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 열환경개선을 위한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바람길 유동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Wind Flows in Wind Corridor Based on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Improve Urban Thermal Environment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20 no.2, 2017년, pp.75 - 88  

서보용 (계명대학교 환경과학과) ,  정응호 (계명대학교 환경계획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를 사례로 도시내에서의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국지적 바람유동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3단계로 이루어졌는데, 1단계에서는 지역풍향(종관풍)과 국지적 바람유동간의 기상학적 관계를 비교하였다. 2단계에서는 도심지역과 교외지역으로 구분하여 국지적 바람유동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3단계에서는 KLAM_21을 활용하여 국지적 바람유동과 도시공간전체의 바람길 형성 및 유동과의 공간적 관계에 대하여 비교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대표풍향(종관풍)과 국지적 바람유동 사이에는 기상학적으로 상관성이 낮았다. 둘째, 도심지역 5개와 교외지역 2개 측정지점에서의 국지적 바람유동에 대한 관측결과에서는 지점별로 다양한 풍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측정지점 인근에서의 공간지형적 특성이 국지적 바람유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KLAM_21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AWS 측정자료와 비교 검증한 결과 수치모델링분석의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한 도시의 국지적 바람유동은 도시열섬현상의 개선을 위한 공간적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는 요소가 될것으로 판단된다. 즉, 도시계획 수립시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국지적 바람유동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도시열섬발생지역과 공간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계획적 기법을 적용한다면 도시열섬 현상을 효과적이며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wind flows based on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 three-stage analysis was performed, starting with a comparison of meteoro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local wind direction (synoptic wind) and local wind flow. In the second stage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도시열섬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도시내에서의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국지적 바람유동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지적 바람유동성에 대한 파악은 찬공기 생성과 유동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먼저 기상학적 상관성과 공간지형적 영향관계를 실측자료와 수치모델링분석결과의 비교 검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도시의 공간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바람길 형성에 대한 분석방법개발의 기초단계차원에서 대구시를 사례로 실제 도시에서 공간지형별 특성에 따라 형성되는 국지적 바람유동이 가지는 기상학적 상관성과 공간적 개발(토지이용)에 따른 바람유동성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도시열섬현상을 친환경적으로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이론적 틀과 계획적 기법을 개발하는데 유익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 분지도시이며 열섬현상이 빈발하는 대구시를 대상으로 도시에서의 공간지형별 바람유동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분석단계를 구분하였다. 먼저, 기상청의 기상자료에서 나타나는 지역풍향(종관풍)과 대구시의 공간지형별 특성에 따라 형성되는 국지적 바람유동간의 기상학적 관계를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열섬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도시내에서의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국지적 바람유동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국지적 바람유동성에 대한 파악은 찬공기 생성과 유동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먼저 기상학적 상관성과 공간지형적 영향관계를 실측자료와 수치모델링분석결과의 비교 검증을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 현재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자료는 지역의 대표성을 가지고 있으나, 도시의 공간지형적 특성과 개발에 따른 바람길 형성을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도시의 공간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바람길 형성에 대한 분석방법개발의 기초단계차원에서 대구시를 사례로 실제 도시에서 공간지형별 특성에 따라 형성되는 국지적 바람유동이 가지는 기상학적 상관성과 공간적 개발(토지이용)에 따른 바람유동성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하여 도시열섬현상을 친환경적으로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이론적 틀과 계획적 기법을 개발하는데 유익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두 번째 단계에서는 도심지역과 교외지역으로 구분하여 도시에서의 개발형태와 공간지형특성에 따라 형성되는 국지적 바람유동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두 단계의 분석단계를 통하여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라서 국지적 바람유동이 AWS 측정지점별로 다르게 나타남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대구의 바람길형성의 특징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앞의 단계에서 비교·분석된 국지적 바람유동이 도시공간전체의 바람길 형성 및 유동과 어떠한 공간적 관계를 가지는가에 대하여 비교· 검증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바람길이란 무엇인가? 이에 대한 원인은 다양하겠으나 가장 큰 이유는 바람길에 대한 개념적 이해부족이라 하겠다(Song and Park, 2010). 바람길은 도시주변의 산지, 계곡, 녹지대 등의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라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찬공기가 도시 내로 유입될 수 있는 길(통로)을 만들어 대기 오염 및 도시기후환경문제의 개선에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Jung et al., 2008).
도시열섬현상을 가중시키는 원인으로 거시적인 측면에 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도시열섬현상을 가중시키는 원인은 크게 거시적인 측면과 미시적인 측면으로 나누어진다. 거시적인 측면에 있어서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도시기온의 승온화가 해당되는데(Ahn and Kim, 2006) 이에 대한 대책은 정책적이고 장기적 관점에서 복합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거시적 관점에서 도시열섬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현장중심의 실천적 대안을 적용시키기는 매우 어렵고 제한적이다(Song and Park, 2010).
인공지반화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도시열섬현상에 대한 미시적 원인에는 무엇보다도 과도한 개발에 따른 도시지표면의 인공지반화가 해당된다. 인공지반화는 조도와 알베도 및 투수성·보수성 등을 변화시켜 도시전체의 복사수지·열수지를 주변지역과 다르게 변화시킨다(Kim and Kim, 2011). 그리고 도시규모(인구수)에 따른 인공열 배출의 증가 또한 도시열섬을 가중시키는 원인이 된다(Eagleman, 197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hn, J.S. and H.D. Kim. 2006. On the seasonal variation of urban heat island intensity according to meteorological condition in Daegu.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15(6):527-532 (안지숙, 김해동. 2006. 대구지역의 기상조건에 따른 도시열섬강도의 계절별 변화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15(6):527-532). 

  2. Cha, J.G. 2010. The analysis and evaluation on the changes in wind flow from a different land use. Ph.D Thesis, Keimyung University. p.195 (차재규. 2010.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바람유동 분석과 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5쪽). 

  3. Danzeisen, H.H. 1983. Experimentelle Untersuchung bodennaher Lufttemperatur-und Feuchteverteilungen in Stadtgebieten mit Hilfe eines Me ${\beta}$ wagens. Beitr. Lande spflege Rheinland-Pfalz 9:7-34. 

  4. Eagleman, J.R. 1974. A comparison of urban climate modification in three cities. Atmospheric Environment 8:1132-1142. 

  5. Fellenberg, G. 1991. Lebensraum Stadt. Verlag der Fachvereine Zurich: 55-56. 

  6. Jung, E.H. 2015. A study on the theory and cases of introducing urban planning for sustainable urban planning. Munundang, Seoul. p.289. (정응호. 2015. 친환경 도시계획을 위한 바람길 도입 이론과 사례연구. 문운당, 서울. 289쪽). 

  7. Jung, E.H., D.W. Kim, J.W. Ryu, J.G. Cha, and K.S. Son. 2008. Evaluation of spatial characteristic of wind corridor formation in Daegu area using satellite data.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2):73 -84 (정응호, 김대욱, 류지원, 차재규, 손경수. 2008. 위성자료를 활용한 대구지역 바람 길생성의 공간적 특성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 11(2):73-84). 

  8. Kiese, O. 1988. Die Bedeutung verschiedenartiger Freiflachen fur die Kaltluftproduktion und die Frischluftversorgung von Stadten 20:67-71. 

  9. Kim, D.W., J.W. Ryu, J.G. Cha, and E.H. Jung. 2013. Korea's urban regeneration project on the improvement of urban micro climate: a focal study on the case og Changwon City. Global Journals of Human Social Sciences Research 13(1-B) :27-38. 

  10. Kim, H.D. and H.Y Kim; translator. 2011. Mizukoshi. T, Yamashita. S; Author. Environmental climatology. Keimyung University Press. Daegu. p.200 (김해동, 김학윤 역. 2011. Mizukoshi. T, Yamashita. S 저. 환경기후학, 계명대학교 출판부. 대구. 200쪽). 

  11. Kim, J.Y., Y.S. Ghim, and K.Y. Chung. 2000. Analysis of wind data characteristics of automatic weather stations in Seoul and Inchon areas. Journal of the Korean Meteorological Society 36(2):153-166 (김진영, 김영성, 정관영. 2000. 서울.인천지역 자동기상관측 바람 자료의 특성 분석. 한국기상학회 36(2):153-166). 

  12. Landsberg, H.E. 1981. The urban climate. International Geophysics Series vol.28, Academic Press. New York. p.275. 

  13. Ministerium fur Verkehr und Infrastruktur des Landes Baden-Wurttemberg, 2012, Stadtebauliche Klimafibel, Hinweise fur die Bauleitplanung, Stuttgart. 

  14. Oke, T.R. 1976. The distinction between canopy and boundary layer urban heat islands. Atmosphere 14(4):268-277. 

  15. Ryu, J.W., E.H. Jung, and D.W. Kim. 2008. A study on evaluation analysis of wind formation function using KLAM_21.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1(2):85 -92 (류지원, 정응호, 김대욱. 2008. KLAM_ 21을 활용한 바람생성기능 평가분석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 11(2):85-92). 

  16. Schadler, G. and A. Lohmeyer. 1996. Kaltluft-und Windfeld-Berechnungen Fur den Raum Stuttgart im Zusammenhang mit der Planung Fur das Projekt "Stuttgar 21". Stuttgart: Landeshauptstadt Stuttgart. 

  17. Sievers, U. 2005. Das Kaltluftmodell KLAM _21-Theoretische Grundlagen, Anwendung und Handhabung des PC-Modells, Berichte des Deutschen Wetterdienstes 227, Offenbach am Main. 

  18. Sievers, U. 2007. Das Kaltluftabflussmodell KLAM_21. Deutscher Wetterdienst. 37. 

  19. Sievers, U. 2009. Info KLAM_21 (Klimasimulation fur dir Stadt-und Regionalplanung), Brtlin, DWD. 

  20. Song, B.G. and K.H. Park. 2010. An analysis of cold air generation area considering climate-ecological function.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3(1):114-127 (송봉근, 박경훈. 2010. 기후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찬공기 생성지역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3 (1):114-127). 

  21. Song, B.G. and K.H. Park. 2013. Air ventilation evaluation at nighttime for the construction of wind corridor i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2): 16-29 (송봉근, 박경훈. 2013. 도시지역의 바람길 조성을 위한 야간시간대의 공기순환성 평가. 한국지리정보학회 16(2):16-29). 

  22. Yi, C.Y., K.R. Kim, Y.J. Chol, H.Y. Won, and Dieter Scherer. 2012. Nocturnal surface cooling and cold air transport analysis based on high density observation. Journal of the 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 124-137 (이채연, 김규랑, 최영진, 원혜영, Dieter Scherer. 2012. 고밀도 관측자료를 이용한 야간 지면냉각과 찬공기 이동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5(4):124-13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