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순천만 패류 양식장 3개소의 지화학적 특성과 저서생물상 분포 -가리맛조개 양식장과 새꼬막 양식장-
Ge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enthos Distribution in the Three Shellfish Farms in Suncheon Bay,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6 no.6, 2017년, pp.691 - 710  

서진수 (순천대학교 환경교육과.순천대학교 연안해역위생환경연구소) ,  김태훈 (순천대학교 환경교육과.순천대학교 연안해역위생환경연구소) ,  신세연 (순천대학교 환경교육과.순천대학교 연안해역위생환경연구소) ,  강형일 (순천대학교 환경교육과.순천대학교 연안해역위생환경연구소) ,  안삼영 (순천대학교 환경교육과.순천대학교 연안해역위생환경연구소) ,  정재성 (순천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영성 (K-water 융합연구원) ,  원남일 (K-water 융합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geochemical and benthic environment of three shellfish farms in Suncheon Bay during the period of September 2014 ~ April 2015. Three sampling stations were selected; St.1 is the shellfish farm of razor clam near Jangsan area. St.2 is the shellfish farm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주상 시료 하부는 가리맛조개의 서식 깊이를 고려하여 20~50 cm 깊이 구간을 정하였다. 그동안의 선행연구가 주로 표층 갯벌 퇴적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 본 연구에서는 상대적으로 생물 밀도가 적은 깊이의 주상 시료에 대한 이화학적 분석 자료를 얻고자하는 목적 또한 있었다. 절단된 시료가 담긴 비닐백은 즉시 밀봉하고 공극수 추출을 위한 것은 글로브 박스로 운반하여공극수 추출에 사용하고, 나머지는 갯벌 퇴적물의 이화학적 분석에 사용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순천만 상부의 가리맛조개 양식장 2곳과 새꼬막 양식장 1곳의 양식장 환경을 알아보기 위해 퇴적물과 공극수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양식 패류의 개체수와 양식장 갯벌에 서식하는 기타 저서생물상도 조사하여 양식장 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순천만 상부의 가리맛조개 양식장 2곳과 새꼬막 양식장 1곳의 양식장 환경을 알아보기 위해 퇴적물과 공극수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양식 패류의 개체수와 양식장 갯벌에 서식하는 기타 저서생물상도 조사하여 양식장 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양식장 갯벌 퇴적물과 공극수에 대한 이화학적 조사값을 보았을 때이 들 양식장이 위치한 순천만 상부 조간대는 다른 지역의 유사한 반폐쇄성 만과 비교하여 매우 양호한 상태인 것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의 대상지로는 가리맛조개 양식장으로 순천시 장산과 용두지역을 선정하였으며,새꼬막 양식장으로는 역시 순천만 상부 조간대에 위치한 화포지역을 선정하였다. 패류의 주 생산 시기인 봄(4월), 가을(9월과 10월), 겨울(12월)에 이 세 지점의 지화학적 특성과 함께 주 생산 패류 개체 수 및 저서생물상을 조사하여, 순천만 패류 양식장의 저서환경을 파악하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해안의 갯벌의 지형적 특징은? 남해안의 갯벌들은 반 폐쇄적인 구조로 외해로부터 영향을 상대적으로 덜 받기 때문에 패류 양식에 적합하여 경제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해수의 유동이 느리고, 체류시간이 길기 때문에 오염에 취약한 특성도 가진다.
갯벌의 형성과 관련된 특징은? 갯벌(tidal flat)은 조류나 강으로부터 운반된 퇴적물이 오랜 기간 쌓여 형성되는 해안 습지이다. 외해의 파도나 폭풍으로부터 육지를 보호해주고 수많은 종류의 동식물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육상기원 오염물질을 분해하며, 사람들에게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전하는 등 다양한 기능과 가치를 지닌 곳이다.
갯벌은 어떤 가치를 지닌 곳인가? 갯벌(tidal flat)은 조류나 강으로부터 운반된 퇴적물이 오랜 기간 쌓여 형성되는 해안 습지이다. 외해의 파도나 폭풍으로부터 육지를 보호해주고 수많은 종류의 동식물들이 서식하고 있으며, 육상기원 오염물질을 분해하며, 사람들에게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전하는 등 다양한 기능과 가치를 지닌 곳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Bates, M. H., Neafus, N. J., 1980, Phosphorus release from sediments from Lake Carl Blackwell, Oklahoma, Water Res., 14, 1477-1481. 

  2. Cho, E. S., Lim, W. A., Hwang, J. D., Suh, Y. S., 2011, Effects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production of shellfish in Deukryang Bay, Korea, J. Environ. Sci., 20(10), 1243-1263. 

  3. Fischeries and Aquaculture Department, 1990, Brief introduction to mariculture of five selected species in China, http://www.fao.org/fishery/, Rome, Italy. 

  4. Folk, R. L., Ward, W. C., 1957, Brazos River bar: A Study in the significance of grain size parameters, J. of Sedimentary Petrology, 27, 3-27. 

  5. Hwang, D. W., Jin, H. G., Kim, S. S., Kim, J. D., Park, J. S., Kim, S. G., 2006, Distribution of organic matters and metallic elements in the surface sediments of Masan Harbor, Korea, Kor. J. Fish Aquat. Sci., 39(2), 106-117. 

  6. Hwang, D. W., Lee, I. S., Choi, M. K., Kim, S. Y., Choi, H. G., 2013, Evaluation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 contamination in surface sediments around the Geum River Estuary using sediment quality guidelines, Kor. J. Fish Aquat. Sci., 46(6), 930-940. 

  7. Hyun, J. H., Lee, H. K., Kwon, K. K., 2003, Sulfate reduction in the marine environments: Its controlling factors and relative significance in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 The Sea, 8(2), 210-224. 

  8. Jang, S. G., Cheong, C. J., 2010, Characteristics of grain size and organic matters in the tidal flat sediments of the Suncheon Bay, J. Kor. Soc. Marine Environ. Engineering, 13(3), 198-205. 

  9. Kim, S. Y., Kui, J. K., Kim, B. M., Lee, Y. G., Choi, Y. S., Kim, S., 2008, Geochemical characteristics in the coastal wetland and intertidal zone of Suncheon Bay, J. Wetland, 10(2), 81-96. 

  10. Kim, S. Y., Lee, Y. H., Kim, Y. S., Shim, J. H., Ye, M. J., Jeon, J. W., Hwang, J. R., Jun, S. H., 2012, Chara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al in the hypoxic season at Jinhae Bay in 2010, Kor. J. Nature Conservation, 6(2), 1155-129. 

  11. Kim, S. Y., Moon, T. S., Shin, Y. K., Park, M. S., 2009, Gonadal development and reproductive cycle of the granular ark Tegillarca granosa (Bivalvia: Arcidae), J. Aquaculture, 22(1), 34-41. 

  12. Koh, C. H., Yang, M. R., Chang, W. K., 1997, Growth and production of Sinonovacula constrica (Bivalvia) from the Hwaseong tidal flat in the Namyang Bay, Korea, The Sea, 2(1), 21-30. 

  13. Kwon, O. K., Min, D. K., Lee, J. R., Lee, J. S., Je, J. G., Choe, B. L., 2001, In Korean mollusks with color illustration; Hanguel Publishing Co., Seoul. 

  14. Lee, C. W., Kwon, Y. T., Kwon, H. B., Boo, M. H., Yang, K. S., 2000, Eutrophication characteristics in the shellfish farms the southern coastal sea of korea, J. Kor. Soc. Marine Environ. Engineering, 3(3), 24-33. 

  15. Lee, H. N., Jung, K. S., Cheon, G. H., Hur, Y. T., 2015, A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water temperature by Juam Regulation Dam, Outflow in downstream and Suncheon Bay, J. Kor. Water Resour. Assoc., 48(6), 501-509. 

  16. Lim, J. Y., Hur, S. B., 2010, Comparison of seed collection and the growth of Anadara subcrenata in Suncheon and Boseong Bays, Kor. J. Fish Aquat. Sci., 43(3), 223-230. 

  17. Margalef, R., 1958, Temporal succession and spatial heterogeneity in natural phytoplankton, In perspectives in marine biology, Buzzati-Traverso, A. A. (Ed.),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Berkeley, CA, USA. 

  18. McAleece, N., Gage, J. D. G., Lambshead, P. J. D., Paterson, G. L. J., 1997, BioDiversity Professional statistics analysis software. 

  19. McNaughton, S. J., 1967, Relationships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68-169. 

  20.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0,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seawater, Sejong, Korea. 

  21.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4, Aquaculture management act(2014-96), Sejong, Korea. 

  22. Na, T. H., Lee, T. S., 2005, Estimation of denitrification in the Ganghwa Tidal Flat by a pore water model, The Sea, 10(1), 56-68. 

  23. National Institute of Fisheries Science, 2016, History of aquaculture in Korea (SP-2016-AQ-001), Busan, Korea. 

  24. Park, J. Y., Kim, Y. I., Bae, K. S., Oh, K. S., Choi, J. D., 2010, Bacteriological and physiochemical quality of seawater and surface sediments in Sacheon Bay,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4(2), 7-15. 

  25. Pennak, R. W., 1989, Freshwater invertebrates of the United States, 3rd ed., Wiley, New York. 

  26. Pielou, E. C., 1975, In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NY, USA. 

  27. Shin, S. B., 2016, Assessment of sanitary state of seawater and shellfish in Yeoja bay for the approved area for shellfish export to USA. 2016, Proceedings of the workshop for the shellfish sanitation program (NSSP, USA) guidelines for approved areas, Southwest Sea Fisheries Research Institute, Yeosu, Korea. 

  28.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4, Sediment sampling, science and ecosystem support division, Athens, Georgia, USA. 

  29. Yoo, J. S., 2001, Korean shells in colour, 9th ed., Il Ji Sa Publishing Co., Seoul. 

  30. Yoon, Y. H., 2000,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 of organic matters on the surface sediments and its origin in Keogeum-sudo,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J. Environ. Sci., 9(2), 137-144. 

  31. Yoon, Y. H., Kim, D. G., 2003, On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outhwestern parts of Deukryang Bay, South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1(1), 8-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