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말소리와 음성과학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v.9 no.2, 2017년, pp.61 - 68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sodic aspects of ambiguous sentences in Korean produced by Chinese Korean Learners (L1: Chinese, L2: Korean). In Korean, sentence ambiguity can be caused by homonym or syntactically ambiguous structure. In spoken language however all ambiguity can be re...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중의성을 구분하면 무엇이있는가? | 중의성문장은 하나의 표면구조에서 둘 이상의 기저구조가 도출되어 문장의 의미가 두 가지 이상으로 해석되는 문장을 말한다. 중의성은 크게 어휘적 중의성과 통사적 중의성으로 구분되는데 어휘적 중의성은 어휘 차원의 중의성으로 주로 동음이의어에 의해 야기되며 구조적 중의성은 문장차원의 중의성으로 문장 구성 성분들 간의 수식 관계의 불명확성에 의해 야기된다. 한국어 어휘적 중의성을 유발하는 대표적 동음이의어로는 의문사와 부정사로 사용되는 누가, 언제, 어디, 무슨, 어떤 등이 있고 구조적 중의성은 크게 관형어구문과 부사어구문에 의한 중의성이 있다. | |
중의성문장이란 무엇인가? | 중의성문장은 하나의 표면구조에서 둘 이상의 기저구조가 도출되어 문장의 의미가 두 가지 이상으로 해석되는 문장을 말한다. 중의성은 크게 어휘적 중의성과 통사적 중의성으로 구분되는데 어휘적 중의성은 어휘 차원의 중의성으로 주로 동음이의어에 의해 야기되며 구조적 중의성은 문장차원의 중의성으로 문장 구성 성분들 간의 수식 관계의 불명확성에 의해 야기된다. | |
중국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중의성 문장의 발화양상은 피치 곡선을 중심으로 초점 단위의 피치 대역과 운율 구조를 통해 살펴본 결과는 무엇인가? | 분석 결과 대부분의 경우 중국인 학습자들은 비교적 복잡한 통사구조를 가진 중의성 문장 발화에서 각 문장이 내포하는 의미에 따라 유의미한 운율적 차이를 보이며 중의성 문장의 쌍을 발화하였다. 즉 의문사 의문문과 부정사 의문문은 초점단위와 초점해지 단위의 피치 대역 차이에 의해, 구조적 중의성 문장은 운율경계의 유형과 위치 차이에 의해 운율적으로 상이하게 발화되었다. |
Gussenhoven, C. (2002). Intonation and Interpretation: Phonetics and Phonology. Retrieved from http://www.isca-speech.org/archive_open/sp2002/sp02_047.html on April 28, 2017.
Hu, F. (2002). A prosodic analysis of wh-word in standard Chinese. Retrieved from http://www.isca-speech.org/archive open/sp2002/sp02_403.pdf on May 15, 2017.
Jun, S.-A. & Oh, M. (1996). A prosodic analysis of three types of wh-phrases in Korean. Language and Speech, 39(1), 37-61.
Jun, S.-A. (2000). Korean ToBI labeling convention. UCLA Working Papers in Phonetics, 149-173.
Kim, H., & Kim, J. (2000), A study on the distinction of ambiguity by pausing in modern Chinese.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and Literature, 73(4), 113-144. (김현철.김주형 (2012). 현대 중국어 끊어 읽기에 따른 중의성 구별. 중국어문학논집, 73(4), 113-114.)
Lee, H. (1996). Korean Phonetics. Seoul: Taehaksa. (이호영 (1996). 국어 음성학. 서울: 태학사.)
Lee, S. (2005). A study of the education on the structural ambiguity in the Korean language. M.A.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이성희 (2005). 국어의 구조적 중의성에 대한 교육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Oh, M. (2008). Prosody and information structure: Phonetic realization of focus and topic in Korean. Speech Sciences, 15(2), 7-19. (오미라 (2008). 운율과 정보구조: 한국어 초점과 주제의 음성적 실현. 음성과학, 15(2), 7-19.)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