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래치료 명령제의 실효성과 외래 치료 순응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ffectiveness of Outpatient Treatment Orders and Compliance with Outpatient Treatment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5 no.1, 2017년, pp.46 - 55  

장승호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박인환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이상열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교실) ,  노수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서정석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외래치료명령제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특정한 외래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법에 의해 명령을 내리는 사회적 강제 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래치료명령제 및 정신질환자들의 치료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6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에서 11월까지 외래치료명령제 및 치료 순응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각 문항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초안을 작성하고 3명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및 1명의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의견 조회 과정을 거쳐서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설문에 응답한 대상자들의 답변을 기술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외래치료명령제의 실효성 점수에 대해서는 중앙값과 최고치, 최저치를 알아보았다. 결과 60명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중에서 45명(75.0%)이 외래치료명령제를 알고 있었지만, 지난 12개월 중에 이를 이용한 전문의는 2명(4.0%)이었고, 주관적 실효성 점수는 40점/100점으로 그 실효성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또한 재입원 환자 중 외래 치료를 지속적으로 받았던 환자의 비율은 37.7%, 외래치료를 임의 중단한 환자 비율은 53.1%로 임의 중단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이 더 높았다. 퇴원 환자 중에서는 약 2/3가량이 지속적인 치료를 받고 있었다. 임의로 치료를 중단한 환자의 관리방법으로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n=27)와 '파악하지 않음'(n=15)가 대부분이었지만 '정신건강증진센터 연락한다'는 의견은 2명으로 매우 저조하였다. 또한 임의 중단 환자에 대한 효율적인 조치로서는 '정신건강증진센터에 연계해야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n=30). 결론 현재 시행되는 외래치료명령제는 실효성이 낮고, 외래치료 환자의 치료순응도 또한 매우 저조하였다. 따라서 이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 제도적, 행정적 개선이 필요하며, 향후 정신건강증진센터의 역할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Outpatient treatment orders refer to a mandatory social program in which mentally ill persons are ordered by the court to participate in specified outpatient treatment program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outpatient treatment orders and adherence to outpati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외래치료명령제는 결국 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정신질환자가 순응하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는 제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래치료명령제와 치료 순응도에 대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의 설문을 바탕으로 향후 바람직한 외래치료명령제의 개선 및 치료순응도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외래치료명령제 및 정신질환자들의 치료순응도의 현황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에 참여한 60명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중에서 45명(75.
  •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바탕으로 외래치료명령제의 효율성 제고 및 치료 순응도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서는 환자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경청하고, 공감에 대한 적절한 표현도 요구된다. 치료를 통해 환자가 얻고자하는 바를 확인하고, 치료를 진행하는데 있어 장애가 될 수 있는 부분들을 확인할 수도 있겠다.22,23) 제도적인 측면에서는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비의 현실화가 요구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래치료명령제란? 연구목적 외래치료명령제는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이 특정한 외래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법에 의해 명령을 내리는 사회적 강제 제도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래치료명령제 및 정신질환자들의 치료 순응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60명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에서 11월까지 외래치료명령제 및 치료 순응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외래치료명령의 세 가지 범주는? 이론적으로 외래치료명령은 크게 세 가지 범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외래치료명령의 기준은 만족하지 않지만 정신질환의 과거력이나 입원을 경험한 환자에게 예방적 개념의 외래치료명령이 있다. 둘째, 보호의무자에 의해 동의 입원한 환자가 더 이상의 입원치료가 필요하지는 않지만 지속적인 치료적 접근이 요구될 때가 있는데, 이때 지역 사회에서 외래치료를 유지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 조건부 퇴원이라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호의무자에 의한 동의 입원 기준을 충족하는 환자에게 법원이 외래 치료를 받도록 명령함으로서 보완적인 치료적 개념을 갖는다고 할 수 있다.1)
치료감호법의 대상은? 현행법상 외래치료명령제와 유사한 법적 근원을 갖는 법률로는 치료감호법이 있다. 치료감호법상의 치료명령제는 형법 제10조 제2항에 따라 형이 감경되는 심신장애인으로서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죄를 지은 자, 또는 알코올을 식음하는 습벽이 있거나 그에 중독된 자로서 금고 이상의 형에 해당하는 죄를 지은 자 중 통원 치료를 받을 필요가 있고 재범의 위험성이 있는 자를 대상으로 한다(치료감호법 제2조의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ruce J Winick. Preventive outpatient commitment for person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Psychology, Public Policy and Law 2003;9:107. 

  2. Fernandez GA, Nygard S. Impact of involuntary outpatient commitment on the revolving-door syndrome in North Carolina. Hosp Comm Psychiatry 1990;41:1001-1004. 

  3. Swartz MS, Swanson JW, Wagner HR, Burns BJ, Hiday VA, Borum R. Can involuntary outpatient commitment reduce hospital recidivism?: Findings from a randomized trial with severely mentally ill individuals. Am J Psychiatry 1999;156:1968-75. 

  4. Hong JP, Lee DE, Kim BH, Choi YS, Suh TW, Kim JH, Park JI, Chung EK. Involuntary outpatient commitment-An aid for rehabilitation of the chronic mentally ill. J Korean Assoc Psychiatry 2001;6:58-64. 

  5. EJ Shin. The problem and the solution of involuntary admission of mental illness. Korean J Leg Med 2009;6:21-48. 

  6. Lee YJ, Yong HJ, Kim KW, Na RJ, Yi KK, Hwang TY, Lee JG, Hong JP. Enforcement reform measures of the order for medical treatment as outpatient in South Korea. J Korean Soc Biol Ther Psychiatry 2011;17:164-175. 

  7. De las Cuevas C. Towards a clarification of terminology in medicine taking behavior: compliance, adherence and concordance are related although different terms with different uses. Curr Clin Pharmacol 2011;6:74-77. 

  8. Berk M, Berk L, Castle D. A collaborative approach to the treatment alliance in bipolar disorder. Bipolar Disord 2004;6:504-518. 

  9. Horne R, Weinman J, Barber N, Elliott R, Morgan M, Cribb A, Kellar I. Concordance, adherence and compliance in medicine taking: Report for the National Coordinating Centre for NHS Service Delivery and Organization R&D(NCCSDO) London: NCCSDO;2005. 

  10. Berk L, Hallam KT, Colom F, Vieta E, Hasty M, Macneil C, Berk M. Enhancing medication adherence in patients with bipolar disorder. Hum Psychopharmacol 2010;25:1-16. 

  11. Hong JP, Kim CY. Course and outcome of schizophrenia. Korean J Psychopathol 1999;8:140-147. 

  12. You JH, Woo YS, Hahn C, Choi JW, Ko HJ. Predicting factors associated with drug compliance in psychiatric outpatients of a university hospital. Korean J Psychopharmacol 2010;21:29-34. 

  13. Scott J, Pope M. Self-reported adherence to treatment with mood stabilizer, plasma levels, and psychiatric hospitalization. Am J Psychiatry 2002;159:1927-1929. 

  14. Hirsch S, Barnes T. The clinical treatment of schizophrenia with antipsychotic medication. Oxford, UK: Blackwell Science;1995. 

  15. Robinson D, Woerner MG, Alvir JM, Bilder R, Goldman R, Geisler S, Koreen A, Sheitman B, Chakos M, Mayerhoff D, Lieberman JA. Predictors of relapse following response from a first episode of schizophrenia or schizoaffective disorder. Arch Gen Psychiatry 1999;56:241-247. 

  16. Weiden PJ, Korma Cf, Grogg A, Lockiear J. Partial compliance and risk of rehospitalisation among California Medicaid patients with schizophrenia. Psychiart Serv 2004;55:886-891. 

  17. Altman S, Haeri S, Cohen LJ, Ten A, Barron E, Galynker II, Duhamel KN. Predictors of relapse in bipolar disorder: a review. J Psychiatr Pract 2006;12:269-282. 

  18. Gonzalez-Pinto A, Mosqeura F, Alonso M, Lopez P, Ramirez F, Vieta E, Baldessarini RJ. Suicidal risk in bipolar I disorder patients and adherence to long-term lithium treatment. Bipolar Disord 2006;8:618-624. 

  19. Shin EJ. Outpatient treatment orders for mental health system. Korean J Leg Med 2010;6:55-77. 

  20. Seo MK. A Study on Out-Patient Treatment Order. Mental Health & Social Work 2010;35:111-140. 

  21. Sohn JH, Ahn SH, Sung SJ, Ryu JM, Park JE, Cho MJ. Efficacy of Case Management for the Community Dwelling Schizophrenia Patients: A 36-Month Prospective Follow-Up Study.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5;54:578-586. 

  22. Park M. Psychodynamic approach to improve the medication compliance. Korean J Biol Psychiatry 2002;8:40-45. 

  23. Deegan PE, Drake RE. Shared decision making and medication management in the recovery process. Psychiatr Serv 2006;57:1636-1639. 

  24. Moore ST. A social work practice model of case management: the case management grid. Soc Work 1990;35:444-448. 

  25. Burns T, Catty J, Dash M, Roberts C, Lockwood A, Marshall M. Use of intensive case management to reduce time in hospital in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systematic review and meta-regression. BMJ 2007;335:336. 

  26. Kwon IJ.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dissertation thesis]. Seoul: Yonsei University;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