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정실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Fruits of Ligustrum japonicum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9 no.2, 2017년, pp.115 - 124  

서영완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 ,  김호준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생명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uits of Ligustrum japonicum. The crude extract was successively fractionated into n-hexane, 85% aqueous methanol (85% aq.MeOH), n-butanol (n-BuOH), and water fractions by means of solvent polarity. The crude extract and i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팀에서는 염생식물 자원이 항산화제의 원천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염생식물 추출물들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스크리닝하는 과정속에 광나무의 열매인 여정실 추출물이 유의적인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정실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을 제조하고 이들에 대한 peroxynitrite 소거능, 세포내 ROS의 소거효과, DNA 산화 억제 등 항산화 활성을 검색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n-BuOH 분획으로부터 항산화 활성성분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팀에서는 염생식물 자원이 항산화제의 원천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염생식물 추출물들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스크리닝하는 과정속에 광나무의 열매인 여정실 추출물이 유의적인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정실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을 제조하고 이들에 대한 peroxynitrite 소거능, 세포내 ROS의 소거효과, DNA 산화 억제 등 항산화 활성을 검색하고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n-BuOH 분획으로부터 항산화 활성성분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생식물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는 무엇인가? 염분이 있는 토양에서 자라는 식물을 염생식물이라고 부르는데 염생식물에 대한 정의는 연구자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내염성이 있으며 염분을 배출하거나 축적하는 기작을 가지고 있는 식물이라고 할 수 있다(Kim 2006). 염생식물은 다른 육상식물들에 비하여 높은 염분함량을 가지는데 이와 같이 높은 고염 스트레스는 식물조직에 높은 산화스트레스를 유도한다.
고염 스트레스는 어떠한 과정으로 산화스트레스를 유도하는가? 염생식물은 다른 육상식물들에 비하여 높은 염분함량을 가지는데 이와 같이 높은 고염 스트레스는 식물조직에 높은 산화스트레스를 유도한다. 문헌에 의하면 고염 스트레스는 기체 교환을 감소시켜 잎 조직에 이산화탄소 공급을 제한하고, 결국에는 광합성 전자 전달을 급감시키기 때문에 superoxide 음이온, 과산화수소 및 히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과 같은 다앙한 활성산소종의 생성을 유도한다고 알려져 있다(Ozgur et al. 2013; Bose et al.
염분 스트레스에 적응하기 위한 내염성 식물인 염생식물의 독특한 항산화 기작은 무엇인가? 이러한 염분 스트레스에 적응하기 위하여 내염성 식물인 염생식물은 독특한 항산화 기작을 발전시켜 왔다. 문헌에 의하면 내염성식물들이 중성식물에 비해서 비타민 E, 폴리페놀 등과 같은 항산화물질들을 더 높은 함량으로 보유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며 실제로 염생식물의 항산화 능력이 증가하는 것은 식물조직내의 폴리페놀 축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지금까지 발표된 문헌에 의하면 염생식물의 전체 폴리페놀 함량이 중성식물(glycophyte)보다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Ksouri et al. 2012a,b; Bos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ntenucci S, Panzella L, Farina H, Ortenzi MA, Caneva E, Martinotti S, Ranzato E, Burlando BM, Napolitano A, Verotta L (2016) Powering tyrosol antioxidant capacity and osteogenic activity by biocatalytic polymerization. RSC Adv 6:2993-3002 

  2. Boestfleisch C, Wagenseil NB, Buhmann AK, Seal CE, Wade EM, Muscolo A, Papenbrock J (2014) Manipulating the antioxidant capacity of halophytes to increase their cultural and economic value through saline cultivation. AoB Plants 6:plu046:1-16 

  3. Bose J, Rodrigo-Moreno A, Shabala S (2014) ROS homeostasis in halophytes in the context of salinity stress tolerance. J Exp Bot 65:1241-1257 

  4. Canalejo A, Martinez-Dominguez D, Cordoba F, Torronteras R (2014) Salt tolerance is related to a specific antioxidant response in the halophyte cordgrass, Spartina densiflora. Estuar Coast Shelf S 146:68-75 

  5. Chang X, Luo F, Jiang W, Zhu L, Gao J, He H, Wei T, Gong S, Yan T (2015) Protective activity of salidroside against ethanol-induced gastric ulcer via the MAPK/NF- ${\kappa}B$ pathway in vivo and in vitro. Int Immunopharmacol 28:604-615 

  6. Choe KI, Kwon JH, Park KH, Oh MH, Kim MH, Kim HH, Cho SH, Chung EK, Ha SY, Lee MW (2012)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isolated from the root of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Molecules 17:11484-11494 

  7. Gratao PL, Polle A, Lea PJ, Azevedo RA (2005) Making the life of heavy metal stressed plants a little easier. Funct Plant Biol 32:481-494 

  8. Gris EF, Mattivi F, Ferreira EA, Vrhovsek U, Filho DW, Pedrosa RC, Bordignon-Luiz MT (2011) Stilbenes and tyrosol as target compounds in the assessment of antioxidant and hypolipidemic activity of Vitis vinifera red wines from Southern Brazil. J Agr Food Chem 59:7954-7957 

  9. Han GS, Kim DS, Woo WH, Mun YJ (2010) Inhibitory effect of fructus Ligustri Lucidi on tyrosinase and MITF expressions. Korean J Orient Physiol Pathol 24:296-301 

  10. Hansen MB, Nielsen SE, Berg K (1989) Re-examination and further development of a precise and rapid dye method for measuring cell growth/cell kill. J Immunol Methods 119:203-21 

  11. Hong J-H, Jeon J-L, Lee J-H, Lee I-S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Artemisia princeps Pamp.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657-662 

  12. Kang S-H, Kim E-Y, Rhyu M-R, Kim D-I (2007) A study on effects of Ligustri Lucidi Fructus, Ecliptae Herba and Yijihwan on antioxidant activity and blood pressure. J Orient Obstet G 20:83-96 

  13. Kim E-K (2006) Flora and soil characteristics on the reclaimed tidal flats in the west coast of Korea. Ph.D. Thesis, Yonsei National University, 274 p 

  14. Kim SJ, Kim KS, Hwang SJ, Chon SU, Kim YH, Ahn JC, Hwang B (2004) Identification of salidroside from Rhodiola sachalinensis A. Bor. and its production through cell suspension culture. Korean J Med Crop Sci 12:203-208 

  15. Kooy NW, Royall JA, Ischiropoulos H, Beckman JS (1994) Peroxynitrite-mediated oxidation of dihydrorhodamine 123. Free Radical Biol Med 16:149-156 

  16. Ksouri R, Ksouri WM, Jallali I, Debez A, Magne C, Hiroko I, Abdelly C (2012a) Medicinal halophytes: potent source of health promoting biomolecules with medical, nutraceutical and food applications. Crc Cr Rev Biotechn 32:289-326 

  17. Ksouri R, Smaoui A, Isoda H, Abdelly C (2012b) Utilization of halophyte species as new sources of bioactive substances. J Arid Land 22:41-44 

  18. Lee KJ, Song N-Y, Ma JY (2014) Isolation and bioactivity analysis of salidroside from Acer tegmentosum using online screening HPLC-ABTS+ assay. KSBB J 29:24-130 

  19. Lopez-Alarcona C, Denicola A (2013) Evaluating the antioxidant capacity of natural products: a review on chemical and cellular-based assays. Anal Chim Acta 763:1-10 

  20. Miline L, Nicotera P, Orrenius S, Burkitt M (1993) Effects of glutathione and chelating agents on copper-mediated DNA oxidation: prooxidant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glutathione. Arch Biochem Biophys 304:102-109 

  21. Moller IM, Jensen PE, Hansson A (2007) Oxidative modifications to cellular components in plants. Annu Rev Plant Biol 58:459-481 

  22. Okimoto Y, Watanabe A, Niki E, Yamashita T, Noguchi N (2000) A novel fluorescent probe diphenyl-1-pyrenylphosphine to follow lipid peroxidation in cell membranes. FEBS Lett 474:137-140 

  23. Ozgur R, Uzilday B, Sekmen AH, Turkan I (2013) Reactive oxygen species regulation and antioxidant defence in halophytes. Funct Plant Biol 40:832-847 

  24. Persson T, Popescu BO, Cedazo-Minguez A (2014) Oxidative stress in Alzheimer's disease: why did antioxidant therapy fail. Oxid Med Cell Longev 2014:427318 

  25. Pisoschi AM, Pop A (2015) The role of antioxidants in the chemistry of oxidative stress: a review. Eur J Med Chem 97:55-74 

  26. Poljsak B, Suput D, Milisav I (2013) Achieving the balance between ROS and antioxidants: when to use the synthetic antioxidants. Oxid Med Cell Longev 2013:956792 

  27. Ryu JB (2007) Ligustrum japonicum. Korea Beekeep Bull 321:41-42 

  28. Si P-P, Zhen J-L, Cai Y-L, Wang W-J, Wang W-P (2016) Salidroside protects against kainic acid-induced status epilepticus via suppressing oxidative stress. Neurosci Lett 618:19-24 

  29. Vlachogianni IC, Fragopoulou E, Kostakis IK, Antonopoulou S (2015) In vitro assessment of antioxidant activity of tyrosol, resveratrol and their acetylated derivatives. Food Chem 177:165-173 

  30. Wang H, Gan D, Zhang X, Pan Y (2010) Antioxidant capacity of the extracts from pulp of Osmanthus fragrans and its components. J Food Sci Technol 43:319-325 

  31. Wang S, He H, Chen L, Zhang W, Zhang X, Chen J (2015) Protective effects of salidroside in the MPTP/MPP+-induced model of Parkinson's disease through ROS-NOrelated mitochondrion pathway. Mol Neurobiol 51:718-728 

  32. Yuan Y, Wu S-J, Liu X, Zhang L-L (2013) Antioxidant effect of salidroside and its protective effect against furan-induced hepatocyte damage in mice. Food Funct 4:763-769 

  33. Yun S-B, Lee Y, Lee NK, Jeong E-J, Jeong Y-S (2014) Optimization of microwave extraction conditions for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from Ligustrum lucidum Aito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3:570-576 

  34. Zhao G, Shi A, Fan Z, Du Y (2015) Salidroside inhibits the growth of human breast cancer in vitro and in vivo. Oncol Rep 33:2553-2560 

  35. Ziech D, Franco R, Georgkalikas AG, Georgakila S, Malamou-Mitsi V, Schoneveld O, Pappa A, Panayiotidis MI (2010) The role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d oxidative stress in environmental carcinogenesis and biomarker development. Chem Biol Interact 188:334-3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