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이 없습니다.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MeOH 용매분획으로부터19 추가적으로 암세포 증식억제 성분을 분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순비기나무로부터 분리된 8 가지 화합물과 이들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순비기나무는 무엇인가?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는 한국, 일본, 중국 등의 해안가 모래땅에 서식하는 사구성 염생식물의 일종으로 마편초과(Verbenaceae)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이다.1 순비기나무의 열매는 만형자라고 하며 두통, 안질, 귓병, 감기, 신경통, 습진 등 다양한 질병의 치료에 이용된다.
만형자의 치료 이용 분야는 무엇인가? 순비기나무(Vitex rotundifolia)는 한국, 일본, 중국 등의 해안가 모래땅에 서식하는 사구성 염생식물의 일종으로 마편초과(Verbenaceae)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이다.1 순비기나무의 열매는 만형자라고 하며 두통, 안질, 귓병, 감기, 신경통, 습진 등 다양한 질병의 치료에 이용된다.2−4 지금까지 순비기나무 로부터 flavonoid와 terpenoid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화학성분들이 분리되었으며5−14 이 성분들의 항산화,5 항암,6 항염증,7 항알러지,15 진정효과16 등이 보고되었다.
순비기나무에서 처음으로 분리된 화합물의 특징은 무엇인가? 모두 8개의 화합물들이 분리되었으며 이 중에서 quercetin dimethyl ether(4)와 aurantiamide(8)는 순비기나무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Quercetin dimethyl ether(4)의 생리활성으로 혈관이완효과와23 항산화활성이29 알려져 있으나 다른 생리활성에 대해서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이 물질의 4 종류의 인체암세포 증식억제활성을 측정한 결과 HT-1080과 AGS 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활성이 비교적 좋았다. Aurantiamide(8)는 주로 acetate의 형태로 발견되었으며 amide 형태 자체로는 그렇게 많이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특이하게 해양식물인 홍조류 Acantophora spicifera에서도 발견된 바 있다.25 이 물질에 대한 생리활성 결과도 거의 보고되지 않았으며 여기에서 처음으로 인체암세포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가 검색되었으며 4종류 인체암세포 모두에 유의적인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HT-1080과 AGS 세포에 더 좋은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논문에서 처음으로 aurantiamide(8)의 모든 수소와 탄소에 대한 NMR스펙트럼 데이터가 완전하게 지정(assigned)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Yeeh, Y.; Kang, S. S.; Chung, H. G.; Chung, M. S. J. Plant Research 1996, 109, 161. 

  2. Ono, M.; Ito, Y.; Kubo, S.; Nohara, T. Chem. Pharm. Bull. 1997, 45, 1094. 

  3. Kim, D. K. Biomol. Ther. 2009 17, 412. 

  4. Kimura, T.; But, P. P. H.; Guo, J. X.; Sung, C. K. International Collation of Traditional and Folk Medicine. Part I; World Scientific: Singapore, 1996; p. 141. 

  5. Ono, M.; Yamamoto, M.; Masuoka, C.; Ito, Y.; Yamashita, M.; Nohara, T. J. Nat. Prod. 1999, 62, 1532. 

  6. One, M.; Yanaka, T.; Yamamoto, M.; Ito, Y.; Nohara, T. J. Nat. Prod. 2002, 65, 537. 

  7. Lee, C.; Lee, J. W.; Jin, Q.; Lee, H. J.; Lee, S.-J.; Lee, D.; Lee, M. K.; Lee, C. K.; Hong, J. T.; Lee, M. K.; Hwang, B. Y. Bioorg. Med. Chem. Lett. 2013, 23, 6010. 

  8. Wang, X.-Q.; Zhang, T.; Zheng, B.; Xie, W.-D.; Shen, T. Bull. Korean Chem. Soc. 2014, 35, 672. 

  9. Kondo, Y.; Sugiyama, K.; Nozoe, S. Chem. Pharm. Bull. 1986, 34, 4829. 

  10. Ko, W. G.; Kang, T. H.; Lee, S. J.; Kim, N. Y.; Kim, Y. C.; Sohn, D. H.; Lee, B. H. Food Chem. Toxicol. 2000, 38, 861. 

  11. Kim, H.; Yi, L. M.; Kim, N. S.; Lee, Y. J.; Kim, J.; Oh, D. S.; Oh, S. M.; Bang, O. S.; Lee, L. J. Korean Soc. Appl. Biol. Chem. 2012, 55, 433. 

  12. Kawazoe, K.; Yutani, A.; Takaishi, Y. Phytochemistry 1999, 52, 1657. 

  13. Kouno, I.; Inoue, M.; Onizuka, Y.; Fujisaki, T.; Kawano, N. Phytochemistry 1988, 27, 611. 

  14. Kawazoe, K.; Yutani, A.; Tamemoto, K.; Yuasa, S.; Shibata, H.; Higuti, T.; Takaishi, Y. J. Nat. Prod. 2001, 64, 588. 

  15. Shin, T. Y.; Kim, S. H.; Lim, J. P.; Suh, E. S.; Jeong, H. J.; Kim, B. D.; Park, E. J.; Hwang, W. J.; Rye, D. G.; Baek, S. H.; An, N. H.; Kim, H. M. J. Ethnopharmacol. 2000, 72, 443. 

  16. Okuyama, E.; Fujimori, S.; Yamazaki, M; Takeshi, D. Chem. Pharm. Bull. 1998, 46, 655. 

  17. Hong, J. W.; Jung, M. E.; Seo, Y. Ocean and Polar Research 2011, 33, 255. 

  18. Kim, Y. A.; Lee, J. I.; Kim, H.; Kong, C.-S.; Nam, T. J.; Seo, Y. J. Appl. Biol. Chem. 2009, 52, 174. 

  19. Kim, Y. A.; Kim, H.; Seo, Y. Natural Product Communications 2013, 8, 1405. 

  20. Hansen, M. B.; Nielsen, S. E.; Berg, K. J. Immunol. Methods 1989, 119, 203. 

  21. Banerji, A.; Ray, R. Phytochemistry 1981, 20, 2217. 

  22. Wang, Y.; Hamburger, M.; Gueho, J.; Hostettmann, K. Phytochemistry 1989, 28, 2323. 

  23. Guerrero, M. F.; Puebla, P.; Carron, R.; Martin, M. L.; Roman, L. S. J. Pharm. Pharmacol. 2002, 54, 1373. 

  24. Kim, Y. A.; Lee, J. I.; H Bouktaib, M.; Lebrun, S.; Atmani, A.; Rolando, C. Tetrahedron 2002, 58, 10001. 

  25. Banerji, A.; Ray, R. Phytochemistry 1981, 20, 2217. 

  26. Wahidulla, S.; D'Souza, L.; Kamat, S.Y. Phytochemistry 1991, 30 3323. 

  27. Jinbiao, X.; Gang, N.; Shengping, Y.; Chinese J. Chem. 2013, 31, 72. 

  28. Wenhui, P; Kanglun, L.; Yifu, G. J. Nat. Prod. 2014, 77, 663. 

  29. Kupeli, E.; Orhan, D. D.; Yesilada, E. J. Ethnopharmacol. 2006, 103, 45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