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리수 개념에 관한 학생의 오류와 어려움 해석에 필요한 교사지식
Teacher Knowledge Necessary to Analyze Student's Errors and Difficulties about the Concept of Irrational Numbers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9 no.2, 2017년, pp.319 - 343  

강향임 (한국교원대학교) ,  최은아 (우석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학생들의 오류에 대한 교사의 정확한 해석과 설명은 이후 교수학적 처치의 방향을 결정한다. 학생들의 개념적 학습의 어려움을 진단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는 교사지식은 전문내용지식(SCK)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무리수 개념과 표현에 관한 학생들의 반응에 대한 교사들의 해석과 설명을 분석하여 무리수 개념에 관한 학생의 오류와 어려움 해석에 필요한 교사들의 SCK의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무리수의 개념과 표현에 대한 학생들의 오류가 반영된 교사용 질문지를 개발하여 세 명의 현직교사에게 적용하는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이 제시한 무리수 표현의 집중과 간과 현상을 해석하는 과정에서 발현된 SCK는 근호라는 기호 표현에 고착된 특징이 있다는 것과 유 무리수 판단 기준에 대해서 교사들도 학생들과 마찬가지로 '분수 표현'과 '소수 표현'이 동시에 제시된 상황에서 소수 표현에 더 집중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또한 오류를 해석하는 교사들의 수학적 판단이 학생들의 반응에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과 무리수의 수직선 표현으로의 번역에 대한 해석에는 무리수의 개념-과정 관점과 실무한의 관점에 대한 내용지식이 가장 중요한 내용지식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hope to reveal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SCK) and its features necessary to analyze student's errors and difficulties about the concept of irrational numbers. The instruments and interview were administered to 3 in-service mathematics teachers with various education background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이 무리수의 개념을 어려워하는 본질적인 원인은? Gray & Tall(1994)은 무리수를 과정-개념(procept)으로 설명한다. 과정-개념이라는 무리수의 이중적이고 모호한 속성은 무리수 개념 이해의 어려움을 야기하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교사들의 유ㆍ무리수 판정에 대한 오류 해석에서 학생들의 반응에 영향을 받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어떤 경험이 필요한가? 학생들이 유리수를 무리수로 판단하는 오류를 범하거나 유리수라고 판단했지만 잘못된 기준을 적용하였을 때, 교사들이 이러한 오류를 해석하고 설명하는 내용이 학생의 오류의 범주를 과감히 벗어나지 못하고 그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교사들이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오류에 대해 유연한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오류와 어려움을 수학적으로 해석하는 경험과 해석 결과를 수업에 적극 활용해보는 경험이 충분히 제공될 필요가 있다.
NCTM(2007)는 수학적 표현을 어디에서 중요하게 취급하고 있는가? NCTM(2007)은 과정 규준 중의 하나인 수학적 표현(representation)을 수학적 개념의 학습, 수학적 개념 간의 연결성 인식, 의사소통과정, 수학적 모델링과 문제해결 과정에서 중요하게 취급하고 있다. 표현은 개념적 이해를 형성하는 수단(Zazkis & Sirotic, 2010)이며, 한 개념에 대한 다양한 표현 간의 자유로운 번역 능력은 개념적 이해의 증거이다(Lesh, Behr & Post, 198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영란, 조정수, 김진환(2012). 분수 나눗셈의 문장제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전문화된 내용지식(SCK) 분석. 수학교육논문집, 26(3), 301-316. 

  2. 강정기(2016). 표기 관점에서 무리수 개념 학습의 어려움과 대안.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9(1), 63-82. 

  3. 강향임, 최은아(2015). 비와 비율에 관한 학생의 오류와 어려움 해결을 위해 필요한 교사지식. 학교수학, 17(4), 613-632. 

  4. 김효영(2007). 무리수의 개념과 성질 및 계산과 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분석 : 중학교 3학년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변희현, 박선용(2002). 무리수의 개념적 측면을 강조한 교육방안. 학교수학, 4(4), 643-655. 

  6. 이선비(2013). 예비 중등 교사들의 무리수에 대한 이해.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6(3), 499-518. 

  7. 이지현(2015). 유리수와 무리수의 합집합을 넘어서: 실수가 자명하다는 착각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가?. 수학교육학연구, 25(3), 263-279. 

  8. 이영란, 이경화(2006). Freudenthal 의 수학화 학습지도론에 따른 무리수 개념 지도 방법의 적용 사례. 수학교육학연구, 16(4), 297-312. 

  9. 이지원(2008). 무리수 개념의 이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최은아, 강향임(2016). 예비교사의 무리수의 개념과 표현에 대한 이해. 학교수학, 18(3), 647-666. 

  11. 한혜숙(2016). 예비수학교사의 MKT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논문집, 30(1), 101-120. 

  12. Adams, T. I. (1998).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s subject matter knowledge: The real number system. Action in Teacher Education, 20(2), 35-48. 

  13. Ball, D. L., Hill, H. C., & Bass, H. (2005). Knowing mathematics for teaching: Who knows mathematics well enough to teach third grade, and how can we decide?. American Educator, 29(1), 14-46. 

  14.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What Makes It Special?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15. Ding, M. (2008). Teacher knowledge necessary to address student errors and difficulties about equivalent fractions. In Kulm, G. (Ed.), Teacher Knowledge and Practice in Middle Grades mathematics. (pp. 147-171). Rotterdam, Netherlands: Sense. 

  16. Fischbein, E., Jehiam, R., & Cohen, C. (1995). The concept of irrational number in high school students and prospective teacher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9, 29-44. 

  17. Gray, E. M., & Tall, D. O. (1994). Duality, ambiguity, and flexibility: A " proceptual" view of simple arithmetic.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16-140. 

  18. Janvier, C. (1987). Re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The notion of function as an example. In C. Janvier (Ed.), Problems of representa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pp. 67-72). Hillsdale, NJ: Erlbaum. 

  19. Kapur, M. (2014). Productive Failure in Learning Math. Cognitive Science Society, 38, 1008-1022. 

  20. Lamon, S. J. (2001). Presenting and representing: From fractions to rational numbers. In A. Cuoco (Ed.), The roles of representation in school mathematics (pp. 146-165).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1. Lesh, R., Behr, M., & Post, M. (1987). Rational number relations and proportions. In C. Janvier (Ed.), Problems of representation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mathematics (pp. 41-58). Hillsdale, NJ: Erlbaum. 

  22. Ma, L. (1999). Knowing and teaching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fundamental mathematics i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Mahwah, NJ: Erlbaum. 

  23.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07). 학교수학을 위한 원리와 규준. (류희찬, 조완영, 이경화, 나귀수, 김남균, 방정숙 공역), 서울: 경문사. (영어 원작은 2000년 출판). 

  24. Peled, I., & Hershkovitz, S. (1999). Difficulties in knowledge integration: Revisiting Zeno's paradox with irrational number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0(1), 39-46. 

  25. Peng, A., & Luo, Z. (2009). A framework for examining mathematics teacher knowledge as used in error analysis. For the Learning of Mathematics, 29(3), 22-25. 

  26. Sfard, A. (1989). Transition from Operational to Structural Conception: The notion of function revisited. Proceedings of PME XIII, Paris, 151-158. 

  27. Shalem, Y., Sapire, I., & Sorto, M. A. (2014). Teachers' explanations of learners' errors in standardised mathematics assessments: original research. Pythagoras, 35(1), 1-11. 

  28. Sirotic, N., & Zazkis, R. (2007b). Irrational numbers: The gap between formal and intuitive knowledge.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65, 49-76. 

  29. Tall, D. (1991). Reflections, in Tall D. O. (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pp. 251-259). Kluwer: Holland. 

  30. Thompson, P. W., & Thompson, A. G. (1994). Talking about rates conceptually, part I : A teacher's struggl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5(3), 279-303. 

  31. Zazkis, R. (2005). Representing numbers: Prime and irrational.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6(2-3), 207-218. 

  32. Zazkis, R., & Sirotic, N. (2010). Representing and Defining Irrational Numbers: Exposing the Missing Link. CBMS Issues in Mathematics Education, 16.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