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응급의료센터의 중독 환자에 있어 활성탄 투여 현황과 응급실 의료진의 인식
Survey of Activated Charcoal Administration for Poisoning Patients Visited in Emergency Medical Centers and Emergency Staff's Perception in Korea 원문보기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inical toxicology, v.15 no.1, 2017년, pp.17 - 23  

배성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최윤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  이덕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응급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ctivated charcoal (AC) has been widely used as a universal antidote. Currently, emergency medical centers in Korea cannot administer AC due to discontinuation of the supply of commercial ready-mixed AC suspen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portion of emergency medic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상품화된 활성탄(activated charcoal)의 공급 감소로 환자에게 투여를 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병원이 많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현재 응급의료기관들에서 활성탄의 투여 현황과 대체품의 사용 정도, 그에 따른 의료진의 활성탄 투여에 대한 인식 등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독이란? 중독은 약물이 신체 내에 과도하게 존재하여 여러 가지 부작용을 나타내는 상태로 가벼운 오심이나 구토, 두통, 복통에서부터 착각, 환각 등의 정신병적 상태를 나타내거 나 혼수상태와 사망에 까지 이르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중독은 응급실을 내원하는 환자의 흔한 원인 중 하나이다.
약물 중독 환자에 대한 초기 치료에는 무엇이 있는가? 약물 중독 환자에 대한 초기 치료로는 오염제거, 위비우기를 위한 위세척과 구토 유발 약물 적용, 위장관에서 독성 물질 흡착을 위한 활성탄 투여 등이 있다2). 활성탄은 비특이적 해독제로 약물의 종류나 음독 시간이 불분명한 경우의 중독 환자에게 우선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3).
활성탄은 특히 어디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가? Citalopram중독에서 4시간안에 활성탄을 투여할 경우 QT 연장의 위험성이 줄었다는 보고가 있다8). 특히 치명적인 심혈관계 합병증을 가져올 수 있는 칼슘차단제와 베타차단제, 삼환계 항우울제, 항경련제와 티오필린의 급성 약물 중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9). 답손의 과다 복용 환자의 경우 활성탄을 사용한 경우 환자 치료에 쓰인 메칠렌블루의 양이 유의미하게 적었다는 보고가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Division of Chronic Disease Control, Center for Disease Preventi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Emergency department based injury in-depth surveillance. 2006-2015 Statistics of injury type and Cause. 2016. p.14-5. 

  2. Kim KW, Yoon SK, Jung YS, Choi SC. Clinical toxicology. Koonja; 2006. p54-60. 

  3. Ghim BK, Choi SY, Kang IJ, Kang YJ, Kwon BS, Lee JE, et al. Association between nasogastric tube insertion and aspiration pneumonia in drug intoxication. Korean J Med 2010;78:87-94. 

  4. Juurlink DN. Activated charcoal for acute overdose: a reappraisal. Br J Clin Pharmacol 2016;81(3):482-7. 

  5. Olson KR. Activated charcoal for acute poisoning: one toxicologist's journey. J Med Toxicol 2010;6:190-8. 

  6. Chung SP, Hwang TS, Kim SH, Choi YH, Chang WJ, Oho JH. Comparison on the adsorptive capacity of Fuller's earth, Actidose $Aqua^{(R)}$ and activated charcoal. J Korean Soc Emerg Med 2000;11(1):137-43. 

  7. Corcoran G, Chan B, Chiew A. Use and knowledge of single dose activated charcoal: A survey of Australian doctors. Emerg Med Australas 2016;28(5):578-85. 

  8. Friberg LE, Isbister GK, Duffull SB. Pharmacokineticpharmacodynamic modelling of QT interval prolongation following citalopram overdoses. Br J Clin Pharmacol 2006;61(2):177-90. 

  9. Chang KS, Hwang SC, Lee DY, Sands CD, Clemmons RL, Jones DW et al. Effect of multiple dose oral activated charcoal on theophylline pharmacokinetics. Tuberc Respir Dis 1987;34(2):162-7. 

  10. Chung SP, Hwang TS, Choi SW, Kim SH, Lee SH. Acute dapsone intoxication. J Korean Soc Emerg Med 1997;8(2): 147-52. 

  11. You JS, Chung SP, Kim EC, Lee HS, Kim SH. Survey of the antidote stocking in the emergency medical centers in Korea. J Korean Soc Clin Toxicol 2007;5(2):106-11. 

  12. Chyka PA, Seger D. Position statement: single-dose activated charcoal. American Academy of Clinical Toxicology; european Association of Poisons Centres and Clinical Toxicologists. J Toxicol Clin Toxicol 1997;35:721-41. 

  13. Chyka PA, Seger D, Krenzelok EP, Vale JA. Position paper: Single-dose activated charcoal. Clin Toxicol 2005; 43(2):61-87. 

  14. Kim SH, Kang NR, Sohn I, Lee H, Lee YK, Song SH.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with chemical pneumonitis after aspiration of activated charcoal. Korean J Crit Care Med 2010;25(2):112-7. 

  15. Chyka PA, Seger D, Krenzelok EP, Vale JA. Position paper: Single-dose activated charcoal. Clin Toxicol 2005; 43:61-87. 

  16. Greene SL, Kerins M, O'Connor N. Prehospital activated charcoal: the way forward. Emerg Med J 2005;22(10): 73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