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리수와 무리수의 합집합을 넘어서: 실수가 자명하다는 착각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날 수 있는가?
Beyond the Union of Rational and Irrational Numbers: How Pre-Service Teachers Can Break the Illusion of Transparency about Real Numbers? 원문보기

數學敎育學硏究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v.25 no.3, 2015년, pp.263 - 279  

이지현 (인천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리수에서 실수로의 확장 혹은 무리수의 존재성을 수학적으로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완비성 공리가 필요하므로, 실수의 도입은 학교수학에서 가장 가르치기 어려운 주제 중 하나이다. 이 연구에서는 실수를 '유리수와 무리수의 합집합'으로 정의하는 학교수학의 교수학적 변환이 어떠한 교수학적 공백을 남겨놓을 수 있는지를 살펴보고, 유리수에서 실수로의 수 체계 확장의 이유, 임의의 비순환 무한소수의 존재 이유 등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설명을 분석하여 대학수학의 학습에도 불구하고 예비교사들의 실수에 대한 피상적인 이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였다. 교수학적 공백을 인식하고 학교수학과 대학수학을 연결함으로서, 예비교사들이 실수 개념이 자명하다는 착각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날 수 있었는지를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roduction of real numbers is one of the most difficult steps in the teaching of school mathematics since the mathematical justification of the extension from rational to real numbers requires the completeness property. The author elucidated what questions about real numbers can be unanswer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0.101001000 ⋯가 단지 두 유리수 사이에 있는 유리수 아닌 수라는 점만을 지적했던 다른 예비교사들과 달리, W는 다음과 같이 서로 다른 유리수 사이에는 항상 이와 같이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가 있으므로 “수직선을 가득 채우려면” 이러한 순환하는 무한소수를 이용하여 채워야 한다고 연속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유리수에서 실수로의 수 체계 확장의 이유, 혹은 임의의 비순환 무한소수의 존재이유(raison d'être) 등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살펴봄으로서 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었던 실수에 대한 자명성의 착각을 구체적으로 확인한다. 또 교수학적 공백을 인식하고 이를 통하여 학교수학과 대학수학을 연결함으로서, 예비교사들이 실수 개념이 자명하다는 선입견으로부터 벗어나는 과정을 분석 및 논의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유리수에서 실수로의 수 체계 확장의 이유, 혹은 임의의 비순환 무한소수의 존재이유(raison d'être) 등을 어떻게 설명하는지를 살펴봄으로서 예비교사들이 가지고 있었던 실수에 대한 자명성의 착각을 구체적으로 확인한다.

가설 설정

  • 위로 유계인 임의의 무한소수 부분집합 A의 최소상계는 다음과 같이 무한소수 전개를 이용하여 찾을 수 있다. 이때 일반성을 잃지 않고, A가 적어도 하나의 양수를 포함한다고 가정하자. 집합 A가 유계이므로, A에 속한 무한소수들의 정수부분 최댓값을 a0라 하자.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리수에서 실수로의 수 체계 확장이 학교 수학에서 가르치기 어려운 이유는? 정수ㆍ유리수ㆍ복소수는 사칙연산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는 산술적 필요성 혹은 방정식의 근이라는 대수적 필요성으로 학교수학 수준에서도 그 존재 이유를 수학적으로 충분히 설명할 수 있다. 반면 무리수의 존재 이유를 수학적으로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학교수학의 범위를 벗어나는 완비성 공리가 필요하므로, 유리수에서 실수로의 수 체계 확장은 학교수학에서 가장 가르치기 어려운 주제 중 하나이다(Forbes, 1967). 교수학적 난점에도 불구하고 실수는 학교수학에서 안 가르칠 수 없는 필수불가결한 주제인데, 학교수학에서는 (유리수가 아닌) ‘순환소수로 나타낼 수 없는 무한소수’ 혹은 ‘(넓이가 2가 되는 정사각형의 한 변의 길이  \( \sqrt{2}\)와 같은) 제곱근’으로 무리수의 존재를 직관적으로 정당화하고 있다.
브라질 중고등교과서에서는 무리수와 실수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236-239)는 브라질 중고등교과서 14종에서의 실수의 도입을 분석하였다. 우리 교과서와 마찬가지로, 브라질 교과서에서도 무리수를 ‘분수로 나타낼 수 없는 수(DA)’ 혹은 ‘순환하지 않는 무한소수로 나타나는 수(DB)’로, 실수는 ‘유리수 혹은 무리수’로 정의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연구자들은 무리수 정의 DA와 DB는 각각 ‘분수가 아닌 수’ 혹은 ‘비순환 무한 소수 표상’을 갖는 수의 존재성을 확립하기 보다는 가정하고 있으며, 두 정의 모두 이미 존재한다고 가정하는 수 집합(즉, 다름 아닌 실수 집합)의 특정 부분집합을 무리수라고 명명하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고 지적한다.
교수학적 변환이란? Bronner(1997), González-Martín, Giraldo, Souto (2013)는 학교수학의 교수학적 변환이 실수 개념 도입에서의 난점을 간과하거나 혹은 단순히 우회한다는 것을 ‘교수학적 공백’이라는 용어로 지적하였다. 교수학적 변환은 어떤 지식이 창조ㆍ설계ㆍ선택ㆍ사용될 때부터 어떤 특정 제도(institution)에서 실제로 가르쳐질 때까지 지식이 겪게 되는 변화를 말한다. Chevallard는 ‘교수학적 변환’을 가르칠 지식이 ‘자명하다는 착각(illusion of transparency)’, 즉 사물이나 사실을 기지의 것으로 무비판적으로 수용하는 태도에서 벗어나기 위한 분석적 도구로 고안하였다(Wozniak, Bosch, Artaud, 20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교육인적자원부(2008).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6-75호 및 제2007-79호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 수학, 과학, 기술.가정. 

  2. 김서령 외(2014). 중학교 수학 2. 서울: 천재교육. 

  3. 김성기, 김도한, 계승혁(2004). 해석개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4. 김흥기(2004). 중학교에서 순환소수 취급과 무리수 도입에 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14(1), pp.1-17. 

  5. 이준열 외(2012). 중학교 수학 3. 서울: 천재교육. 

  6. 이지현(2014). 무한소수 기호: 불투명성과 투명성, 수학교육학연구, 24(4), pp. 587-597. 

  7. 조한혁, 최영기(1999). 정적 동적 관점에서의 순환소수. 학교수학, 1(2), pp. 605-615. 

  8. 최용준 외(2011). 중학교 수학 3. 서울: 천재교육. 

  9. Abian, A. (1981). Calculus must consist of the study of real numbers in their decimal representation and not of the study of an abstract complete ordered field or nonstandard real numbers.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12(4), pp. 465-472. 

  10. Bergsten, C., Jablonka, E., & Klisinska, A. (2010). A remark on didactic transposition theory. I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Cultural and social dimensions: Proceedings of MADIF7, The Seventh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Seminar, Stockholm, January 26-27. 2010. Linkoping: Svensk forening for matematikdidaktisk forskning (SMDF). 

  11. Bloch, E. D.(2011). The real numbers and real analysis. New York: Springer. 

  12. Bronner, A. (1997). Les rapports d'enseignants de troisieme et de seconde aux objets > et >. Recherches en didactique des mathematiques, 17(3), 55-80. 

  13. Burns, R. P.(2000). Numbers and functions: steps to analysi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Djebali, S. (2004). The practice of teaching tertiary mathematical analysis. discussion document. 

  15. Ervynck, G. (1994). Students' conceptions of infinity in the calculus. Problems, Resources, and Issues in Mathematics Undergraduate Studies, 4(1), 84-96. 

  16. Fischbein, E., Jehiam, R., & Cohen, D. (1995). The concept of irrational numbers in high school students and prospective teacher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9(1), pp. 29-44. 

  17. Forbes, J. E. (1967). The most difficult step in the teaching of school mathematics: from rational numbers to real numbers-with meaning.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67, pp. 799-813. 

  18. Furinghetti, F. (2000). The history of mathematics as a coupling link between secondary and university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31(1), 43-51. 

  19. Klein, F.(1908). Elementary Mathematics from an Advanced Standpoint: arithmetic, algebra, analysis. Cosimo, Inc. 

  20. Korner, T. W. (2003). A companion to analysis: a second first and first second course in analysis (Vol. 62). Providence, R.I. : American Mathematical Soc. 

  21. Li, L.(2011). A new approach to the real numbers. available at http://arxiv.org/abs/1101.1800. 

  22. Gonzalez-Martin, A. S., Giraldo, V., & Souto, A. M. (2013). The introduction of real numbers in secondary education: an institutional analysis of textbooks.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5(3), 230-248. 

  23. Rudin, W. (1976). Principles of mathematical analysis (Vol. 3). New York: McGraw-Hill. 

  24. Savizi, B., Semnani, A. S., Zadeh, M. H. B.(2013). Inconsistency of students' mental object of numbers with irrational numbers, Life Science Journal, 10(1), pp.762-771. 

  25. Wozniak, F., Bosch, M., Artaud, M.(2015). The anthropological theory of the didactic. (http://www.ardm.eu/contenu/yves-chevallard-english) 

  26. Zazkis, R., & Sirotic, N. (2010). Representing and defining irrational numbers: exposing missing link. CBMS Issues in Mathematics Eduction 16.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