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DMZ에 인접한 광치령은 강원도 양구군과 인제군을 이어주는 고개인 동시에 두 지역의 경계를 나타내는 지표점이기도 하다. 해발고도 800m의 광치령은 대암산(1,304m)에서 뻗어 나온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으며 짙은 활엽수림과 깊은 계곡부에는 다양한 식물이 서식하고 있다. 비무장지대에 인접한 광치령의 지리적 입지는 DMZ와 그 이남지대를 연결하는 완충지대로 기능하고 있기에 광치령의 식물자원을 조사하는 것은 DMZ의 식물상을 이해하는 한 방법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DMZ의 인근지역인 광치령에 분포하는 식물을 밝히고 그들의 가치를 분석해 보고자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진행되었다. 조사 결과, 광치령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88과 297속 441종 4아종 62변종 6품종 총 51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금강초롱꽃, 백작약, 구실바위취를 포함하여 22분류군이 조사되었고, 고려엉겅퀴, 처녀치마, 참배암차즈기 등을 포함하는 특산식물은 22분류군으로 밝혀졌다. 귀화식물은 18분류군, 그들의 귀화율과 도시화지수는 각각 3.5%, 5.6%로 나타났다. 확인된 513종의 식물을 유용성에 따라 분류한 결과 식용과 약용을 포함하여 목축, 관상, 목재, 염료, 섬유, 산업용 등으로 이용되는 식물은 각각 197종, 154종, 180종, 49종, 24종, 8종, 4종, 3종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wangchiryeong, located adjacent to the Korean DMZ, is a mountain pass connecting Yang-Gu, Gangwon-do with In-je. It reaches a height of 800m (2,624ft) and stands on the flank of Mt. Daeam-san, which has an elevation of 1,304m (4,278ft). It is important to survey the flora of Gwangchiryeong in tha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광치령 일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 종을 정확히 알아보기 위하여 대상지 주변의 사전 문헌조사를 통하여 예비 목록을 작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2014년부터 2015년 두 해에 걸쳐 총 9회의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Table 1), 조사 경로는 Figure 1에 자세히 나타냈다.
  • 따라서 등산객의 출입에 따른 인위적인 간섭에서 비교적 벗어나 있으나 산나물 채취 및 군사시설물에 의한 인위적 훼손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광치령 일대에 분포하는 우리의 특산식물을 조사하여 이들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동시에 그 보전가치를 알리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광치령은? 광치령은 태백산맥과 광주산맥이 만나서 비롯된 내륙산맥 가운데 하나인 대암산맥의 지맥으로, 강원도 양구군 남면과 강원도 인제군 북면을 연결하는 중요한 고개다(Yanggugun, 2014). 가칠봉(1,242m), 대암산(1,304m), 대우산(1,178m)등 대암산맥에서 발원한 연봉들은 다양한 식물자원을 품고 광치령으로 뻗어간다.
대암산 일대의 자연적 가치는? 크고 작은 능선으로 사면이 둘러싸여 첩첩산중을 이루고 있다 하여 문자 그대로 광치령(廣峙嶺)이라 하였고, 『해동지도』에는 ‘광치’라는 표기와 함께 상당히 우뚝 솟아 있는 고개로 묘사되어 있다(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2008). 광치령을 안고 있는 대암산은 대우산과 함께 천연보호구역(천연기념물 제246호)으로 지정되어 있고, 대암산 정상에 위치한 고층습원 용늪은 일찍이 국내 최초의 람사르 습지로 등록되었으며 국내 유일의 비로용담 자생지와 여러 희귀식물들이 대암산 안에서 보호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광치령은 대암산 용늪에서 발원한 수계를 지니고 있어 물이 풍부한 지역이기도 하다.
광치령 일대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의 분포비율은? 광치령 일대에서 확인된 관속식물은 양치식물이 9과 19속 32종 4변종 36분류군, 나자식물이 2과 4속 5종 5분류군, 피자식물 중 쌍자엽식물이 68과 217속 318종 4아종 51변종 5품종 378분류군, 단자엽식물이 9과 57속 86종 7변종 1품종 94분류군으로, 총 88과 297속 441종 4아종 62변종 6품종 513분류군으로 구성되었다(Table 2; Appendix 1).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881분류군(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 2007)의 약 10.51%, 강원도에서 확인된 관속식물 1,465분류군(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9)의 약 35.01%, 양구군 관속식물 1,050분류군(Yanggu County,2014)의 약 48.85%를 차지하였다. 조사된 전체 분류군을 과별로 분석한 결과 국화과 52분류군, 벼과 34분류군, 백합와 장미과 27분류군, 미나리아재비과 26분류군, 콩과가 20 분류군으로 많은 수를 차지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H.J. and K. Heo(2009) Flora Monitoring of Yongneup, an Wetland, in Mt. Daeam.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3(2): 93-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G.R., J.H. Youn, J. G. Sim and D.Y. Shin(2009) Flora of Several mountains (Dosolsan-Daewoosan-Gachilbong) adjacent to Punchbowl. The 2009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Plant Biotechnology, Korea, 244pp. (in Korean). 

  3. Han, J.S. and K.O. Yoo(2010) Flora of Baekseoksan (Yanggu-gun, Gangwon-do). Korean Journal of Nature Conservation 4(2):68-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ang, J.S., J.S. Han, K.S. Cheon, K.A. Kim,Y.H. Park and K.O.Yoo(2015) Floristic study of Mt. Hanseok (Inje-gun, Gangwon-do). Korean J. Pl. Taxon. 45(1): 45-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C.H.(2000) Assessment of Natural Environment -I. Selection of Plant Taxa -. J. Kor. Environ. Biol. 18(1):163-198 (in Korean). 

  6. Kim, K.A., J.S. Han, K.S. Cheon, Y.H. Park. J.S. Kang, and K.O. Yoo(2014) Floristic study of Mt, Dosol and its adjacent areas (Yanggu-gun, Gangwon-do). Korean J. Pl. Taxon. 44(1): 59-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N.J., N.Y. Kim, Y.S. Kim, H.B. Lee, Y.S. Kim and W.G. Park(2011) Flora study of Simjeok swamp in Sohwa-myon, Inje-gun. The 2011 conference of The forest research, Korea, pp. 374-376 (in Korean). 

  8. Koh, K.S., I.G. Kang, M.H. Suh, J.H. Kim, K.D. Kim, J.H. Kil, H.I. Rhu, D.S. Kong, E.B. Lee and E.S. Chun(1995) Survey for Ecological Impact by Naturalized Organism (I).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p. 1-215 (in Korean). 

  9. Korean Fern Society(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Korea (in Korean). 

  10.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2009)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Korea Peninsula; VI. Central Province(Gangwon-do), Daejeon, Korea (in Korean). 

  11. Korea National Arboretum(2004)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12. Korea National Arboretum(2009)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Korea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in Korean). 

  14. Korea National Arboretum(2013)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http://www.nature.go.kr/kpni/ 

  15. Lee, T.B.(1978)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 Kwanak Arb. 1:1-137 (in Korean). 

  16.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Korea (in Korean). 

  17.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 (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Y.N.(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Gyohaksa, Seoul, Korea (in Korean). 

  19.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Germany. 

  20. Ministry of Environment(2012) A Guide to the 4th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Gwacheon, Korea (in Korean) 

  21. Min, W,K., C,S. Chang, J.I. Jeon, Kim, H., Choi, D.Y.(2000) Flora of Mt. Dae-am-san. Bull. of Seoul Nat'l Univ. Arboretum 20:30-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2008) A book on Origins of the Geographical Name in Korea; Central region of Korea. Jinganbook. Seoul. Korea (in Korean). 

  23. Oh, B.U., D.G. Cho, K.S. Kim and C.G. Jang(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1st step result). Korea National Arboretum (in Korean). 

  24. Park, S.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in Korean). 

  25. Ryu, S.H. and S.D. Kim(2009) The Flora of Yong_Neup and Vegetation distribution of high moor in Mt. Daeam. The 2009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pp. 133-135 (in Korean). 

  26. Yanggu-gun(2014) The documentary book of Yanggu-gun. Yanggu-gun. Korea. pp. 31-217 (in Korean). 

  27. Yim, Y.J. and E.S. Jeon.(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 Plant Biol. 23: 69-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