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수원 토양의 탄화물 시용에 따른 아산화질소 발생량 감소와 토양탄소 증가효과
Decreases Nitrous Oxide Emission and Increase Soil Carbon via Carbonized Biomass Application of Orchard Soil 원문보기

한국환경농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v.36 no.2, 2017년, pp.73 - 79  

이선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김건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최은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이종식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  정현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환경부 기후변화생태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농가에서 버려지는 부산물을 탄화물로 변환한 후 토양에 적용하여 토양의 화학적 특성 변화와 온실가스 발생량을 비교하였다 탄화물로의 활용은 세 가지의 장점이 있었다. 첫 번째 버려지는 자원은 활용하여 재이용한 측면, 두 번째 농경지의 토양탄소 함량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측면, 세 번째 농경지에서 발생하는 아산화질소를 줄일 수 있는 측면에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N_2O$ 감축기작에 대한 정확한 파악을 위해 질소순환과 연계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Carbonized biomass is a carbon-rich solid product obtained by the pyrolysis of biomass. It has been suggested to mitigate climate change through increased carbon storage and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arbon dioxide ($CO_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화학적 특성변화로 인해 온실가스 발생량 변화연구는 연구결과가 다양하기 때문에 원인을 해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수원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전정가지로부터 탄화물을 제조하고 토양에 투입하였을 때 토양 탄소함량, 화학성 변화 및 온실가스로 CO2와 N2O 발생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화물 생성 방법은 무엇인가? 탄화물은 산소공급이 제한된 조건의 열분해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탄화물의 탄소는 흑연질 상태이고, 방향족 화합물 형태이므로(Glaser et al., 1998) 토양 중에서 화학적으로 안전한 탄소결합 형태를 유지한다 (Mathews, 2008).
무산소 조건의 열분해로 생성된 탄화물의 탄소 형태는? 탄화물은 산소공급이 제한된 조건의 열분해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탄화물의 탄소는 흑연질 상태이고, 방향족 화합물 형태이므로(Glaser et al., 1998) 토양 중에서 화학적으로 안전한 탄소결합 형태를 유지한다 (Mathews, 2008).
탄화물의 화학적으로 안전한 탄소결합 형태로 인한 특징은 무엇인가? , 1998) 토양 중에서 화학적으로 안전한 탄소결합 형태를 유지한다 (Mathews, 2008). 이러한 특성 때문에 탄화물을 토양에 투입하면 토양 내에서 장기간 분해되지 않고 저장할 수 있어 탄소격리(Carbon sequestration) 측면에서 큰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Lehmann, 2009; Singh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scough, P. L., Sturrock, C. J., & Bird, M. I. (2010). Investigation of growth responses in saprophytic fungi to charred biomass. Isotopes in Environmental and Health Studies, 46(1), 64-77. 

  2. Cavigelli, M. A., & Robertson, G. P. (2000).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denitrifier community composition in a terrestrial ecosystem. Ecology, 81(5), 229-241. 

  3. Cayuela, M. L., Van Zwieten, L., Singh, B. P., Jeffery, S., Roig, A., & Sanchez-Monedero, M. A. (2014). Biochar's role in mitigating soil nitrous oxide emissions: A review and meta-analysis.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191, 5-16. 

  4. Cheng, Y., Cai, Z. C., Chang, S. X., Wang, J., & Zhang, J. B. (2012). Wheat straw and its biochar have contrasting effects on inorganic N retention and $N_2O$ production in a cultivated black chernozem. Biology and Fertility of Soils, 48(8), 941-946. 

  5. Gee, G. W., & Bauder, J. W. (1986). Particle size analysis. Physical and mineralogical methods (eds. Campbell, G. S. et al.), pp. 383-412. American Society of Agronomy and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Madison, WI, USA. 

  6. Glaser B., Haumaier, L., Guggenberger, G., & Zech. W. (1998). Black carbon in soils: the use of benzenecarboxylic acids as specific markers. Organic Geochemistry, 29(4), 811-819. 

  7. Khalil, M. I., Hossain, M. B., & Schmidhalter, U. (2005). Carbon and nitrogen mineralization in different upland soils of the subtropics treated with organic materials.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37(8), 1507-1518. 

  8. Larid, D., Fleming, P.,Wang, B. Q., Horton, R., & Karlen. D. (2010). Biochar impact on nutrient leaching from a Midwestern agricultural soil. Geoderma, 158(3), 436-442. 

  9. Lee, S. I., Lee J. S., Kim G. Y., Choi, E. J., Suh S. U., & Na U. S. (2016). Effect of carbonized biomass derived from pruning on soil carbon pools in pear orchar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5(3), 159-165. 

  10. Lehmann, J. (2009). Biological carbon sequestration must and can be a win-win approach. Climate Change. 97(3), 459-463. 

  11. Mathews, J. A. (2008). Carbon-negative biofuels. Energy Policy, 36(3), 940-945. 

  12. Nichols G. J., Cripps, J. A., Collinson,M. E., & Scott. A. D. (2000). Experiments in waterlogging and sedimentology of charcoal: Results and implications. Paleogeography, Paleoclimatology, Paleoecology, 164(1), 43-56. 

  13. Park, W. K., Park, N. B., Shin, J. D., Hong, S. G., & Kwon S. I. (2011). Estimation of biomass resource conversion factor and potential production in agricultural secto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30(3), 252-260. 

  14. Singh, B. P., Cowie A. L., & Smernik, R. J. (2012). Biochar carbon stability in a clayey soil as a function of feedstock and pyrolysis temperature.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46(21), 11770-11778. 

  15. Singh, B. P,, Hatton, B. J., Singh, B., Cowie, A., & Kathuria, A. (2009). Influence of biochars on nitrous oxide emission and nitrogen leaching from two contrasting soils. Journal of Environmental Quality. 39(4), 1224-1235. 

  16. Yanai, Y., Toyota, K., & Okazaki, M. (2007). Effects of charcoal addition on N2O emissions from soil resulting from rewetting air-dried soil in short-term laboratory experiments. Soil Science and Plant Nutrition. 53(2), 181-188. 

  17. Zeng, W., Xu, C.,Wu, J., Huang, J., &Ma, T. (2013). Effect of salinity on soil respiration and nitrogen dynamics. Ecological Chemistry and Engineering S. 20(3), 519-530. 

  18. Zhang, X., Kondragunta, S., Schmidt, C. & Kogan, F. (2008). Near real time monitoring of biomass burning particulate emissions (PM2. 5) across contiguous United States using multiple satellite instruments. Atmospheric Environment, 42(29), 6959-697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