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외래 환자 중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 MMPI-2-RF를 이용하여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sychiatric outpatients with High Suicide Risk : Using MMPI-2-RF 원문보기

精神身體醫學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28 no.1, 2020년, pp.8 - 19  

남지수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대호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김은경 (한양대학교 구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정신과 외래 환자 중 자살 고위험 집단인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및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의 감별 시 MMPI-2-RF가 변별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모든 대상자는 한양대학교 구리병원에 정신과적 진료를 내원한 환자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로부터 DSM-5에 근거한 진단을 받았고,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네 집단(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통제집단으로 일반 정신과 환자)으로 분류하였다. 총 112예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 통계 분석, 성별을 공변인으로 한 다변량 공분산분석(MANCOVA)를 통해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 과 연구 결과, 비임상군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존 선행 연구와 마찬가지로, 임상군인 정신과 외래 내원 환자들 중에서도 자살 고위험군이 저위험군에 비해 높은 정서적/내재화 문제(EID), 무력감/무망감(HLP), 자살/죽음 사고(SUI), 의기소침(RCd), 인지적 증상 호소(COG), 냉소적 태도(RC3), 역기능적 부정 정서(RC7)와 부정적 정서성/신경증(NEGE-r) 점수를 보였다. 하지만 자살에 대한 위험성이 높은 환자들을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를 시도하는 개인들 총 세 집단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세 집단 모두를 변별할 수 있는 변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다만, 자살 시도 집단 및 비자살적 자해 집단이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에 비해 높은 행동화/외현화(BXD), 반사회적 행동(RC4), 공격성(AGG) 등을 보였으나, 자살 사고 집단과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본 연구는 MMPI-2-RF가 임상군인 정신과 외래 내원 환자들 중 자살 위험이 높은 환자들을 자살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세 집단으로 구분했을 때, 이 세 집단을 변별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적 도구로써 기능할 수 있는지 확인해보고자 하였으나, 세 집단 모두를 변별해주는 요인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에, 세 집단 간변별에는 MMPI-2-RF가 진단적으로 유용하지 않을 것으로 시사된다. 다만, 자살 사고 집단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살 시도 및 비자살적 자해 집단에서는 통제군인 일반 정신과 환자들에 비해 높은 공격성과 행동화가 나타나, 자살 사고가 실제 자살 시도로 이행되는 과정에서 이러한 지표들이 위험성을 판단할 수 있는 조기변별 지표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MMPI-2-RF serves as a useful tool to differentiate between the subtypes of high risk of suicide among psychiatric outpatients. Methods :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the department of psychiatry of university hospital. Participants w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MMPI-2-RF의 각 척도에 따라,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일반 정신과 집단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각 척도의 T점수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남성이 여성에 비해 상당히 많은 점을 고려하여, 성별에 의한 영향력을 통제하여 다변량 공분산분석 (MANCOVA)을 실시하고, 사후분석으로 Bonferroni 방법을 사용하였다.
  • 현재까지 국내에서 임상군을 대상으로 MMPI-2-RF를 사용하여 자살에 대한 위험성이 높은 개인들을 평가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본 연구는 임상군인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에 내원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MMPI-2-RF를 사용하여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을 확인하고자 한국내 최초의 연구로 기존의 Moon 등26)의 비임상 집단에서의 연구 결과를 임상 집단에서도 반복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특히, 비자살적 자해에 대한 관심이 최근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 임상군에 대한 연구는 빈약하고 국내에서 실제 임상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4편에 불과하다는 한계가 존재해 왔다.
  • 본 연구는 정신건강의학과 외래에 내원한 자살 고위험 환자들을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총 세 집단으로 나누어 이들이 자살과 관련된 증상이 없는 자살 저위험 환자들과 MMPI-2-RF를 통해 비교하여 이들의 심리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 0을 사용하였고, 다음의 통계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MPI-2-RF의 T점수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우선 두 집단의 참여자 간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MMPI-2-RF의 상위차원 척도, 재구성 임상 척도, 특정 문제 척도가 자살 고위험 환자들인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집단을 변별할 수 있는 유용한 진단적 도구로써 활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자살 사고는 있으나 행동으로는 옮기지 않는 자살 사고 집단, 자살의 의도를 가지고 자살 시도를 하는 집단, 비자살적 자해 집단 등자살 관련 행동을 변별하는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하여 자살 관련 행동의 예방 및 치료에 적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살 관련 행동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여 임상 장면에서 치료적 개입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다면적 인성검사 시리즈는 국내 정신건강의학과 장면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객관적 심리검사 중 하나로, 이 중 상대적으로 연구된 바가 적은 MMPI-2-RF를 활용하여 자살 관련 행동을 변별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은 의의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임상집단인 정신과 외래 환자들을 자살 사고, 자살 시도, 비자살적 자해 집단과 자살 사고 및 자살 관련 행동을 보이지 않는 일반 정신과 환자 집단으로 분류하여 이들의 심리적 특성을 변별하는데 MMPI-2-RF가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7) 하지만 자살 관련 통계들은 자살 사고를 경험하는 개인 중 대략 10~20% 정도가 실제 자살을 시도한다는 것을 보여준다.8) 즉, 자살 사고를 경험하는 대다수의 사람들은 실제로 자살 행동에 이르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자살 사고를 가진 사람들 중 어떤 사람들이 실제 자살 시도를 하는지, 자살 사고에서 시도로 이어지는 과정에 기여하는 심리적 기제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은 아직까지 명확하지 않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 사고란? 이처럼 자살 시도는 일반적으로 자살사망의 위험 인자로 알려져 있고, 자살사망자에서 과거 자살 시도 경험의 빈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자살 사고는 자살을 행하는 것에 대한 생각이나 사고로 누구나 한번쯤 일시적으로 갖게 되는 ‘죽고 싶다’는 사고부터 정말 죽으려는 의도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까지 포함된다.5,6) 자살 사고는 자살행위 자체와는 분명 다른 속성을 가지지만 자살과 관련된 변인의 한 가지로서 자살 행동의 이전 단계라고 볼 수 있다.
MMPI-2-RF는 어떠한 구성방식을 가지고 있는가? 환자들의 자살 관련 행동과 관련된 심리적 특성을 확인 하기 위해 한국판 MMPI-2-RF 31)를 사용하였다. 이는 338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로 각 문항에 대해 ‘그렇다’ 혹은 ‘아니다’로 답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총 50개의 척도 및 소척도가 산출된다. 척도는 위계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고, 척도들 간의 개념적 중복이 최소화되도록 개발되었다. MMPI-2-RF는 8개의 타당도 척도와 3개의 상위차원 척도, 9개의 재구성 임상 척도, 23개의 특정 문제 척도(5개의 신체/인지 증상 척도, 9개의 내재화 척도, 4개의 외현화 척도, 5개의 대인관계 척도)와 2개의 흥미 척도, 5개의 성격병리 5요인 척도로 구성되어 있다.
다면적 인성검사 II의 문제점은? 한편, 다면적 인성검사 II(Minnesota Multiphasic Inventory-2)는 자살 위험성과 관련된 임상적 상태를 포괄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용도로 종종 사용되어 왔다. 다면적 인성검사 II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정신병리와 성격 특성, 다양한 심리적 문제들을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여 임상현장에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병원, 학교 등 다양한 장면에서 임상적 유용성이 반복 검증되었지만,27-29) 임상 척도들 간의 상관이 지나치게 높아 변별 타당도가 저하된다는 지적을 받아 오기도 하였다.30) 지난 2008년 출판된 다면적 인성검사 II 재구성판(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II Restructured Form)은 문항수를 축소하여 검사의 간결성을 높이고 다면적 인성검사 II판의 문제점으로 지적받아온 표집 오차와 이질적인 문항 내용 등을 보완하고 심리측정적인 안정성을 높이고자 하는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Weissman MM, Wolk S, Goldstein RB. Depressed adolescents grown up. JAMA Psychiatry 1999;281:1707-1713. 

  2. Joe S, Baser RS, Neighbors HW, Caldwell CH, Jackson JS. 12-Month and lifetime prevalence of suicide attempts among black adolescents in the national survey of american lif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2009;48:271-282. 

  3. Ma X, Xiang YT, Cai ZJ, Li SR, Xiang YQ, Guo HL, Hou YZ, Li ZB, Li ZJ, Tao YF, Dang WM, Wu XM, Deng J, Chan SS, Ungvari GS, Chiu HF. Lifetime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suicide plans and attempts in rural and urban regrion of Beijing, China. Aust N Z J Psychiatry 1999;43:158-166. 

  4. Lee JS, Choi JW, Park SB, Yoo HK, Hong JP. Preliminary study o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suicide attempters and suicide completers who had visited emergency room. J Korean Neuropsychiatr Assoc 2010;49:185-192. 

  5. O'carroll P, Berman A, Mosciki E. Beyond the tower of babel: a nonmenclature for suicidology. Suicide Life-Threatening Behaviors 1996;26:237-252. 

  6. White, JL. The troubled adolescent. New York: Pergamon Press;1989. 

  7. Kim H, Kim B. Verific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odel of suicidal ideation to its related variable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8;20:201-219. 

  8. Ryu S, You 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differentiating suicide attempters from ideators: an examination of acquired capability for suicide and temperament.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7;36:589-603. 

  9. Klonsky ED, May AM. Differentiating suicide attempters from suicide ideators: a critical frontier for suicidology research.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014;44:1-5. 

  10. Klonsky ED. The functions of deliberate self-injury: a review of the evidence. Clinical Psychology Review 2007;27:226-239. 

  11. Maninger KA. Psychoanalytic aspect of suicide.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1933;15:376-390. 

  12. Favazza AR. Bodies under siege: self-mutilation and body modification in culture and psychiatry.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1996. 

  13. Favazza AR, Rosenthal RJ. Diagnostic issues in self-mutilation, Hospital Community Psychiatry 1993;44:134-140. 

  14. Kahan J, Pattison E. Proposal for a distinctive diagnosis: the deliberate self-harm syndrome. Suicide and Life Threatening Behavior 1984;14:17-35. 

  15. Favazza AR, Conterio K. Female habitual self-mutilators.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989;79:283-289. 

  16. Walsh BW, Rosen PM. Self-mutilation: an Empirical Study.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Boston College Graduate School of Social Work;1988. 

  17. Favazza AR. The coming of age of self-mutilation. The Journal of Nervous & Mental Disease 1998;186:259-268. 

  18. Simeon D, Favazza AR. Self-injurious behaviors: Phenomenology and assessment, Arlington, VA, US: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2001. 

  19. Lee D, Ham K, Bae B. Self-Injurious Behaviors: Suicidal Self-Injury and Non-Suicidal Self-Injury i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16;28:1171-1192. 

  2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5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2013. 

  21. Seo M, Kim J, Lee T, Kim E.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nonsuicidal self-injury and recovery among adolescents with counseling experiences.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2019;20:179-207. 

  22. Joiner T. Why people die by suicide, Cambridge, Ma and London, England: Havard University Press;2007. 

  23. Klonsky ED, May AM, Glenn CR. The relationship between non-suicidal self-injury and attempted suicide: Conversing evidence from four sample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2013;122:231-137. 

  24. Seong Y, Bae Y, Kim S. Non-suicidal self-injury in south Korea: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from 2000 to 2018.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2019;19:251-280. 

  25. Van Orden KA, Witte TK, Cukrowicz KC, Braithwaite SR, Selby EA, Joiner TE. The interpersonal theory of suicide. Psychological Review 2010;117:575-600. 

  26. Moon K, Lee J, Heo J.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with suicide risk in MMPI-2-RF.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015;34:809-827. 

  27. Arbish PA, Ben-Porath YS, McNulty JL. Empirical correlates of common MMPI-2 two point codes in male psychiatric inpatients. Assessment 2003;10:237-247. 

  28. Archer RP, Griffin R, Aiduk R. MMPI-2 clinical correlates for ten common code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1995;65:391-407. 

  29. Sellbom M, Graham JR, Schenk PW. Symptom correlates of MMPI-2 scales and code types in a private-practice setting.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2010;84:163-171. 

  30. Tellegen A, Ben-Porath YS, McNulty JL, Arbisi PA, Graham JR, Kaemmer B. The MMPI-2 restructured clinical (RC) scales: Development, validation and interpretatio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2003. 

  31. Han K, Moon K, Lee J, Kim J. MMPI-2-RF: technical manual. Maumsarang, Inc;2011. 

  32. Tellegen A, Ben-Porath YS. MMPI-2-RF: technical manual.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2008. 

  33. Lee J, Moon K, Heo J.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MMPI-2 profile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Human Understanding and Counseling 2012;33:53-69. 

  34. Kopper BA, Osman A, Barrios FX. Assessment of suicidal ideation in young men and women: The incremental validity of the MMPI-2 content scales. Death Studies 2011;25:593-607. 

  35. Sepaher I, Bonger B, Greene RL. Code-type base rates for the "I mean business" suicide items on the MMPI-2.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99;55:1167-1173. 

  36. Tak C, Yoon B, Kim K, Sea Y, Jung H, Song J, Park S, Park J. Predictive factors of self-injurious behavior with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Mood and Emotion 2017;15:149-155. 

  37. Shin YM, Chung YK, Lim KY, Lee YM, Oh EY, Cho SM. Childhood predictors of deliberate self-harm behavior and suicide ideation in korean adolescents: A prospective population based follow-up study.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09;24:215-222. 

  38. Beck AT, Steer RA. Manual for Back Scale for Suicide Ideation.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1991. 

  39. Koo H, Cho H, Lee J. The mediating effect of maladpa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negative affec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hood emotional abuse experience, affect intensity and self-harm.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2014;14:191-216. 

  40. Kong S, Lee J, Shin M. Impact of childhood trauma on selfharm behavior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conflic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9;18:31-40. 

  41. Verrocchio MC, Carrozzino D, Marchetti D, Andreasson K, Fulcheri M, Bech P. Mental pain and suicide: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Frontier Psychiatry 2016;7:article 108. 

  42. Soumani A, Daigos D, Oulis P, Masdrakis V, Ploumpidis D, Mavreas V. Mental pain and suicide risk: application of the Greek version of the Mental Pain and the Tolerance of Mental Pain scale. Psychiatriki 2011;22:330-340. 

  43. Beck AT, Brown G, Steer RA. Prediction of eventual suicide in psychiatric inpatients by clinical ratings of hopelessnes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019;57:309-310. 

  44. Park K. The Moderating and mediating effects of problem solving and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life stress and depression.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2004;9:265-283. 

  45. Stilley CS, Sereika S, Muldoon MF, Ryan CM, Dunbar-Jacob J. Psychological and cognitive function: Predictors of adherence with cholesterol lowering treatment. Annals of Behavior Medicine 2004;27:117-124. 

  46. Wilson RS, Schneider JA, Boyle PA, Arnold SE, Tang Y, Bennett DA. Chronic distress and incidence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Neurology 2007;68:2085-2092. 

  47. Elderkin-Thompson V, Mintz J, Haroon E, Lavretsky H, Kumar A. Executive dysfunction and memory in older patients with major and minor depression. Archives of Clinical Neuropsychology 2007;22:261-270. 

  48. Bridge JA, Goldstein TR, Brent DA. Adolescent suicide and suicidal behavior.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2006;47:372-394. 

  49. Hills AL, Afifi TO, Cox B, Bienvenu OJ, Sareen J. Externalizing psychopathology and risk for suicide attempt: Cross-sectional and longditudinal findings from the baltimore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tudy.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2009;197:293-297. 

  50. Jung J, Kim H, Sakong J, Sung H, Lee E, Shin I, Kim J. Suicidality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the impact of psychiatric comorbidity.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12;51:85-9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