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경남 통영시 한산면 추봉리 봉암에 위치한 잘피밭의 어류의 월별 종조성과 양적 변동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2009년 8월부터 2010년 7월까지 매월 예인망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총 30종, 3,237개체, 6,850.1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한 종들은 살망둑, 그물코쥐치, 복섬, 점망둑, 일곱동갈망둑, 실고기로 전체 개체수의 86.7%를 나타내었다. 잘피의 평균 엽장은 8월에 $772.7{\pm}136.0mm$, 건중량 81.6 g, 11월 평균 엽장은 $698.1{\pm}146.4mm$, 건중량 57.2 g, 2월 평균 엽장은 $499.2{\pm}96.4mm$, 건중량 15.41 g, 5월의 평균 엽장은 $642.5{\pm}208.3mm$, 건중량 61.90 g이었다. 봉암 잘피밭 어류 군집은 9월부터 12월까지 종수와 개체수가 감소하다가 그 이후부터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계절변화에 따른 수온 변화가 잘피밭의 어류 종조성에 주요한 영향을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ish species composition in eelgrass bed of Bongam on Hansando island, Korea was determined using monthly samples collected by a surf net from August 2009 to July 2010. A total of 30 species, 3,237 individuals and 6,850.1g of fish were collected. The dominant species were Gymnogobius heptacanthus,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산도 봉암 잘피밭에 출현하는 어류의 월별 종 조성 변화와 주요 어종의 출현 양상을 파악하였고, 인근 거제만 잘피밭에서 동일한 조사 방법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와 비교하여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에 대한 생태적 특징을 밝혔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잘피밭 어떻게 활용되며 어떤 기능을 하는가? , 1975; Zieman and Wetzel, 1980). 잘피밭은 수산 어패류의 보육장 및 유어 어업의 장으로 활용되며, 휴양시설, 폭풍으로부터의 생물보호 기능을 하기도 한다 (Costanza et al., 1997).
전 세계와 우리나라의 추정 잘피 분포면적은? , 1997). 세계적으로 연안의 잘피 분포면적은 164,000 km3로 추정되며 (Spalding et al., 2003), 우리나라 연안은 55~70 km3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수질의 악화와 연안의 개발에 의한 인위적인 교란으로 잘피의 자생지가 사라진 것으로 보고되었다 (Lee and Lee, 2003).
잘피밭의 어류의 월별 종조성과 양적 변동을 분석한 결과 우점한 종들은 무엇인가? 1 g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우점한 종들은 살망둑, 그물코쥐치, 복섬, 점망둑, 일곱동갈망둑, 실고기로 전체 개체수의 86.7%를 나타내었다. 잘피의 평균 엽장은 8월에 $77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kagawa, I., T. Iwamoto, S. Watanabe and M. Okiyama. 2004. Reproductive behaviour of Japanese tubesnout, Aulichthys japonicus (Gasterosteiformes), in the natural habitat compared with relatives. Environ. Biol. Fishes, 70: 353-361. 

  2. Cha, B.Y. 1999.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oastal water off Geoje Island. Korean J. Ichthyol., 11: 184-190. (in Korean) 

  3. Costanza, R., R. d'Arge, R. de groot, S. Farber, M. Grasso, B. Hannon, K. Limburg, S. Naeem, R.V. O'Neill, J. Paruelo, R.G. Raskin, P. Sutton and M. van den Belt. 1997. The value of the world's ecosystem services and natural capital. Nature, 387: 253-260. 

  4. Huh, S.H. 1986.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in abundance of fishes in eelgrass meadows. J. Korean Fish. Soc., 19: 509-517. 

  5. Jaccard, P. 1908. Nouvelles researches sur la distribution florale. Bull. Soc. Vaudoise Sci. Nat., 44: 223-270. 

  6. Kim, B.G. and W.S. Gwak. 2006. Study on fish assemblages in eelgrass bed of Jisepo Bay and sandy shore of Gujora on Geoje Island, Korea. J. Ins. Mar. Industry, 19: 79-91. (in Korean) 

  7. Kim, I.S., Y. Choi, C.L. Lee, Y.J. Lee, B.J. Kim and J.H. Kim.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Ltd., Seoul, 615pp. (in Korean) 

  8. Kim, J.S., D.H. Lee, J.S. Park, D.H. Han and W.S. Gwak. 2011.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s in eelgrass bed of Myeongsa on Geoje Island, Korea. Korean J. Ichthyol., 23: 119-127. (in Korean) 

  9. Kim, J.S. and W.S. Gwak. 2012.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 in a small scale eelgrass bed of Tongyeong, Korea. Korean J. Ichthyol., 24: 191-200. (in Korean) 

  10. Kwak, S.N., S.H. Huh and C.G. Choi. 2006. Comparisons of fish assemblages associated with eelgrass bed and adjacent unvegetated habitat in Jindong Bay. Korean J. Ichthyol., 18: 119-128. (in Korean) 

  11. Lee, D.H., T.J. Kim, B.E. Choi, S.J. Lee and W.S. Gwak. 2010.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eelgrass bed of Geoje Bay on Geoje Island, Korea. Korean J. Ichthyol., 22: 179-185. (in Korean) 

  12. Lee, D.H., J.S. Kim, J.S. Park, D.H. Han and W.S. Gwak. 2011.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s in eelgrass bed of Jeogu on Geoje Island, Korea. Korean J. Ichthyol., 23: 225-233. (in Korean) 

  13. Lee, K.S. and S.Y. Lee. 2003. The seagrass of the Republic of Korea. In: Green, E.P., F.T. Short and M.D. Spalding (eds.), World atlas of seagrass: present status and future conservation. Univ. of Cal. Press, Berkeley, pp. 193-198. 

  14. Lee, T.W., H.T. Moon, H.B. Hwang, S.H. Huh and D.J. Kim. 2000.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s in Angol Bay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ean Fish. Soc., 33: 439-447. (in Korean) 

  15. Lie, H.J. and C.H. Cho. 2002. Recent advances in understanding the circulation and hydrography of the East China Sea. Fish. Oceanogr., 11: 318-328. 

  16. Nakabo, T. 2002. Fishes of Japan with pictorial keys to the species. Tokai Univ. Press, 1749pp. 

  17. Naoki, Y. and T. Nakabo. 2003. Evolutionary trend in feeding habits of Girella (Perciformes: Girellidae). Ichthyol. Res., 50: 358-366. 

  18. Nelson, J.S. 2006. Fishes of the world. 4th ed. John Wiley and Sons, Inc., Hoboken, NJ, 601pp. 

  19. Ochiai, A. and M. Tanaka. 1986. Ichthyology. Koseisha-Koseikaku, Tokyo, 1139pp. (in Japanese) 

  20. Park, J.I., Y.K. Kim, S.R. Park, J.H. Kim, Y.S. Kim, J.B. Kim, P.Y. Lim, C.K. Kang and K.S. Lee. 2005. Selection of the optimal transplanting method and time for restoration of Zostera marina habitats. Algae, 20: 379-388. (in Korean) 

  21. Senou, H. 2004. A photographic guide to the gobioid fishes of Japan. Heibonsha, Tokyo, 534pp. (in Japanese) 

  22. Shannon, C.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na, 177pp. 

  23. Spalding, M., M. Taylor, C. Ravilious, F. Short and E. Green. 2003. Global overview the distribution and status of seagrasses. In: Green, E.P., F.T. Short and M.D. Spalding (eds.), World atlas of seagrasses: present status and future conservation. Univ. of Cal. Press. Berkely, pp. 5-26. 

  24. Thayer, G.W., D.A. Wolfe and R.B. Williams. 1975. The impact of man on seagrass systems. Ame. Sci., 63: 289-296. 

  25. Zieman, J.C. and R.G. Wetzel. 1980. Productivity in seagrass: methods and rates. In: Phillips, R.C. and C.P. McRoy (eds.), Handbook of seagrass biology: An ecosystem perspective. Garland STPM Press, New York, pp. 87-1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