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완공 작 대상의 공모전의 이점은 무엇인가?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가 일반적인 정량적인 기준으로 점수의 획득 및 등급이 결정되는 것과는 달리 완공 작 대상의 공모전은 정성적인 평가가 고려된 지속가능성과 건축미를 구현한 친환경 건축물을 선정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완공 작 대상의 공모전은 기존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의 단점인 건물의 특수한 요구조건의 고려 및 적합한 통합설계(Integrated design)의 반영에 대한 평가 부족과 다양한 친환경 건축물 설계의 패러다임이나 방향성 제시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인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Committee on the Environment. "Lessons from the Leading Edge AIA COTE TOP TEN 1997-2015", AIA, 2015 

  2.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s Committee on the Environment. The AIA Committee on the Environment's Measures of sustainable design and performance metrics. 

  3. Bill R., 7group. "The Integrated Design Guide to Green Building: Redefining the Practice of Sustainability", John Wiley & Sons. 2009. 

  4. Daniel W., "Sustainable Design", John Wiley & Sons, pp. 129, 2007. 

  5. Eddy K., Bradley N., "Green BIM: Successful Sustainable Design with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2008. 

  6. Henry S., "The Architecture of Sustainability: The 2006 AIA/COTE Top Ten Green Projects", 2006 National AIA Convention Presentation. 

  7. Jason, M., "The philosophy of Sustainable Design", Ecotone 2004. 

  8. Joann K., "Natural Ventilation and Office Tower", Architectural Record, McGraw-Hill Companies, Nov. 2015. 

  9. Bill R., 7group. "The Integrated Design Guide to Green Building: Redefining the Practice of Sustainability", John Wiley & Sons. 2009. 

  10. 김선숙, "친환경 건축물 가이드라인의 개발 특성 및 구성요소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v.25 n.05, 2009.5 // (Kim, Sun-Sook, An Analysis of the Components an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Green Building Guidelines, Journal of AIK, 2009.5) 

  11. 김재홍, "우수 녹색건축 사례 발굴을 위한 대한민국 녹색건축대전", 건축도시공간연구소: 가을호, 2014 // (Kim, Jae-Hong, Korean Green Building Awards: To search for the excellent green building practice, Journal of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Autumn 2014) 

  12. 박지영, 조성익, "차세대 친환경 건축 인증제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 및 특성 연구", 한국생활환경학회지: v.19 n.3, 2012.3 // (Park, Ji-Young, Cho, Sung-Ik,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New Generation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Focused on LBC, Journal of Korean Soc. Living Environ. Sys., 2012.3) 

  13. 윤정은, 임영환,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와 가이드라인의 관계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7 n.11, 2011.11 // (Yoon, Jung-En, Lim, Yeong-Hwan, Study on Correlation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and Guidelines, Journal of AIK, 2011.11) 

  14. 이병연, 김광현, "친환경건축 통합설계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5 n.04, 2009.4 // (Lee, Byung-Yun, Kim, Kwang-Hyun, A Study on the Integrated Design Process for Sustainable Architecture, Journal of AIK, 2009.4) 

  15. 임영환, "영국의 지속가능한 건축 가이드라인의 특성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9 n.06, 2013.6 // (Lim, Yeong-Hwan, Case Studies on the Sustainable Architecture Guidelines in United Kingdom, Journal of AIK, 2013.6) 

  16. 임영환, 김광현, "지속가능한 건축의 계획적 연구 방향 탐침",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26 n.11, 2010.10 // (Lim, Yeong-Hwan, Kim, Kwang-Hyun, A Probe on Research Direction of Sustainable Architectural Planning, Journal of AIK, 2010.10) 

  17. Qi Ting, 이연숙, 강혜연, "초고층 미래주택 공모전 수상작에서 나타난 지속가능 계획특성 추출 연구", 한국생태건축학회논문집: v.16 n.1, 2016.2 // (Qi Ting, Lee, Yeun-Sook, Kang, Hye-Yon, A Study to Extract Sustainabl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Future Skyscraper from Competition Awarded Housing Projects, KIEAE Journal, 2016.2) 

  18. Sarte, S.B. Sustainable Infrastructure: The Guide to Green Engineering and Design, John Wiley & Sons. 2010. 

  19. William, M., & Michael B. Cradle to Cradle. New York: North Point Press. 20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