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환자 특이형 외상후 성장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ncer-Specific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7 no.3, 2017년, pp.319 - 331  

정영미 (청주대학교 보건의료대학 간호학과) ,  박진희 (아주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cale to evaluate posttraumatic growth in patients with cancer and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Methods: A literature review, semi-structured patient interviews and an expert panel consultation produced a 27 preliminary i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암환자 특이형 외상후 성장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암환자의 외상후 성장을 민감하고 명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고찰 및 포커스 그룹과 일대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암환자의 외상후 성장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예비문항을 추출하여 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타당 도와 신뢰도를 검증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그 결과 ‘새로운 가능성’ 6문항, ‘대처기술’ 5문항, ‘삶의 소중함’ 5문항, ‘대인관계’ 4문항, ‘개인강점’ 3문항으로 총 23문항의 암환자 특이형 외상후 성장 측정도구가 개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암환자 특이형 외상후 성장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 즉 암환자의 외상후 성장 정도와 관련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근거 있는 중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암환자의 독특한 외상후 성장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외상후 성장측정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암환자의 외상후 성장의 구성요인을 확인하여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 암환자는 치료종료 후 지속되는 신체적 및 심리적 고통 속에서도 삶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적극적인 삶의 의지를 발휘하도록 하는 독특한 외상후 성장을 경험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위암, 대장암, 난소암, 자궁암,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외상후 성장의 구성요인을 확인하고 구성요인에 따라 도출된 문항을 토대로 암진단 시기부터 주치료가 종료하고 추적관리를 받는 시기에 있는 암환자의 외상후 성장을 측정할 수 있는 암환자 특이형 외상후 성장 측정도구를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암환자의 외상후 성장의 명확한 기전을 설명할 수 있는 중재가 개발되지 못하는 이유는? 또한 암환자가 외상후 성장을 이룰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암환자의 외상후 성장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효과적인 중재를 개발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오고 있으나 아직까지 일관된 결과가 부족하고[16] 명확한 기전을 설명할 수 있는 중재는 개발되지 못 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암환자의 건강관련 행동의 변화를 포함한 외상후 성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부재가 제기되면서 암환자 특이형 외상후 성장 측정도구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5,12,17]. 즉 암환자의 외상후 성장 정도와 관련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근거 있는 중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암환자의 독특한 외상후 성장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높은 외상후 성장측정도구의 개발이 요구된다.
암으로 인한 외상후 스트레스는 암환자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1~15.3%는 ‘암으로 인한 외상후 스트레스(cancer-related post-traumatic stress)’를 경험하는데[2] 외상후 스트레스는 암환자들이 치료과정을 견뎌내고 삶의 질을 유지하는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암환자로 살아가는데 필요한 희망과 대처능력 등을 저하시켜 극심한 무력감을 느끼게 한다[3].
외상이란 무엇인가? 외상은 ‘주관적으로 지각한 삶의 위기나 삶을 뒤흔들고 부정적 심리적 결과를 유발하는 아주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를 만들어 내는 사건’[1]으로 정신질환 진단 및 통계편람 4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IV)에서는 암과 치료를 외상으로 포함하였다[2]. 암환자 중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Tedeschi RG, Calhoun LG.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996;9(3):455-471. http://dx.doi.org/10.1002/jts.2490090305 

  2. Abbey G, Thompson SB, Hickish T, Heathcote D. A meta-analysis of prevalence rates and moderating factors for cancer-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sycho-Oncology. 2015;24(4):371-381. http://dx.doi.org/10.1002/pon.3654 

  3. Perez S, Galdon MJ, Andreu Y, Ibanez E, Dura E, Conchado A, et al.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in breast cancer patients: temporal evolution, predictors, and mediation.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014;27(2):224-231. http://dx.doi.org/10.1002/jts.21901 

  4. Jim HS, Jacobsen PB. Posttraumatic stres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survivorship: A review. Cancer Journal. 2008;14(6):414-419. http://dx.doi.org/10.1097/PPO.0b013e31818d8963 

  5. Morris BA, Shakespeare-Finch J, Scott JL. Posttraumatic growth after cancer: The importance of health-related benefits and newfound compassion for others. Supportive Care in Cancer. 2012;20(4):749-756. http://dx.doi.org/10.1007/s00520-011-1143-7 

  6. Tedeschi RG, Calhoun LG.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2004;15(1):1-18. http://dx.doi.org/10.1207/s15327965pli1501_01 

  7. Holtmaat K, van der Spek N, Cuijpers P, Leemans CR, Verdonck-de Leeuw IM. Posttraumatic growth among head and neck cancer survivors with psychological distress. Psycho-Oncology. 2017;26(1):96-101. http://dx.doi.org/10.1002/pon.4106 

  8. Stanton AL, Bower JE, Low CA, Calhoun LG, Tedeschi RG. Posttraumatic growth after cancer. In: Calhoun LG, Tedeschi RG, editors.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006. p. 138-175. 

  9. Silva SM, Moreira HC, Canavarro MC. Examining the links between perceived impact of breast cancer and psychosocial adjustment: The buffering role of posttraumatic growth. Psycho-Oncology. 2012;21(4):409-418. http://dx.doi.org/10.1002/pon.1913 

  10. Skaczkowski G, Hayman T, Strelan P, Miller J, Knott V. Complementary medicine and recovery from cancer: The importance of post-traumatic growth.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 2013;22(4):474-483. http://dx.doi.org/10.1111/ecc.12053 

  11. Jang SH, Lee HR, Yeu HN, Choi SO. The effect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meaning in lif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2014;14(2):100-108. http://dx.doi.org/10.5388/aon.2014.14.2.100 

  12. Park MH, Park JS. A meta-analysis of intervention research for posttraumatic growth in cancer patients. Asian Oncology Nursing. 2016;16(1):9-19. http://dx.doi.org/10.5388/aon.2016.16.1.9 

  13. Park CL, Cohen LH, Murch RL.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related growth. Journal of Personality. 1996;64(1):71-105. http://dx.doi.org/10.1111/j.1467-6494.1996.tb00815.x 

  14. Antoni MH, Lehman JM, Kilbourn KM, Boyers AE, Culver JL, Alferi SM, et al. Cognitive-behavioral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decrease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enhances benefit finding among women under treatment for early-stage breast cancer. Health Psychology. 2001;20(1):20-32. http://dx.doi.org/10.1037//0278-6133.20.1.20 

  15. Song SH, Lee HS, Park JH, Kim KH.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9;14(1):193-214. http://dx.doi.org/10.17315/kjhp.2009.14.1.012 

  16. Shand LK, Cowlishaw S, Brooker JE, Burney S, Ricciardelli LA. Correlates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nd growth in cancer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sycho-Oncology. 2015;24(6):624-634. http://dx.doi.org/10.1002/pon.3719 

  17. Roepke AM. Psychosocial interventions and posttraumatic growth: A meta-analysi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015;83(1):129-142. http://dx.doi.org/10.1037/a0036872 

  18. Yun M, Song M. A qualitative study on breast cancer survivors' experience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2013;10(1):41-51. 

  19. Danhauer SC, Russell G, Case LD, Sohl SJ, Tedeschi RG, Addington EL, et al. Trajectories of posttraumatic growth and associated characteristics in women with breast cancer.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015;49(5):650-659. http://dx.doi.org/10.1007/s12160-015-9696-1 

  20. Polit DF, Beck CT. The content validity index: Are you sure you know what's being reported? Critique and recommendations.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006;29(5):489-497. http://dx.doi.org/10.1002/nur.20147 

  21. DeVellis RF. Scale development: Theory and applications. 4th ed. Thousand Oaks, CA: Sage; 2016. p. 111-147. 

  22. National Cancer Information Center. 2013 5-year relative survival rate of major carcinoma [Internet]. Goyang: Author; 2015 [cited 2015 May 10]. Available from: http://www.cancer.go.kr/mbs/cancer/subview.jsp?idcancer_040302000000. 

  23. Pett MA, Lackey NR, Sullivan JJ. Making sense of factor analysis: The use of factor analysis for instrument development in health care research. Thousand Oaks, CA: Sage; 2003. p. 232-233. 

  24. Kang H. A guide on the use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construct valid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3;43(5):587-594. http://dx.doi.org/10.4040/jkan.2013.43.5.587 

  25. Ware JE Jr, Gandek B. Methods for testing data quality, scaling assumptions, and reliability: The IQOLA Project approach. International Quality of Life Assessment. Journal of Clinical Epidemiology. 1998;51(11):945-952. http://dx.doi.org/10.1016/S0895-4356(98)00085-7 

  26. Cella DF, Tulsky DS, Gray G, Sarafian B, Linn E, Bonomi A, et al.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eneral measur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1993;11(3):570-579. http://dx.doi.org/10.1200/jco.1993.11.3.570 

  27. Kim H, Yoo HJ, Kim YJ, Han OS, Lee KH, Lee JH,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functional assessment cancer therapy-general (FACT-G).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03;22(1):215-229. 

  28. Tomas-Sabado J, Villavicencio-Chavez C, Monforte-Royo C, Guerrero-Torrelles M, Fegg MJ, Balaguer A. What gives meaning in life to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 comparison between Spanish, German, and Swiss patients.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015;50(6):861-856. http://dx.doi.org/10.1016/j.jpainsymman.2015.06.015 

  29. McDonough MH, Sabiston CM, Wrosch C. Predicting changes in posttraumatic growth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breast cancer survivors: The role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Psycho-Oncology. 2014;23(1):114-120. http://dx.doi.org/10.1002/pon.3380 

  30. Im S. Psychometric heterogeneity of 'Spiritual Change' factor in PTGI: Exploring Korean percep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across religiosity.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2015;15(2):377-40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