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studies on Essential Tremor (ET)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Methods: We reviewed papers in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from 2007~2016. Search keywords were 原发性震颤, 特发性震颤, essential tremor and idiopathic tremor, and excl...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studies on Essential Tremor (ET)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Methods: We reviewed papers in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from 2007~2016. Search keywords were 原发性震颤, 特发性震颤, essential tremor and idiopathic tremor, and excluded non-clinical studies, non-related to ET or TCM studies, theses for degrees and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The quality of the articles was assessed by Jadad scale and the Risk of Bias (RoB). Results: Thirteen studies were selected.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ET' was most frequently used as diagnostic criteria. 'Tremor rating scale' was primarily used for outcome measurement. Meta-analysis of nine trials revealed the effective rate of acupuncture and Western medicine (WM+Acu)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WM group (RR: 1.48, 95 percent CI: 1.20 to 1.82, p=0.0002, $I^2=0$ percent) and tremor rating scale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MD: -1.35, 95 percent CI: -2.17 to -0.54, p=0.001, $I^2=0$ percent). Also, effective rates of Electro-acupuncture (EA) and Chinese herbal medicine (CHM)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WM group {(RR: 1.53, 95 percent CI: 1.22 to 1.92, p=0.0003, $I^2=0$ percent) in EA vs. WM and (RR: 1.35, 95 percent CI: 1.16 to 1.57, p<0.0001, $I^2=0$ percent) in CHM vs. WM}. However, the quality of selected clinical studies was poor. Conclusions: Treatment of ET in TCM may be more effective and safe than in Western medicine. Therefore, we hope this study will lead to further clinical research on treatment of ET in Korean medicine.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view studies on Essential Tremor (ET)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TCM). Methods: We reviewed papers in the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CNKI) from 2007~2016. Search keywords were 原发性震颤, 特发性震颤, essential tremor and idiopathic tremor, and excluded non-clinical studies, non-related to ET or TCM studies, theses for degrees and non-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The quality of the articles was assessed by Jadad scale and the Risk of Bias (RoB). Results: Thirteen studies were selected.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ET' was most frequently used as diagnostic criteria. 'Tremor rating scale' was primarily used for outcome measurement. Meta-analysis of nine trials revealed the effective rate of acupuncture and Western medicine (WM+Acu)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WM group (RR: 1.48, 95 percent CI: 1.20 to 1.82, p=0.0002, $I^2=0$ percent) and tremor rating scale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MD: -1.35, 95 percent CI: -2.17 to -0.54, p=0.001, $I^2=0$ percent). Also, effective rates of Electro-acupuncture (EA) and Chinese herbal medicine (CHM)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WM group {(RR: 1.53, 95 percent CI: 1.22 to 1.92, p=0.0003, $I^2=0$ percent) in EA vs. WM and (RR: 1.35, 95 percent CI: 1.16 to 1.57, p<0.0001, $I^2=0$ percent) in CHM vs. WM}. However, the quality of selected clinical studies was poor. Conclusions: Treatment of ET in TCM may be more effective and safe than in Western medicine. Therefore, we hope this study will lead to further clinical research on treatment of ET in Korean medicin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반면 중의학 분야에서는 본태성 진전에 대한 연구가 국내 보다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태성 진전에 대한 중의학 치료의 임상연구의 현황을 분석 및 해당 연구의 비뚤림 평가를 수행하여, 이후의 국내 한의학에서의 임상연구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제안 방법
검색범위를 중의학(中醫學), 중약학(中藥學), 중서의결합(中 西醫結合)으로 제한하였고, 검색식으로 (SU=原发性震颤+ 特发性震颤+‘essential tremor’+‘idiopathic tremor’)을 사용하여 본태성 진전에 관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과 논문 선별은 2명의 연구자(ARS, YRB)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루어졌고, 검색 후 결과를 상호 비교하여 검색 에서 배제되는 논문이 없도록 하였다. 논문의 전문 확보 후선별할 때는 2명의 연구자가 합의를 통해 선정 여부를 결정 하였으며, 연구자간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제 3의 연구자(SHL)의 자문을 구하여 선정, 배제 여부를 결정하였다.
독립된 연구자 2명(ARS, YRB)이 선정된 논문들로부터, 연구 대상자, 중재방법, 진단도구, 평가지표, 주요결과, 이상 반응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표로 정리하였다. 내용에 대한 연구자 간의 의견이 불일치하는 경우 제 3의 연구자(SHK) 의 자문을 구하여 최종 합의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무작위 대조군 연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Jadad Scale과 Cochrane Library에서 제공하고 있는 Risk of Bias 평가도구를 2명의 저자(JYL, ARS)가 독립적 으로 사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이견이 있는 경우 연구자간의 토의와 합의를 통해 조정하였다. 토론과 합의를 통해 일치하지 않은 경우 제 3의 연구자(JHL)의 자문을 구하여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무작위 대조군 연구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서 Jadad Scale과 Cochrane Library에서 제공하고 있는 Risk of Bias 평가도구를 2명의 저자(JYL, ARS)가 독립적 으로 사용하여 평가를 진행하였으며, 이견이 있는 경우 연구자간의 토의와 합의를 통해 조정하였다. 토론과 합의를 통해 일치하지 않은 경우 제 3의 연구자(JHL)의 자문을 구하여 결정하였다.
진전증상의 개선을 판단하기 위한 평가도구로는 ‘Tremor rating scale(震顫評 分)’ 43) 사용한 연구가 7편으로 가장 많았고 ’The revised WHIGET (Washington Heights–Inwood Genetic Study of Essential Tremor) Tremor Rating Scale’ 44,45) 을 사용한 연구가 3편이였다. 그 외 논문에서는 임상증상의 개선 정도에 따라 4단계(전유; 진전증상소실, 현효; 진전등급이 2단계 감소하거나 1단계 내려감과 동시에 진전부위 1개 감소, 유효; 진전등급이 1단계 감소하거나 진전부위 감소 1개, 무효; 진전등급 증가 또는 변화없음), 혹은 3단계(현효; 증상이 기본적으로 소실, 유효; 증상이 현저히 감소, 무효; 개선없음) 로 유효율을 평가하였다.
유효성 평가를 위하여 중재와 평가지표가 동일한 RCT 연구들을 양적 합성하였다. 침과 양약 병용치료, 양약 대조군을 비교한 연구 3편, 전침과 양약을 비교한 연구 2편, 한약과 양약을 비교한 연구 4편의 결과를 합성하였다.
유효성 평가를 위하여 중재와 평가지표가 동일한 RCT 연구들을 양적 합성하였다. 침과 양약 병용치료, 양약 대조군을 비교한 연구 3편, 전침과 양약을 비교한 연구 2편, 한약과 양약을 비교한 연구 4편의 결과를 합성하였다.
또한 침과 양약의 병행치료를 사용한 논문이 4편, 한약과 양약의 병행치료를 사용한 논문이 1편, 침과 한약의 병행치료를 사용한 논문이 2편이었다. 모든 무작위 대조군 임상연구에서 양약치료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처방한 양약을 살펴보면 13편 중 11편에서는 Propranol, 나머지 2편에서는 각기 Primidone과 Arotinolol을 처방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논문에서 중재와 평가지표가 동일한 무작위대조임상연구를 메타 분석하였다. 3편의 침과 양약의 병용치료 연구 결과를 합성하였을 때 병용 치료군이 양약 대조군에 비해 유효율이 유의미하게 높았고, Tremor rating scale의 점수를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대상 데이터
인터넷 검색사이트인 중국지식기초시설공정(http://www.cnki.net)에서 2007년 1월에서 2016년 12월까지 학술지에 등재된 Essential tremor (ET)에 관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범위를 중의학(中醫學), 중약학(中藥學), 중서의결합(中 西醫結合)으로 제한하였고, 검색식으로 (SU=原发性震颤+ 特发性震颤+‘essential tremor’+‘idiopathic tremor’)을 사용하여 본태성 진전에 관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 결과, 총 46편의 논문이 검색 되었으며, 중복된 논문 1편을 제외하고 45편의 논문에 대하여 제목, 초록, 전문을 검토하여, 임상연구가 아닌 논문 20편, ET를 대상으로 하지 않은 논문 7편, 중의학적 치료 중재를 사용하지 않은 논문 1편, 학위논문 2편, 무작위대조임상연구가 아닌 논문 2편을 배제하고 최종 13편의 논문24-42) 을 선정하였다(Fig. 1).
그 외 ≪신경병학(神經病學)≫ 34) 과 ≪신경계통질 병감별진단학(神經系統疾病鑒別診斷學)≫ 35) 을 참고하여 연구대상자를 선정한 논문, ≪신경정신병학(神經精神病學)≫ 30)을 참고하여 연구대상자를 선정한 논문이 각각 1편씩이었다. Huang 37) 은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ET’ 외에 중의내과학38) 을 참고하여 혈어풍동(血瘀風動)으로 변증된 환자를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고, Wang 32) 은 HAMD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를 추가적인 선정도구로 사용하였으나 선정기준 점수는 제시하지 않았다.
대조군에 주로 처방된 양약은 ‘Propranolol’로 13편의 논문 중 11편에서 사용되었으며, 2편에서 각각 ‘Primidone’, ‘Arotinolol’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논문 13편의 무작위 대조임상연구에 서, 가장 많이 활용된 진단도구는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ET’로 총 9편에서 사용되었고, 그 외 2편에서 ‘TRIG diagnostic criteria for ET’를, Song 29) 과 Nie 33) 는 중의학 서적을 참고한 진단 기준을 사용하였다.
의 논문에서는 복용 횟수에 대한 기술이 없었다. 가장 높은 빈도로 사용된 본초는 백작약으로 6편의 논문의 모든 처방에 사용되었다. 그 외 다빈도 본초를 살펴보면 당귀가 5회, 천마가 5회, 조구등, 숙지, 하수오가 4회, 모려, 용골, 천궁, 감초가 3회 사용되었다.
1. 모두 13편은 무작위 대조군임상연구이 선정되었다.
3. 선정된 13편의 논문 중 3편에서 치료중재로 침 치료를 단독으로 사용하였고, 4편에서 한약 치료를 단독으로 사용하였다. 그 외에 침과 양약의 병행치료를 사용한 논문이 4 편, 한약과 양약의 병행치료를 사용한 논문이 1편, 침과 양약ㆍ한약의 병행치료를 치료중재로 사용한 논문이 1편이었다.
데이터처리
통계적 이질성은 카이제곱 검정과 Higgin’s I2 통계량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23).
3 22) 을 이용하였다. 이분형 변수의 경우 비교위험도(Relative Risk, RR)를, 연속형 변수의 경우 평균차(Mean Difference, MD) 또는 표준화 평균차(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를 이용하였다. 통계적 이질성은 카이제곱 검정과 Higgin’s I2 통계량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23).
이론/모형
본 연구에 선정된 논문의 질 평가를 위해 자다드 척도와 비뚤림 위험 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동일한 중재를 사용한 연구들의 중재별 효과를 요약 및합성하기 위하여 Cochrane Collaboration software인 Review Manager (RevMan) Version 5.3 22) 을 이용하였다. 이분형 변수의 경우 비교위험도(Relative Risk, RR)를, 연속형 변수의 경우 평균차(Mean Difference, MD) 또는 표준화 평균차(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와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 포함된 논문에서 사용한 본태성 진전의 진단 도구를 살펴보면, P. Bain 등이 개발한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ET’ 28)가 총 9편의 논문에서 사용되었고, TRIG (Tremor research investigation group)의 진전 분류법을 참고한 ‘TRIG Diagnostic criteria for ET’ 25) 가 2편에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무작위대조임상연구 13편의 질 평가를 위해 자다드 척도와 코크란의 비뚤림 위험 평가 도구를 사용하였다.
모든 논문에서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 치료 유효율(Effective rate)을 사용하였다. 진전증상의 개선을 판단하기 위한 평가도구로는 ‘Tremor rating scale(震顫評 分)’ 43) 사용한 연구가 7편으로 가장 많았고 ’The revised WHIGET (Washington Heights–Inwood Genetic Study of Essential Tremor) Tremor Rating Scale’ 44,45) 을 사용한 연구가 3편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평가도구를 살펴보면, 13편 중 7편에서 ‘Tremor rating scale (震顫評分)‘을 평가도구로 사용하였고, 3편에서는 ‘The revised WHIGET Tremor Rating Scale’을 평가도구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평가도구를 살펴보면, 13편 중 7편에서 ‘Tremor rating scale (震顫評分)‘을 평가도구로 사용하였고, 3편에서는 ‘The revised WHIGET Tremor Rating Scale’을 평가도구로 사용하였다. 모든 연구에서는 유효율을 평가도구로 사용하였다. ‘Tremor rating scale’은 환자의 주관적 호소, 상지진전정도, 머리ㆍ하악ㆍ혀ㆍ하지진전정 도, 컵에 물 채우기, 옷 입기ㆍ밥 먹기ㆍ단추 채우기ㆍ젓가 락질, 동그라미 그리기와 직선그리기의 총 6개 항목에 대한 중등도에 따라 0부터 3까지 점수를 부여하여 합산한 값으로 평가한다.
성능/효과
9%, 65세 이상 인구의 4.6%가 이환된다고 알려져 있으며2) , 본태성 진전 환자들은 의사소통, 업무, 감정조절, 집안 유지, 레저 활동 등에 어려움을 겪는다 3) . 환자들 중 절반 가까이는 일상생활 수행에 지장을 있으며 4) , 20% 정도는 본태성 진전으로 인해 직업을 중단하거나 변경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는 보고가 있다 5).
4편의 논문에서는 난수표를 사용하여 배정하였으므로 비뚤림 위험이 낮다고 평가하였으며, Xue 36) 의 논문 1편에서는 무작위 배정을 하였다는 기술이 없으므로 비뚤림 위험이 높다고 평가하였다. 모든 연구에서 배정순서의 은폐에 대한 기술이 없었으므로 전반적으로 선택 비뚤림 위험이 불확실 하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모든 연구의 설계가 양약 대조군과 중약 또는 침 치료 개입효과를 비교한 것이므로 연구 참여자, 연구자에 대한 눈가림을 시행하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여 실행 비뚤림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 하였다.
또한 모든 연구의 설계가 양약 대조군과 중약 또는 침 치료 개입효과를 비교한 것이므로 연구 참여자, 연구자에 대한 눈가림을 시행하는 것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여 실행 비뚤림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 하였다. 결과 평가에 대한 눈가림에 대해서는, 선정된 13편의 논문 모두에서 평가자의 눈가림에 대한 언급이 없었으므로 비뚤림 위험이 불확실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한 모든 논문에서 결측치가 없다고 사료되어 불충분한 결과자료에 대한 비뚤림은 낮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Tremor rating scale 점수 역시 양약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MD: −1.35, 95% CI: −2.17 to −0.54, p=0.001, I2 =0%) (Fig. 4).
13편 모두 양약투여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치료군의 중재 방법 및 치료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침을 치료 중재로 사용한 논문이 2편, 중약을 치료 중재로 사용한 논문이 4편, 침과 양약의 병용치료를 치료 중재로 사용한 논문이 4편, 침과 중약의 병용치료를 치료 중재로 사용한 논문이 2편, 매선을 사용한 논문이 1편이었으며, 13편의 논문 모두에서 양약 대조군에 비해 치료군의 유효율이 유미하게 높게 나타났고, 진전 및 우울평가척도의 점수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다. 대조군에 주로 처방된 양약은 ‘Propranolol’로 13편의 논문 중 11편에서 사용되었으며, 2편에서 각각 ‘Primidone’, ‘Arotinolol’이 사용되었다.
침과 양약 병용군이 진전 증상 개선에 미친 효과를 제시한 RCT 연구는 3편으로, 이들 연구의 결과를 합성한 결과, 침과 양약 병용군이 양약 대조군에 비하여 유효율이 유의미 하게 높았다(RR: 1.48, 95% CI: 1.20 to 1.82, p=0.0002, I2 =0%) (Fig. 3). 또한 Tremor rating scale 점수 역시 양약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MD: −1.
전침 치료와 양약치료를 비교한 RCT 연구는 2편으로, 이들 연구의 결과를 합성한 결과, 전침 치료군이 양약 대조군에 비하여 유효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RR: 1.53, 95% CI:1.22 to 1.92, p=0.0003, I2 =0%) (Fig. 5).
한약 치료와 양약치료를 비교한 RCT 연구는 4편으로, 이들 연구의 결과를 합성한 결과, 한약 치료군이 양약 대조군에 비하여 유효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RR: 1.35, 95% CI:1.16 to 1.57, p<0.0001, I 2 =0%) (Fig. 6).
보고한 이상반응 중 가장 빈도가 높은 증상은 심박동수의 감소였으며, 그 외 저혈압, 소화기계 이상, 어지러움 등이 보고되었다. 이상반응을 보고한 모든 논문에서 대조군의 이상반응 발생률이 치료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한약을 치료방법으로 사용한 6편의 논문 모두 중복된 처방은 없었으며, 처방명 없이 약물구성만을 기술한 논문이 1편이었다. 본 연구에 포함된 논문에 사용된 처방에는 대정 풍주가감(大定風珠加减), 평전탕(平顫湯), 식풍활혈정전탕 (熄風活血定顫湯), 자신양혈방(滋腎養血方), 평간식풍지전 탕가감(平肝息風止顫湯加减) 등으로, 주로 자보간신(滋補肝 腎), 잠양(潛陽), 식풍(熄風) 등의 방의를 가진 처방이 사용되어, 중의학에서는 간음혈부족(肝陰血不足), 정혈부족(精血 不足)을 진전의 근본 병인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있었다. 본 결과로 미루어 진전 환자의 임상처방과 연구에 있어 간음혈(肝陰血)과 수해(髓海)를 보익하는 처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 포함된 논문에서 중재와 평가지표가 동일한 무작위대조임상연구를 메타 분석하였다. 3편의 침과 양약의 병용치료 연구 결과를 합성하였을 때 병용 치료군이 양약 대조군에 비해 유효율이 유의미하게 높았고, Tremor rating scale의 점수를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전침 치료군과 양약 치료군을 비교한 2편의 연구와 한약 치료군과 양약 치료군을 비교한 2편의 연구를 각각 메타분석 결과, 전침치 료와 한약치료가 양약 치료에 비해 유효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3편의 침과 양약의 병용치료 연구 결과를 합성하였을 때 병용 치료군이 양약 대조군에 비해 유효율이 유의미하게 높았고, Tremor rating scale의 점수를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전침 치료군과 양약 치료군을 비교한 2편의 연구와 한약 치료군과 양약 치료군을 비교한 2편의 연구를 각각 메타분석 결과, 전침치 료와 한약치료가 양약 치료에 비해 유효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다만 메타분석 대상이 된 연구의 수가 적고, 각 연구의 치료 중재를 살펴보았을 때, 치료혈위, 침법, 투여한 한약처방, 치료기간이 이질적이었으며, 분석 대상이 된 논문의 질이 높지 않아 치료의 효과에 대해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운 한계가 존재하였다.
2. 본태성 진전의 진단기준으로 P. Bain의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ET’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치료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로는 ‘Tremor rating scale (震顫評分)’ 이 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결과, 2007년부터 2016년의 기간 동안 중국에서 본태성 진전에 대한 다양한 중의약적 치료법에 대한 임상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선정된 무작위 대조연구 13편 모두에서 치료군이 양약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메타분석 결과, 침과 양약의 병용치료, 전침치료, 한약치료가 양약치료에 비해 유효율이 높았으며, 이상반응을 언급한 논문 6편 모두에서 치료군의 이상반응 발생률이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선정된 무작위 대조연구 13편 모두에서 치료군이 양약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치료효과를 나타내었다. 메타분석 결과, 침과 양약의 병용치료, 전침치료, 한약치료가 양약치료에 비해 유효율이 높았으며, 이상반응을 언급한 논문 6편 모두에서 치료군의 이상반응 발생률이 대조군보다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중의학적인 치료개입이 본태성 진전의 증상개선에 일정한 효과가 있고, 비교적 안전한 치료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정된 모든 연구의 비뚤림 위험이 대부분의 항목에서 불확실하였고, 연구의 질이 낮았으며, 이상반응 보고도 모든 논문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4. 모든 대조군임상연구에서는 대조군으로 양약을 사용하였으며, 가장 많이 사용된 약물은 propranolol이었다.
5. 모든 연구에서 중의학적 치료개입은 양약 대조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유효율과 진전증상개선 효과를 보였다.
6. 메타분석 결과, 침과 양약의 병용치료는 양약치료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유효율과 진전증상 개선 효과를 보였다.
7. 메타분석 결과, 전침치료, 한약치료가 양약치료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유효율을 보였다.
8. 대조임상연구의 연구의 질을 평가한 결과 대부분의 평가영역에서 비뚤림 위험이 불확실하거나 높은 것으로 판단 되었다.
후속연구
본 연구에 포함된 논문에 사용된 처방에는 대정 풍주가감(大定風珠加减), 평전탕(平顫湯), 식풍활혈정전탕 (熄風活血定顫湯), 자신양혈방(滋腎養血方), 평간식풍지전 탕가감(平肝息風止顫湯加减) 등으로, 주로 자보간신(滋補肝 腎), 잠양(潛陽), 식풍(熄風) 등의 방의를 가진 처방이 사용되어, 중의학에서는 간음혈부족(肝陰血不足), 정혈부족(精血 不足)을 진전의 근본 병인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있었다. 본 결과로 미루어 진전 환자의 임상처방과 연구에 있어 간음혈(肝陰血)과 수해(髓海)를 보익하는 처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전침을 사용한 논문은 3편이었는데, 1편만 사용한 전침 기기명, 전침자극의 종류와 빈도에 대해 기술하였으며, 모든 논문에서 시술자에 대한 정보는 기술하지 않았다. 향후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침 연구 설계 및 시행을 위해 STRICTA (The Standards for Reporting Interventions in Clinical Trials of Acupuncture) 2010 가이드라인 59) 을 준수하는 임상연구 설계 및 보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단순히 환자의 호소나 의사의 소견에 의존하기보다 진전의 중등도와 진전으로 인한 일상 활동의 불편함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장점을 지닌다고 하겠다. 향후 한의학 임상현장에서도 진전의 중등도 평가와 치료개입의 효과 판단을 위해 이러한 평가도구가 널리 활용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 본태성 진전에 대한 일관된 진단 기준 및 평가도구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현재까지 본태성 진전에 특이적인 생물학적 표지자가 제시되지 못했지만 향후 연구에서 근전도, 뇌파 등의 객관적인 평가도구를 활용한 연구의 설계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향후 한의학 임상현장에서도 진전의 중등도 평가와 치료개입의 효과 판단을 위해 이러한 평가도구가 널리 활용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나아가 본태성 진전에 대한 일관된 진단 기준 및 평가도구에 대한 합의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현재까지 본태성 진전에 특이적인 생물학적 표지자가 제시되지 못했지만 향후 연구에서 근전도, 뇌파 등의 객관적인 평가도구를 활용한 연구의 설계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전침 치료군과 양약 치료군을 비교한 2편의 연구와 한약 치료군과 양약 치료군을 비교한 2편의 연구를 각각 메타분석 결과, 전침치 료와 한약치료가 양약 치료에 비해 유효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다만 메타분석 대상이 된 연구의 수가 적고, 각 연구의 치료 중재를 살펴보았을 때, 치료혈위, 침법, 투여한 한약처방, 치료기간이 이질적이었으며, 분석 대상이 된 논문의 질이 높지 않아 치료의 효과에 대해 결론을 내리기는 어려운 한계가 존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중의학적인 치료개입이 본태성 진전의 증상개선에 일정한 효과가 있고, 비교적 안전한 치료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정된 모든 연구의 비뚤림 위험이 대부분의 항목에서 불확실하였고, 연구의 질이 낮았으며, 이상반응 보고도 모든 논문에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향후 본태성 진전의 한의학적 치료에 대한 보다 질 높고 체계적인 설계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되며, 질 높은 연구의 결과의 축적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아쉬운 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선정한 임상 연구들에서 사용된 치료방법이 한의학 임상현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침과 한약이어서 본 연구결과를 국내 임상현장과 임상연구 설계에 큰 어려움 없이 참고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본태성 진전에 대해 한의학적 치료가 효과적이라는 임상경험이 축적되었으나 근거중심의학의 세계적인 흐름에 따라 보다 실증적인 근거 제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태성 진전에 대한 한의학적 치료개입의 근거마련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임상연구의 설계와 시행이 필요하리라 사료되며 본 연구 결과가 향후의 임상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전이란 무엇인가?
진전(振顫)은 몸의 일부분 또는 여러 부분에서 작용근과 대항근이 교대 혹은 동시에 수축하여 규칙적으로 일정한 빈도를 가지는 진동성 불수의 운동이며, 흔히 환자의 감정 상태나 불안, 육체적인 피로에 의하여 증상이 심해지며, 임상 적인 병력과 신경학적 진찰에 근거하여 진단한다 1).
본태성 진전 환자가 겪는 불편함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9%, 65세 이상 인구의 4.6%가 이환된다고 알려져 있으며 2) , 본태성 진전 환자들은 의사소통, 업무, 감정조절, 집안 유지, 레저 활동 등에 어려움을 겪는다 3) . 환자들 중 절반 가까이는 일상생활 수행에 지장을 있으며 4) , 20% 정도는 본태성 진전으로 인해 직업을 중단하거나 변경해야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는 보고가 있다 5).
본태성 진전의 치료에 사용되는 Propranolol과 Primidone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이 환자들의 삶의 질을 크게 저하시키는 본태성 진전의 치료에는 현재 Propranolol과 Primidone 같은 약물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약물 복용 환자 중 40%에서만 효과를 나타내고 6) , 절반 이상의 환자들이 오심, 현훈, 졸림 등과 같은 부작용으로 인해 복용을 중단한다는 보고가 있어 7) , 서양의학적 약물치료를 통한 본태성 진전의 치료는 많은 한계가 있다.
참고문헌 (59)
Korean Neurological Association. Neurology. Seoul: Koonja. 2007:438-43.
Louis ED, Ferreira JJ, How common is the most common adult movement disorder? Update on the worldwide prevalence of essential tremor. Mov. Disord. 2010;25(5): 534-41.
Auff E, Doppelbauer A, Fertl E. Essential tremor:functional disability vs subjective impairment. J Neural Transm Suppl. 1991;33:105-10.
Metzer WS. Severe essential tremor compared with Parkinson's disease in male veterans:diagnostic characteristics, treatment, and psychosocial complications. South Med J. 1992;85(8):825-8.
Koller WC, Busenbark K, Miner K. The relationship of essential tremor to other movement disorders:report on 678 patients. Essential Tremor Study Group. Ann Neurol. 1994;35(6):717-23.
Diaz NL, Louis ED. Survey of Medication Usage Patterns Among Essential Tremor Patients:Movement Disorder Specialists vs General Neurologists. Parkinsonism Relat Disord. 2010;16(9):604-7.
Wang G, et al. Hwangjenaegyeongsomungeumseog(黃帝內經素問今釋). Seoul:Seongbosa. 1983:439.
Heo J. Dong-uibogam(東醫寶鑑). Seoul:Namseongdang. 1981:299.
Cho SY, Shim SR, Rhee HY, Park HJ, Jung WS, Moon SK, Park JM, Ko CN, Cho KH, Park SU. Effectiveness of acupuncture and bee venom acupuncture in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Parkinsonism Relat Disord. 2012; 18(8):948-52.
Toosizadeh N, Lei H, Schwenk M, Sherman SJ, Sternberg E, Mohler J, Najafi B. Does integrative medicine enhance balance in aging adults? Proof of concept for the benefit of electroacupuncture therapy in Parkinson's disease. Gerontology. 2015;61(1):3-14.
Kim HM, Ko TS, Moon HN, Hong CY. Early Onset - Essential Tremor 1 case. Journal of Korea child neurology society. 1994;2(1):218-23.
Ryu SH, Chae JW. A. Case Report of Early Onset - Essential Tremor.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pediatrics. 2013;27(1):1-6.
Min KJ, Kim SH, Jung IC, Lee SR. The clinical study on 1 case of essential tremor patient. Institute of Oriental Medicine Journal. 2007;16(2):281-8.
Noh JS, Kim YB, Lee U, Park CW, Ahn SK, Kang DS. Clinical Analysis of Stereotactic thalamotomy for Medically Intractable Essential Tremor.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1996;25(1):99-105.
Yang DH, Lee KY, Shin HS, Jo SH, Lim CS, Lim JH, Yun SH, Lee H. Case Reports :Clinical Observation of Improvement Made by Prescription of Liver Supplementation on a Case of Essential Tremor Patient Who was Operated DBS(Deep Brain Stimulation).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2010;27(6):123-31.
Ko IS, Ryu HS, Park SJ, Ahn HJ. A Case Report of a Essential Tremor Patient Aggravated by Hwa-byung. The Korean Society of Oriental Neuropsychiatry. 2012;23(3): 129-41.
Oh HS, Lee SJ, Han IS, Lee DS, Son IB, Park HM, Lee WC, Sun SH. Case Report of Essential Tremor Treated with GwiBiTang and Gagambang. Acupuncture and Moxibustion.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12;26(5):760-4.
Hwang MH, Lee YK, Kim JS, Lee HJ, Lim SC. A Clinical case study about the patient of Essential Tremor Treated by Taegeuk Acupuncture. Journal of The Association of the Spine & Joint Korean Medicine. 2015;12(1):77-81.
Jadad AR, Moore RA, Carroll D, Jenkinson C, Reynolds DJM, Gavaghan DJ, McQuay HJ.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Is blinding necessary. Controlled Clinical Trials. 1996;17(1):1-12.
Higgins JP, Green S, editors.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 5.1.0. The Cochrane Collaboration. 2011.
Higgins J, Green S. Analysing and presenting results.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4.2.6 [updated september 2006]. Chichester,UK: John Wiley & Sons Inc. 2008:79-165.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NECA. 2011: 65-78.
Chen LH, Chen Q, Chen M. Clinical observation on combination of acupuncture with medication for treatment of spontaneous tremor. Journal of Chinese Acupuncture & Moxibustion. 2006;26(10):701-3.
Elble RJ. Diagnostic criteria for essential tremor and differential diagnosis. Neurology. 2000;54(Suppl 4):S2-6.
Jiang BL, Sun YZ. Clinical Observation on Acupuncture Treatment of Idiopathic Tremor. Journal of Chinese Acupuncture & Moxibustion. 2008;24(4):22-3. (the title was translated from ?刺治?特?性震??床?效?察)
Qin LN. Clinical Observation on Electronic Acupuncture Treatment of Essential Tremor. Jilin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0;30(6):511-2. (the title was translated from ??治?特?性震顫的?床?察)
Bain P, Brin M, Deuschl G, Elble R, Jankovic J, Findley L, Koller WC, Pahwa R. Criteria for the diagnosis of essential tremor. Neurology. 2000;54(11 Suppl 4):S7.
Song ZL. Observation of catgut-embedding therapy on essential tremor. Hebei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0;32(8):1211-3.
Han CM. Neuropsychiatry. Beijing:Unsa medical and scientific publishers. 2006:332.
Sui KM, Li X. Clinical observation on acupuncture combined with medication for treatmnet of essential tremor. Journal of Chinese Acupuncture& Moxibustion. 2010; 30(2):107-9.
Wang SG, Li JG. Clinical Observation on 40 Cases of Patients with Idiopathic tremor with Depression Syndrome Treated by Combination of Acupuncture and Medicine. Chinese Journal of Traditional Medical Science and Technology. 2011;18(2):148-9. (the title was translated from ???合治?特?性震?伴? 抑郁症?患者40例?床?察)
Ni W. 'Daejeongpungjugagam' treatment of 24 cases of essential tremor. Jiangxi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2:43(2):25. (the title was translated from 大定?珠加?治?原?性震?24例)
Wang WZ. Neurology. 5th. Beijing: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004:216.
An DW. Differential diagnosis of nervous system diseases. 1st. Beijing: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000:218.
Xue HY, Wu XW. Observation on the Efficacy of Integrated Traditional Chinese and Western Medicine in Treating Idiopathic.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in Practice. 2013;17(17):127-8. (the title was translated from 中西? ?合治?特?性震?的?效?察)
Huang PZ. Chi XL, Sun GM, Qiu HL, Zhang XF. Clinical study of 'Shikfunghwalhyuljeongjeon-tang' in the treatment of idiopathic tremor of blood stasis pneumatic type, 2015:72(18):16. (the title was translated from 熄?活血定??治?血瘀??型特?性震??床?究)
Tian DL. Chinese internal medicine. Beijing:People's Medical Publishing House. 2002: 287-9.
Tian CX. Nourishing Kindy and Tonifying Blood Prescription in the Treatment of Essential Tremor for 30 Cases. Chinese medicine modern distance education of china. 2015;13(14):51-2.
Yao D, Zou W. Therapeutic Observation of Ping Gan Xi Feng Tremor-ceasing Needling for Essential Tremor, Shanghai Journal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2016;35(2):169-71.
Wang HZ. Treatment of 66 Cases of Idiopathic Chatter by Pinggan Decoction. Shaanxi Journal of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2016;37(6):701-3. (the title was translated from 平肝息?止??治?特?性震?66例)
Zhang ZJ, Zang WP, Feng QA. Treatment of 40 cases of idiopathic tremor with multi -therapy. Traditional Chinese Medicinal Research. 2016;29(4):17-9. (the title was translated from 多??法治?特?性震?40例)
Louis ED, Ford B, Wendt KJ, Lee H, Andrews H. A comparison of different bedside tests for essential tremor. Mov Disord. 1999;14(3):462-7.
Liu DZ, Zhu J, Jin DZ, Zhang LM, Ji XQ, Ye Y, Tang CP, Zhu XZ. Behavioral recovery following sub-chronic paeoniflorin administration in the striatal 6-OHDA lesion rodent model of Parkinson's disease. J Ethnopharmacol. 2007; 112(2):327-32.
Hong JA, Chung SH, Lee JS, Kim SS, Shin HD, Kim H, Jang MH, Lee TH, Lim BV, Kim YP, Kim CJ. Effects of Paeoniae radix on the 5-hydroxytryptamine synthesis and the tryptophan hydroxylase expression in the dorsal raphe of exercised rats. Biol Pharm Bull. 2003;26(2): 166-9.
Jeon YI, Park CS, Park CG. An Experimental Study of Effect on Brain Damage and Neuroprotective Effect of Angelicae Gigantis Radix extract against Cerebral Ischemia in Rats.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2003; 18(4):25-35.
Li L, Du J, Zou L, Xia H, Wu T, Kim Y, Lee Y.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Decursin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Nakai Against Amyloid ${\beta}$ -Protein-Induced Apoptosis in PC 12 Cells via a Mitochondria- Related Caspase Pathway. Neurochem Res. 2015;40(8): 1555-62.
Lee JH. Doseolhanbang Lee Jae-hee's lecture of Herbology. Wonju:Yibang medical book. 2003:77-96, 485-8.
Kwon HS, Oh YS, Lee SY, Park CS, Park CG, Jang WS. The Neuroprotective Effects of Uncariae Ramulus et Uncus on focal cerebral ischemia in rats brain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Internal Medicine. 2003; 24(2):181-9.
Kim HC, Lee BN, Kim YS, Lee SI. Neuroprotective Effects of Gastrodiae Rhizoma on Dopaminergic Neuronal Cell Death in Parkinson's disease. The Korea Association of Herbology. 1999;14(1):103-9.
Son KH, Lee JH, Kim SS, Lee KC, Lee YM, Hong GY, Moon HB, Seo EA, Han DS, Shin MK, Song HJ, Park ST. Effect of Rhizoma Gastrodiae on Cultured Spinal Motor Neurons Damaged by Oxygen Radicals.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002;16(2):262-6.
Moon SG, Kim YS, Park SU, Jeong US, Go CN, Jo GH, Bae HS, Lee JD, Kim DY. The Effect of LI4-LI11 Electrical Acupuncture at Unaffected Limb on Cerebral Blood Flow in Ischemic Stroke Patients using SPECT.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2004;21(1):111-8.
Na GH, Youn DH, Na CS, Chae WS. Anti-apoptotic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Gastrodiae Elata Pharmacopuncture at GB20 on focal brain ischemic injury induced by Intraluminal Filament insertion in rats.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2008;25(1):1-14.
Liu CH, Wang R, Jin YB. Acupoint injection of kakkonein for early- or mid-stage Parkinson's disease: a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clinical trial. Acupuncture research. 2015;40(1):56-60.
The Textbook Compilation Committee of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of oriental medical schools in nation. The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4th ed. Seoul:Hanmi Medical Publishment. 2016:255-64.
Lee TY, Lee SR. The Investigation into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Mechanisms of Scalp Acupunctur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medicine society. 1999;16(4):91-108.
Lee HS, Cha Sj, Park HJ, Seo JC, Park JB, Lee HJ. Revised Standards for Reporting Interventions in Clinical Trials of Acupuncture(STRICTA):extending the CONSORT Statement. Korean J of Acupuncture. 2010;27(3):1-2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