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영 장평리 잘피밭에 출현하는 어류의 종조성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 of Jangpyeong in Tongyeong,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51 no.3, 2018년, pp.278 - 285  

최희찬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박종혁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  백근욱 (경상대학교 해양식품생명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nthly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 of Jangpyeong in Tongyeong, Korea was determined using monthly samples from a seine net from May 2016 to April 2017. A total of 32 species, 2,042 individuals and 3,991.1 g of fishes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period. The d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지역인 장평리 잘피밭 주변에서는 바지락 채취와 스프링통발을 이용한 어로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장평리 잘피밭이 잘 보전된다면 어민 소득원을 증가시키는 파급효과를 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장평리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들의 종조성과 월별 출현변화를 조사하여 장평리 잘피밭의 특성을 알아보고 장평리 잘피밭 보존의 필요성을 알리는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1월과 2월에 장평리 잘피밭에 서식하는 어류의 생체량이 증가한 이유는 무엇인가? 본 연구지역인 장평리 잘피밭 어류는 수온이 감소하는 시기인 11월과 2월에 종수와 개체수는 감소하였지만 생체량은 증가하여 선행연구들과 다소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수온이 감소하는 시기인 11월과 2월에 어류의 생체량이 증가한 것은 11월과 2월에 각각 문절망둑과 복섬이 대량 출현하였기 때문인데 선행연구 중 광양만 잘피밭에 출현하는 문절망둑 역시 수온이 감소하는 시기인 9-12월에 출현하여 본 연구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Huh and Kwak, 1997). 문절망둑은 얕은 연안이나 기수역에 서식하고 주로 갯지렁이류와 새우류를 섭식하며 산란기는 2-5월에 산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uh and Kwak, 1999; Kim et al.
잘피란 무엇인가? 잘피(Zostera marina)는 해산종자식물의 잘피과에 속하는 다년생 해초로 북반구의 온대해역에 폭넓게 분포하며 전 세계에 약 50여 종이 서식한다고 알려져 있고(Phillips and Menez,1988) 현재 해양생태계법 시행규칙 제 4조에 의거하여 보호대상해양생물로 지정되어 있는 생물이다(MOF, 2017). 또한 연안에서 잘피밭은 다양하고 복잡한 생태계를 구성하며(Ziemanand Wetzel, 1980) 높은 생산력을 바탕으로 생태계에서 해수의 흐름을 제어하여 소형생물들에게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고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어종의 유어들에게 성육장 및 은신처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Klumpp et al.
해양 생태계와 관련하여 잘피밭의 역할은 무엇인가? 잘피(Zostera marina)는 해산종자식물의 잘피과에 속하는 다년생 해초로 북반구의 온대해역에 폭넓게 분포하며 전 세계에 약 50여 종이 서식한다고 알려져 있고(Phillips and Menez,1988) 현재 해양생태계법 시행규칙 제 4조에 의거하여 보호대상해양생물로 지정되어 있는 생물이다(MOF, 2017). 또한 연안에서 잘피밭은 다양하고 복잡한 생태계를 구성하며(Ziemanand Wetzel, 1980) 높은 생산력을 바탕으로 생태계에서 해수의 흐름을 제어하여 소형생물들에게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고 경제적으로 가치 있는 어종의 유어들에게 성육장 및 은신처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Klumpp et al., 1992; Nybakken,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Choo HS. 2002. The variation of oceanic conditions and the distributions of eggs and larvae of anchov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summer. J Kor Fish Soc 35, 77-85. http://dx.doi.org/10.5657/kfas.2002.35.1.077. 

  2. Dotsu Y. 1984. The biology and induced spawning of the gobiid fish, Chaenogobius heptacanthus. Bull Fish Inst Nagasaki Univ 55, 9-18. 

  3. Han DH, Lee DH, Park JS, Kim JS, Lee YD, Park JY and Gwak WS. 2017.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 in eelgrass bed of Bongam on Hansando island, Korea. Korean J Ichthyol 29, 130-138. 

  4. Huh SH and An YR. 1997. Seasonal variation of shrimp (Crustacea : Decapoda) community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Korea. J Kor Fish Soc 30, 532-542. 

  5. Huh SH and An YR. 1998. Seasonal variation of crab (Crustacea : Decapoda) community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Korea. J Kor Fish Soc 31, 535-544. 

  6. Huh SH and Kwak SN. 1997.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es i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Korean J Ichthyol 9, 202-220. 

  7. Huh SH and Kwak SN. 1998. Feeding habits of juvenile Takifugu niphoble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J Kor Fish Soc 31, 806-812. 

  8. Huh SH and Kwak SN. 1999. Feeding habits of Acanthogobius flavimanu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J Kor Fish Soc 32, 10-17. 

  9. Jaccard P. 1908. Nouvelles researches sur la distribution florale. Bull Soc Vaudoise Sci Nat 44, 223-270. http://dx.doi.org/10.5169/seals-268384. 

  10. Jeong SJ, Yu OH and Suh HL 2004. Seasonal variation and feeding habits of amphipods inhabiting Zostera marina bed in Gwangyang Bay. J Kor Fish Soc 37, 122-128. http://dx.doi.org/10.5657/kfas.2004.37.2.122. 

  11. Kang YJ, Kim YH and Kim WT. 1996. Age, growth and spawning of Enedrias nebulosus. J Kor Fish Soc 29, 191-196. 

  12. Kim BG and Gwak WS. 2006.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 in Jisepo Bay of Geoje Island, Korea. Korean J Ichthyol 18, 234-243. 

  13. Kim IS, Choi Y, Lee CL, Lee YJ, Kim BJ and Kim JH. 2005. I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sa, Seoul, Korea, 615. 

  14. Kim JS, Lee DH, Park JS, Han DH and Gwak WS. 2011.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s in eelgrass bed of Myeongsa on Geoje Island, Korea. Korean J Ichthyol 23, 119-127. 

  15. Kim JS and Gwak WS. 2012.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 in a small scale eelgrass bed of Tongyeong, Korea. Korean J Ichthyol 24, 191-200. 

  16. Kim JS, Choi JY, Lee YJ and Gwak WS. 2013.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eelgrass bed of Minyang in Tongyeong, Korea. J Korean Soc Oceanogr 18, 227-233. http://dx.doi.org/10.7850/jkso.2013.18.4.227. 

  17. Kim JY. 1992. The early life history and recruitment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southern waters of Korea. Ph. D. Thesis, National Fisheries University Busan, Busan, Korea. 

  18. Klumpp DW, Salita-Espinosa JS and Fortes MD. 1992. The role of epiphytic periphyton and macroinvertebrate grazers in the trophic flux of a tropical seagrass community. Aquat Bot 43, 327-349. https://doi.org/10.1016/0304-3770(92)90046-L. 

  19. Lee TW, Moon HT, Hwang HB, Huh SH and Kim DJ. 2000.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in the eelgrass beds in Angol Bay o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 Fish Soc 33, 439-447. 

  20. Lee TY and Hanyu I. 1984. Reproductive cycle of small filefish, Rudarius ercodes. Bull Korean Fish Soc 17, 423-435. 

  21. Lee DH, Kim JS, Park JS, Han DH and Gwak WS. 2011.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s in eelgrass bed of Jeogu on Geoje Island, Korea. Korean J Ichthyol 23, 225-233. 

  22. Matsui S. 1986. Studies on the ecology and the propagation of the ice goby, Leucopsarion petersi Hilgendorf. Sci Bull Fac Agr Kyushu Univ 40, 135-174. 

  23. Miyamoto S. 1982. Feeding ecology of the puffer, Fugu niphobles in the sand flat. Master's thesis, Kyushu University, Fukuoka, Japan. 

  24. Miyazaki Y and Murase A. 2014. Notes on the monthly change in composition of body sizes and life history in a stichaeid fish, Zoarchias glaber (Teleostei; Perciformes), at Kannonzaki, the eastern Miura Peninsula, Tokyo bay. Bull biogeogr Soc Japan 69, 213-216. 

  25. MOF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7.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Marine Ecosystems ACT Enforcement Rule 4 Articl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ejong, Korea. 

  26. Nojima S, Kitajima Y, Kuwahara Y, Miyamoto S and Furunishi S. 1980. Preliminary report on a food web in a tidal sand flat with special reference to a subweb centering around a sand snail, Umbonium (Suchium) moniliferium. Benthos Res 19/20, 71-80. https://doi.org/10.5179/benthos1970.1980.71. 

  27. Nybakken JW. 1993. Marine biology (3rd edition). Harper Collins College Publ, New York, NY, U.S.A., 462. 

  28. Oh SH, Han KH, Kim YM, Jung HH, Shin SS and Kim YU. 2000. Spawning behavior and early life history of grass puffer, Takifugu niphobles (Jordan et Snyder) (Teleostei: Tetraodontidae). Korean J Ichthyol 12, 236-243. 

  29. Ok JS, Lee SY, Shin KH and Kim HJ. 2013. Seasonal variation characteristics of Zostera marina L. in Haenam Sagumi on the Southern Coast of Korea.JKSL. 46, 513-523. http://dx.doi.org/10.11614/KSL.2013.46.4.513. 

  30. Park MH, Hwang IJ, Kim DJ, Lee YD, Kim HB and Baek HJ. 2005. Gonadal development and sex steroid hormone levels of the yellowfin goby Acanthogobius flavimanus. J Kor Fish Soc 38, 309-315. https://doi.org/10.5657/kfas.2005.38.5.309. 

  31. Phillips RC and Menez EG. 1988. Seagrass.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Washington DC, U.S.A., 106. 

  32. Pielou EC. 1966.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al Ecology. Wiley & Sons Inc, New york, NY, U.S.A., 286. 

  33. Shannon CE and Weaver W.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U.S.A., 177. https://doi.org/10.1111/j.1558-5646.1970.tb01782.x. 

  34. Short FT, Wyllie-Echeverria S. 1996. Natural and human-induced disturbance of seagrasses. Environmental Conservation 23, 17-27. https://doi.org/10.1017/S0376892900038212. 

  35.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https://doi.org/10.1038/163688a0. 

  36. Tamaki A, Miyamoto S, Yamazaki T and Nojima S. 1992. Abundance pattern of the ghost shrimp Callianassa japonica Ortmann (Thalassinidea) and the snake eel Pisodonophis cancrivorus (Richardson) (Pisces, Ophichthidae) and their possible interaction on an intertidal sand flat. Bethos Res 43, 11-22. https://doi.org/10.5179/benthos1990.1992.43_11. 

  37. Zieman JC and Wetzel RG. 1980. Productivity in seagrass: methods and rates. In: Phillips, R.C. and C.P McRoy (eds.), Handbook of Seagrass Biology: An Ecosystem Perspective. Garland STPM Press, New york, NY, U.S.A., 87-1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