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건강한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와 우울증상의 연관성 :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
Gender Difference in Associations between Serum Cholesterol Levels and Depression Symptoms in Healthy General Population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5 no.1, 2017년, pp.27 - 32  

이소희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  박미나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  윤대현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  이영 (서울대학교병원 강남센터 헬스케어 연구소) ,  김선신 (서울대학교병원 헬스케어시스템 강남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울 증상과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의 연관성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건강검진을 받은 일반인 중 27,452명(남자 15,044명, 여성 12,40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대상자들의 벡우울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점수를 구하고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TC), 중성지방(Triglyceride, TG)),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을 분석하였다. 결과 남성은 총콜레스테롤(TC)과 벡우울척도(BDI) 점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중성지방(TG)은 벡우울척도(BDI) 점수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으며(r=0.020, p<0.01),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벡우울척도(BDI) 점수와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r=-0.016, p<0.01 ; r=-0.015, p<0.05) 여성의 경우도 총콜레스테롤(TC)과 벡우울척도(BDI) 점수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으며 중성지방(TG)은 벡우울척도(BDI)점수와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r=0.020, p<0.01)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과는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r=-0.019, p<0.01). 남성과 달리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결론 남녀 모두 중성지방(TG)이 높을수록,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C)이 낮을수록 우울 증상의 정도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에서만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이 낮을수록 우울 증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lipid profiles and depression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 Methods :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27,452 subjects(15044 men and 12408 women) who underwent health examination. The duration was from J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수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신뢰할만한 우울 증상 판별 척도를 활용하여 혈중콜레스테롤의 농도와 우울 증상과의 상관관계를 객관적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확인하고, 혈중 콜레스테롤의 종류별로 일반적 관리지침에서 농도를 관리하는 기준에 따라 우울 증상의 정도가 얼마나 다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우울 증상과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의 연관성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는 결과가 있으므로 남녀를 나누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와 관련된 정신질환은?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와 관련 있는 것으로 보고되는 대표적인 정신과적 질병 중 하나가 우울증이다. 우울증은 중요한 정신질환 중 하나이며 실직, 자살 등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심장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낮게 유지하는 방법은? 심장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중에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을 가능한 낮게 유지하도록 적극적으로 권유하는 치료적 가이드라인도 제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방을 제한한 식사 및 운동을 권유하며 상황에 따라 혈중 콜레스테롤을 떨어뜨리는 약물을 복용하기도 한다. 콜레스테롤은 신체 중에서 두뇌에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중추신경계의 신경세포들의 세포막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신경전달물질이 제대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이다.
콜레스테롤이 신체에서 하는 역할은? 콜레스테롤은 신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혈중 콜레스테롤 중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의 과다는 심혈관계 질환을 유발하며,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은(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은 심혈관계질환 예방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심장혈관질환을 예방하기 위하여 혈중 콜레스테롤 중에서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을 가능한 낮게 유지하도록 적극적으로 권유하는 치료적 가이드라인도 제시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ohn S, Dharwadkar K, Motagi MV. Study on association between lipid profile values and psychiatric disorders J Clin Diagn Res 2014;8:WC04-06. 

  2. Sahebzamani FM, D'Aoust RF, Friedrich D, Aiyer AN, Reis SE, Kip KE. Relationship among low cholesterol levels, depressive symptoms, aggression, hostility, and cynicism. J Clin Lipidol 2013;7:208-216. 

  3. Schatz IJ, Masaki K, Yano K, Chen R, Rodriguez BL, Curb JD. Cholesterol and all-cause mortality in elderly people from the Honolulu Heart Program: a cohort study. Lancet 2001;358:351-355. 

  4. Kale AB, Kale SB, Chalak SS, S RT, Bang G, Agrawal M, Kaple M. Lipid parameters-significance in patients with endogenous depression. J Clin Diagn Res 2014;8:17-19. 

  5. Park YM, Lee BH, Lee SH. The association between serum lipid levels, suicide ideation, and central serotonergic activity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J Affective Disord 2014;159:62-65. 

  6. Liang Y, Yan Z, Cai C, Jiang H, Song A, Qiu C. Association between lipid profile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Chinese older people: mediation by cardiovascular diseases? Int J Behav Med 2014;21:590-596. 

  7. Shin HY, Kang G, Kang HJ, Kim SW, Shin IS, Yoon JS, Kim JM. Associations between serum lipid levels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older people. J Affective Disord 2016;189:192-198. 

  8. Lee TY, Choi SM. Convergence study for relationship between cholesterol level on serum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15;13:269-276. 

  9. Ancelin ML, Carriere I, Boulenger JP, Malafosse A, Stewart R, Cristol JP, Ritchie K, Chaudieu I, Dupuy AM. Gender and genotype modulation of the association between lipid levels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in community-dwelling elderly(the ESPRIT study). Biol psychiatry 2010;68:125-132. 

  10. Kim J, Thompson EA, Walsh EM, Schepp KG. Trajectories of parent-adolescent relationship quality among at-risk youth: parental depression and adolescent developmental outcomes. Arch Psychiatr Nurs 2015;29:434-440. 

  11. LaRosa JC. Lipids and cardiovascular disease: do the findings and therapy apply equally to men and women? Womens Health Issues 1992;2:102-111; discussion 111-103. 

  12. Pulkki-Raback L, Elovainio M, Kivimaki M, Mattsson N, Raitakari OT, Puttonen S, Marniemi J, Viikari JS, Keltikangas-Jarvinen L. Depressive symptoms and the metabolic syndrome in childhood and adulthood: a prospective cohort study. Health Psychol 2009;28:108-116. 

  13. Rhee SJ, Kim EY, Kim SH, Lee HJ, Kim B, Ha K, Yoon DH, Ahn YM. Subjective depressive symptom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the general population. Prog Neuropsychopharmacol Biol Psychiatry 2014;54:223-230. 

  14. Beck AT, Ward CH, Mendelson M, Mock J, Erbaugh J.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 Gen Psychiatry 1961;4:561-571. 

  15. Lim SY, Lee EJ, Jeong SW, Kim HC, Jeong CH, Jeon TY, Yi MS, Kim JM, Jo HJ, Kim JB. The Validation study of Beck Depression Scale 2 in Korean version. Anxiety and Mood 2011;7:48-53 

  16. Almeida OP, Yeap BB, Hankey GJ, Golledge J, Flicker L. HDL cholesterol and the risk of depression over 5 years. Mol Psychiatry 2014;19:637-638. 

  17. Tedders SH, Fokong KD, McKenzie LE, Wesley C, Yu L, Zhang J. Low cholesterol i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mong US household population.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1;135:115-121. 

  18. Persons JE, Robinson JG, Coryell WH, Payne ME, Fiedorowicz JG. Longitudinal study of low serum LDL cholesterol and depressive symptom onset in postmenopause. The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2016;77:212-220. 

  19. Fang CY, Egleston BL, Gabriel KP, Stevens VJ, Kwiterovich PO, Jr, Snetselaar LG, Longacre ML, Dorgan JF. Depressive symptoms and serum lipid levels in young adult women.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013;36:143-152. 

  20. Kim EY, Kim SH, Ha K, Lee HJ, Yoon DH, Ahn YM. Depression trajectories and the association with metabolic adversities among the middle-aged adults. J Affective Disord 2015;188:14-21. 

  21. Stankovic S, Glisic S, Alavanatic D. The effect of a gender difference in the apolipoprotein E gene DNA polymorphism on serum lipid levels in a Serbian healthy population. Clin Chem Lab Med 2000;38:539-544. 

  22. Vitale C, Fini M, Speziale G, Chierchia S. Gender differences in the cardiovascular effects of sex hormones. Fundam Clin Pharmacol 2010;24:675-685. 

  23. Regitz-Zagrosek V, Lehmkuhl E, Mahmoodzadeh S. Gender aspects of the role of the metabolic syndrome as a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Gend Med 2007;4 Suppl B:S162-177. 

  24. Bayir H, Marion DW, Puccio AM, Wisniewski SR, Janesko KL, Clark RS, Kochanek PM. Marked gender effect on lipid peroxidation after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in adult patients. J Neurotrauma 2004;21:1-8. 

  25. Zelzer S, Fuchs N, Almer G, Raggam RB, Pruller F, Truschnig-Wilders M, Schnedl W, Horejsi R, Moller R, Weghuber D, Ille R, Mangge H.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 is a robust predictor of lipid peroxidation irrespective of gender, age, obesity, and inflammatory or metabolic biomarkers. Clin Chim Acta 2011;412:1345-1349.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