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계사(鷄舍) 작업장 유형에 따른 분진 농도 및 발생량 분포
Distribution of Concentration and Emission of Dust according to Types of Poultry Buildings in Korea 원문보기

韓國環境保健學會誌 =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 v.43 no.3, 2017년, pp.185 - 193  

김기연 (부산가톨릭대학교 산업보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An on-sit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quantify indoor exposure levels and the emission rate of particulate matter for domestic poultry buildings. Materials and methods: Three types of poultry building (caged layer house, broiler house, and layer house with manure belt) as classifi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입자상 오염물질 중 분진을 대상으로 현장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계사 작업장 유형에 따른 실내 농도 및 발생량 수준을 분석하여 국내 계사 작업자의 분진 노출 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농도의 분진 노출이 양계업 종사자들에게 미치는 악영향은 무엇인가? 공기오염물질 중 계사 작업장에서 발생되는 분진은 사료나 건조화된 분뇨에서 유래하는 유기성 입자로 실내 환기 상태나 사료 투입 작업 방식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5 µm 이하의 입자들의 수가 전체 입자 수의 70~95%를 차지한다는 연구 보고가 있다 (Ullman 등, 2004). 그리고 고농도의 분진 노출은 양계업 종사자들에게 유기분진 독성 증후군(Organic dust toxic syndorome, ODTS), 농부폐증, 직업성 알레르기 등 여러 유형의 호흡기계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국외 많은 역학 연구들에 의해 이미 보고된 바 있다 (Thelin 1984; Radon et al., 2001; Pavicic et al.
계사에서 방출된 공기오염물질이 미시적 관점에서 야기하는 문제에는 무엇이 있는가? 계사에서 방출된 공기오염물질은 거시적 관점에서 오존층파괴에 의한 지구 온난화의 가속 (Wathes 등, 1997; Hospido와 Sonesson, 2005; Adrizal 등, 2008), 조류독감 바이러스 등의 질병 유발 인자의 공기 전염 확산 (Alexander 2000; Kim 등, 2006; Karlsson 등, 2007; Mayer 등, 2008)을 야기할 수 있다. 미시적 관점에서는 닭의 생산성 저하 (Demmers 등, 2003; Carey 등, 2004; Rodenburg 등, 2005), 인근 주변 지역의 악취 민원 증가 (Hilliger 등, 1971; Hayes 등, 2006; Tymczyna 등, 2007), 양계업 종사자의 흡입 노출로 인한 천식, 비염,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계 질환들을 유발할 수 있다 (Wathes 등, 1997; Chang 등, 2001; Venter 등, 2004).
계사에서 방출된 공기오염물질이 거시적 관점에서 야기하는 문제에는 무엇이 있는가? 계사에서 방출된 공기오염물질은 거시적 관점에서 오존층파괴에 의한 지구 온난화의 가속 (Wathes 등, 1997; Hospido와 Sonesson, 2005; Adrizal 등, 2008), 조류독감 바이러스 등의 질병 유발 인자의 공기 전염 확산 (Alexander 2000; Kim 등, 2006; Karlsson 등, 2007; Mayer 등, 2008)을 야기할 수 있다. 미시적 관점에서는 닭의 생산성 저하 (Demmers 등, 2003; Carey 등, 2004; Rodenburg 등, 2005), 인근 주변 지역의 악취 민원 증가 (Hilliger 등, 1971; Hayes 등, 2006; Tymczyna 등, 2007), 양계업 종사자의 흡입 노출로 인한 천식, 비염,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계 질환들을 유발할 수 있다 (Wathes 등, 1997; Chang 등, 2001; Venter 등,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drizal A, Patterson PH, Hulet RM, Bates RM, Myers CA, Martin GP, Shockey RL, van der Grinten M, Anderson DA, Thompson JR. Vegetative buffers for fan emissions from poultry farms: 2. ammonia, dust and foliar nitrogen.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Health B 2008;43:96-103. 

  2. Alexander DJ. A review of avian influenza in different bird species. Veterinary Microbiology 2000; 7:43-13. 

  3. Carey J. B, Lacey R. E, Mukhtar S. A Review of literature concerning odors, ammonia, and dust from broiler production facilities: 2. flock and house management factors. Journal of Applied Poultry Research 2004;13:509-513. 

  4. Chang CW, Chung H, Huang CF, Su HJJ. Exposure assessment to airborne endotoxin, dust, ammonia, hydrogen sulfide and carbon dioxide in open style swine houses. Annals of Occupational Hygiene 2001;45:457-465. 

  5. Demmers TGM, Wathes CM, Richards PA, Teer N, Taylor LL, Bland V, Goodman J, Armstrong D, Chennells D, Done SH, Hartung J. A facility for controlled exposure of pigs to airborne dusts and gases. Biosystems Engineering 2003;84:217-230. 

  6. Hayes ET, Curran TP, Dodd VA. Odour and ammonia emissions from intensive pig units in Ireland. Bioresource Technology 2006;97:940-948. 

  7. Hilliger HG, Langner HJ, Hilbig V, Heckel U. Experiments for characterization of odour stuffs contained in the air of the interior of a laying-hen house. Zentralbl Bacteriology 1971;155:87-92. 

  8. Hospido A, Sonesson U. The environmental impact of mastitis: a case study of dairy herds.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005;343:71-82. 

  9. Kim JA, Cho SH, Kim HS, Seo SH. H9N2 influenza viruses isolated from poultry in Korean live bird markets continuously evolve and cause the severe clinical signs in layers. Veterinary Microbiology 2006;118:169-176. 

  10. Kim KY, Ko HJ, Kim HT, Kim YS, Roh YM, Lee CM, Kim CN. Quantification of ammonia and hydrogen sulfide emitted from pig buildings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2008;88:195-202. 

  11. Kim KY, Ko HJ, Kim YS, Kim CN. Assessment of Korean farmer's exposure level to dust in pig buildings. Annals of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8;15:51-58. 

  12. Malin Karlsson, Anders Wallensten, Ake Lundkvist, Bjorn Olsen, Maria Brytting. A real-time PCR assay for the monitoring of influenza a virus in wild birds. Journal of Virological Methods 2007;144:27-31 

  13. Mayer D, Reiczigel J, Rubel F. A lagrangian particle model to predict the airborne spread of footand-mouth disease virus. Atmospheric Environment 2008;42:466-479. 

  14. Radon K, Weber C, Iversen M, Danuser B, Pedersen S, Nowak D. Exposure assessment and lung function in pig and poultry farmers.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1;58:405-410. 

  15. Rimac D, Macan J, Varnai VM, Vucemio M, Matkovic K, Prester L, Orct T, Trosic I, Pavicic I. Exposure to poultry dust and health effects in poultry workers: impact of mould and mite allergens. Interan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2010;83:9-19.. 

  16. Rodenburg TB, Tuyttens FA, Sonck B, De Reu K, Herman L, Zoons J. Welfare, health, and hygiene of laying hens housed in furnished cages and in alternative housing systems. Journal of Applied Animal Welfare Science 2005;8:211-226. 

  17. Thelin A, Tegler O, Rylander R. Lung reactions during poultry handling related to dust and bacterial endotoxin levels. European Journal of Respiratory Diseases 1984;65:266-271. 

  18. Tymczyna L, Chmielowiec-Korzeniowska A, Drabik A, Skorska C, Sitkowska J, Cholewa G, Dutkiewicz J. Efficacy of a novel biofilter in hatchery sanitation: II. Removal of odorogenous pollutants. Annals of Agricultur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007;14:151-157. 

  19. Ullman J. L, Mukhtar S, Lacey R. E, Carey J. B. A review of literature concerning odors, ammonia, and dust from broiler production facilities: 4. remedial management practices. Journal of Applied Poultry Research 2004;13:521-531. 

  20. Venter P, Lues JFR, Theron H. Quantification of bioaerosols in automated chicken egg production plants. Poultry Science 2004;83:1226-1231. 

  21. Wathes CM, Holden MR, Sneath RW, White RP, Phillips VR. Concentrations and emission rates of aerial ammonia, nitrous oxide, methane, carbon dioxide, dust and endotoxin in UK broiler and layer houses. British Poultry Science 1997;38:14-2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